Constructions sites are affected by Diversity workplace, complexity of construction, Change of place, Mobility of workers and so on. In a single establishment, Prime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have to conduct their work at the same time. There are a lot of unpredictable risks when the construction is running, coordination between contractors is very important to do a risk assessment under the condition.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were investigated by previous studies. Survey research is applied to the risk assessment. In the writing, Risk assessment of the entire lower level. Because of the low level of risk factors to find. Also, There was a limit to investigate accidents. Confirmed that Effort to derive a risk factors were desperately of the risk assessment.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PCM is several experts should be joined. Experts Site Manager, Supervisor, Safety Manager, Director Contractor, Work team leader is required to participate. Construction plans, Process Planning to the risk find beforehand. And Determines how the operations and the control. Also, Made it into the database. and PCRA can be used in the risk assessment was developed.
대청호는 1975년에 착공하여 1980년 12월에 대전광역시 대덕구 미호동과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 사이의 금강 본류를 가로막는 대청호가 준공된 이후, 대전을 비롯 한 충청 및 전북지역의 용수공급, 하류홍수조절, 수력발전 생산 등을 담당하고 있다. 댐 유역면적은 4,134㎢으로써 금 강 수계 전체 면적 9,886㎢의 41.8%를 점유하고 있으며 유역면적 대비 수면적 비율이 큰 인공호이다. 총 저수량은 14억 9천만 ㎥이며, 연간 용수공급량은 1,649백만 ㎥에 이 른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라북도 장수군, 진안군, 무주군 과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북도 영동군, 보은군, 옥천군, 청원 군 및 대전시의 일부 지역을 점유하고 있어 1개 광역시, 4개도 9개 군을 포함하고 있다. 담수생태계 분야 중 기후변화와 환경오염과 관련된 많은 결과들은 호소생태계에서 밝혀져 왔으며, 현재까지 장기생 태연구사업의 담수생태계 연구지소 중 호수생태계(정수생 태계)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강생태계(유수생태계)와의 포 괄적인 대조를 위해 국가장기생태연구 2단계 2차년도부터 추가된 지역이다. 대청호는 장기생태조사지역인 새만금 지 역의 담수화(호수화) 경향과 이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파악 하는데 유용하며, 최근 매년 하절기에 대청호에 부영화에 의한 녹조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수환경변화에 따른 호 수생태계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위해도 기반 지역별 기름회수능력 설정 방법을 모델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모델을 적용하여 지역별 기름회수능력을 설정하였다. 모델을 적용하여 설정된 지역별 기름회수능력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대오염사고의 발생이 가능한 지역 중 해상방제장비 동원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대산·태안·평택지역에 최대오염사고를 가정하여 각 지역에 배치된 해상방제장비를 동원하여 해상 기름회수작업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사고해역에서 3일 동안 해상에서 회수 가능한 기름의 양은 15,841㎘로 계산되었는데, 이는 해상 기름회수 목표량인 15,000㎘를 충족시키는 결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여러 형태의 이유자돈사에 대하여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으로 모델화하여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실제 돈사에서 각종환경요인과 이유자돈의 증체율 및 폐사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돈사로는 복도-더그매 예열 음압환기방식 무창이유자돈사(Model-1), 더그매 예열 음압환기방식 무창이유자돈사(Model-2), 그리고 윈치커튼형 음압환기방식 개방이유자돈사(Model-3)가 이용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Model-1이 Model-2와 Model-3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낮은 풍속과 균일한 풍속분포도를 나타냈으며 모델간의 평균 온도, 평균 상대습도 및 평균 암모니아 농도가 차이가 없었으나(p>0.05) Model-1과 Model-3의 종료체중과 일당증체량이 Model-2에 비해 높았다(p<0.001). 따라서 Model-1이 Model-2와 Model-3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URPOSES: This paper evaluates, using LS/DYNA-3D software, the vehicle impact performance of flexible barriers made of steel WBeam supported by four different types of post configurations. These types include circular post, H-shape post, C-shape post, and square post. METHODS : The post-soil interaction has been investigated according to different impact angles. For this purpose, energy absorption, maximum displacements of post and rail, and occupant risk index of THIV have been compared each other. The three dimensional soil material model, instead of the conventional spring model based on Winkler and p-y curve, has been used to increase the correctness of computational model. RESULTS: It is noted the crash energy absorption has been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increase of impact angle. CONCLUSIONS : In particular, a post with open section(H-shape, C-shape) shows the greater crash energy absorption capability as compared with a post with closed section under the same level of impact conditions.
Serratia marcescens는 그람음성균이며 곤충병원성 박테리아다. 이 균은 인간을 포함하여 넓은 범위의 숙주에게 영향을 끼치며 특히 병원에 입원하거나 면역이 약 해진 환자에게 기회주의적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Serratia marcescens의 Db11이라는 균주를 이용하여 Riptortus pedestris 모델에서의 감염 경로에 따라 나타나는 독성의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Db11 균주를 Riptortus pedestris의 체액 안으로 직접 주사하여 감염시킨 경우에는 5일 안에 곤충이 죽는 결과를 보였으나, 경구를 통해 감염 시켰을 경우에는 Riptortus pedestris의 생존률 이 매우 높은 양상을 보였다. 경구를 통한 감염에서 나타나는 높은 생존률은 아마도 경구로 들어간 Db11 균주가 장내에서 없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하여, 경구를 통해 감염시킨 후 장내의 CFU(colony forming unit) 를 측정해보았다. Riptortus pedestris의 장은 총 5개의 장으로 M1, M2, M3, M4B, M4로 이루어져있으며 Db11 균주는 M3에서 많이 colonization 된 것을 확인했다. 흥미롭게도 M3에서 colonization된 Db11 균주는 예상과는 다르게 계속하여 그 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 인했다. 뿐만 아니라, M3에서 증가한 Db11 균은 체액으로 빠져나온다는 사실도 알 게 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주사감염과 경구감염을 통해 다른 경로로 감염이 되더라 도 Db11 균주는 체액 안으로 들어가지만, 체액 안의 Db11 균주가 나타내는 독성은 감염 경로에 따라 커다란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진은 감염경로에 따라 독성 의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환경보전계획가들은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이나 이들의 생물서식지를 보호 및 관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종분포 및 확산모형(Species distribution model & Landscape dynamic model)은 이러한 도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서식지 보전 및 생물다양성 실행계획을 세우기 위해 최적의 종분포 및 확산모형을 찾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통계모형 에 기반한 종분포모형들과 프로세스기반의 동적모형들이 많이 개발되어 다양한 자료 형태 및 분류군에 따른 분포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종분포 및 확산모형은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등과 같은 자연 자원 관리 및 보전계획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종이나 개체군, 종풍 부도에 대한 지리적 분포나 개체군의 속성을 파악하여 보호가 우선되어야 할 지역 이나 현재 또는 중장기적으로 위협이 될 만한 지역을 찾아내 보호지역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Most systems used in industrial sites, actually have non-linearity and uncertainty. Therefore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evaluating conditions of these systems. Generally,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expression are found hard because the general public cannot easily make an accurate interpretation on the systems. Thus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utilizes an expertise from skilled analysts is required. In this research, a real-time sensor signal conditioning system and Fuzzy-expert system have been separately set up into an inference algorithm. So that it ensures a fast, accurate, objective and quantitative operational condition value provided to the manager. Therefore, FE_AFCDM is suggested in this literature, as an effective system for diagnos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air compressor. It can quantify the uncertain and absurd condition to operate the air compressor facilities safely and financially.
In this study, the growth kinetics of sulfur oxidizing bacteria,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 and the effect of dissolved oxygen were determined in low pH conditions for the effective removal of high concentrations of hydrogen sulfide. A dual growth kinetic was applied to identify the microbial growth rate at different hydrogen sulfide and oxygen concentrations in the liquid. A modified Monod-Gompertz equation was deemed most appropriate to examine the growth kinetic parameters of A. thiooxidans. The half saturation constants of hydrogen sulfide and oxygen for the modified Monod-Gompertz equation were found to be 0.9 and 1.1 mg/L, respectively. In addition, a bioreactor model, where the Monod-Gompertz equation was modified, was applied to simulat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required for the removal of hydrogen sulfide. As a result,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were 0.5, 1.0, 1.5, and 3.3 mg/L, which were necessary to remove hydrogen sulfide to less than 10 ppm at the influent concentrations of 100, 500, 1000 and 3000 ppm, respectively. The required minimum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under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reactor volume, gas retention time, and microbial concentrations can be determined using the numeric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모델 기반의 온실 환경 제어에 활용될 수 있는 미기상 환경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상 조건과 온실의 환기 구조에 따른 온실 내부의 미기상 변화와 환기창에서의 환기량 변화를 모의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수치 모형을 제시하였다. 비정상상태의 환기 작용을 모의한 결과, 환기창 개방 후 환기 효과가 완전히 나타나기까지는 3분 ~ 2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센서 실측에 기반을 둔 대부분의 환경 조절 제어 시스템의 경우에는 측정값에 따른 피드백에 의해 환경 제어가 동작하므로 온실 내부의 기온이 상승한 이후에 환경 제어를 시작하게 되지만, 모델 기반의 환경 조절 제어 시스템을 도입하면 이러한 3분~20분 정도의 시간을 사전에 고려하여 적정 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미리 환기창의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작은 규모의 온실에서 는 이러한 영향이 미비할 수 있지만, 근래에 증가하고 있는 대규모 온실들에 대해서는 온실 내부 작물 재배 환경의 균일성과 적정성, 안정성을 확보하고 환경 조절의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모델 기반의 환경 조절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치 모형들은 외부의 기온과 풍속, 지면 온도, 일사량 등의 기상 환경과 온실의 천창 개폐율에 따라 유도되는 자연 환기의 성능을 온실 내 미기상 변화와 환기창을 통한 환기량 값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각각 58% ~ 92%, 76% ~ 93%의 예측력을 보였다. 미기상의 변화는 온실을 9개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 에서의 기온 하락 정도로 나타내며, 환기량은 지붕에 형성된 6개의 천창에서의 공기 유출입량을 각각 제시하여 준다. 환기 작용에 의한 미기상의 변화는 반드시 환기창에서의 환기량에 의해 예측되지는 않으므로 환기량과 환기의 효과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수치 모형들은 모델 기반 환경 제어 시스템에서 가상의 환기창 동작에 따른 환기 성능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과 같은 매우 복잡한 예측 모델이 비해 상당히 간단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빠른 계산 시간을 보장한다. 이는 실시간 제어의 관점에서는 복잡한 예측 모델들에 비해 실시간 예측 과 제어가 가능하다는 큰 장점을 가져다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고 시도된 결과들은 모델 기반의 온실 복합 환경 제어 시스템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활용은 농업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농가의 노동력 부족을 극복하고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확보를 도모하는 농업 선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output and noticing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model writings and noticing-triggering activities can serve as one form of written feedback to learners’ writing. Particularly, it was interested in whether two different noticing-triggering activities w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learners’ noticing and incorporation in immediate and delayed revisions. To this end, 93 university students in three English composition classes in Busan were asked to take part in four-staged picture-cued narrative writing task (i.e., drafting, comparison, immediate revision, and delayed revision). The three classes engaged in different activities (i.e., note-taking, underlining, or reading) while they were comparing their own writing and the given mod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dels as written feedback have led learners to notice linguistic forms that they have previously found problematic or have not thought of as problematic. Furthermore, the note-taking activity in the comparison stage seemed to help learners better incorporate the linguistic forms included in the subsequent input.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has been widely used in long-span buildings because of its light weight and high transparency. This paper studies the short and long term creep behaviour of ETFE foil. A series of short-term creep and recovery tests were performed, in which the residual strain was observed. A long-term creep test of the ETFE foil was also performed over 110 days. A viscoelastic-plastic model was then established to describe the short-term creep and recovery behaviour. The model contains a traditional multi-Kelvin part and an added steady-flow component to represent the viscoelastic and viscoplastic behaviour, respectively. The model successfully fit the data for three stresses and six temperatures. Additionally, time-temperature equivalency was adopted to predict the long-term creep behaviour of ETFE foil. Horizontal shifting factors were determined from the process of shifting creep-curves at six temperatures. The long-term creep behaviours at three temperatures were predicted. Finally, the long-term creep test showed that the short-term creep test at identical temperatures insufficiently predicted additional creep behaviour, and the long-term test verified the horizontal shifting factors derived from the time-temperature equivalency.
최근 세계적으로 도심지에서 발생하는 소음 관련 민원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도심지 인구 집중화 현상 으로 인해 차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2006년에 비해 2010년에 도로교통 소음 관 련 민원 접수가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소음 문제는 사람들에게 생리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작 업의 집중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생리적인 문제로는 맥박과 혈압이 증가하고 말초혈관수축이 일어나는 등 자율신경계에서 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작업의 집중도에 있어서도 작업의 총 작업량을 감소시키기 보다는 집중도에 있어서 저하시킨다. 이러한 도로교통 소음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교통과 표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저소음 포장으로 만드는 방법, 주파수 별 음향의 파워레벨에 일치하도록 중첩 이론을 적용시키는 ANC 방법, 음향을 굴절, 회절, 반사 또는 흡음을 발생시키는 이론을 반영한 방음터널과 방음벽을 만드는 방법, 제한속도를 규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C 방법과 방음터널과 방음벽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주파수 별 음향 파워의 예측모델을 만 들고자 한다. 이때 DSLM은 주파수 별 음향특성을 알아내는데 매우 기본적인 방법이라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기본 실험법으로 NCPX계측 방법과 Pass-by계측 방법을 선택하였다. NCPX계측 방법은 노면과 타이어의 마찰로 인해서 나타나는 음을 정확히 가까운 위치에서 측정 가능한 반면, Pass-by계측 방법은 도로와 교통에서 생기는 음향의 진행에 따른 상쇄효과를 고려한 실제 수음자의 수반 음향을 측정 가능하 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NCPX계측 방법을 사용해서 예상되는 도로교통소음을 사용해 수음점에 근접한 음향을 예상하는 모델을 만들고자 한다. 예상하는 과정에서 확장형 칼만필터 알고리즘을 사용해 도로마찰 음향을 예상하고 다시 조화검색 알고리즘으로 수음점에 근접한 음향을 예측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Kano model to compare and analyze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ttributes of domestic and foreign culinary arts school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mpleted by 312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domestic and foreign culinary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23 of the total 25 attribu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ulinary arts school.; the “minium 4 hour-kitchen class" and “mandatory internship program” were classified into “indifferent quality” for domestic schools and a “must-be quality” for foreign schools; “well-organized internship guidebook”, “kitchen class limited to 20 students”, “introducing the latest food or restaurant trends”, “library with the latest publications related to major”, “objective instructor's evaluation”, “detailed instructor's evaluation”, “instructor's field experience”, and “decent communication skills on the part of the instructor”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attractive quality” for domestic schools and “must-be quality” for foreign schools; and “kitchen classes operated by block system”, and “foreign instructors for each ethnic cuisine”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indifferent” and “attractive quality”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schools, respectively. Also, according to the Better and Worse quotient designed by Timko, there were more attributes for domestic school than for foreign school that scored over 0.5 in the Better category and fewer attributes for domestic than the foreign scored over 0.5 in the Worse category.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students in foreign schools receive an educational service of better quality than students in a domestic school. As a result, this research suggests significant implications to develop culinary educational services.
도시방재업무의 기본은 대상지역의 지형과 지물(시설물)에 대한 상호적 이해와 그에 관한 정보관리로부터 시작된다. 도시 방재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일관된 프레임 하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델을 생성하며, 정보를 축적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객체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도시정보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정보관리의 관점에서 도시모델을 방재업무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방재모형 생성에 필요한 도기 객체를 분류하고, 객체별 필요속성을 도출하는 과정을 거쳐, 방재정보를 포함한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데이터 스키마인 CityGML기반의 개방형 도시정보모델의 생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예제모델의 구현과 검토를 통해 제시된 도시정보모델 구축 방법론의 방재업무 적용성과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난류 강도가 풍력발전기 후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축소된 풍력발전기 모델을 이용하여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측정 위치에 따라 풍력발전기가 가지는 특성에 따라 후류의 형태가 달라지며, 난류 강도에 따른 영향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류 강도만을 일부 고려한 격자 난류 조건에서 등류 조건보다 기존의 후류 모델과 보다 더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측정된 난류 강도 값을 바탕으로 수정된 후류 모델을 제안하였다. 향후 다양한 난류 특성이 고려된 합리적인 모델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근래 들어 ‘중국모델(中国模式, Chinese model or China model)’ 의 존재여부에 관한 학계의 찬반논쟁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그러 나 ‘중국모델’에 관한 논쟁은 그 용어의 적절성 여부를 포함하여 현재까 지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중국모델’의 의미, 형성 배경과 원인, ‘중국모델’ 에 대한 학자들의 지지의견과 반대의견 그리고 그 찬반논리에 대해 각 각 분석 고찰하였다. 결론부분에서는 실용주의 노선에 입각한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은 ‘돌 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摸着石头过河)’는 등소평의 말대로 매우 조 심스럽게 수정을 거듭하면서 추진되어 왔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기에 특정한 발전모델(发展模式)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울러 ‘중국모델’이란 결국 특수한 시대적 배경하에 주로 외국 언론매체가 만 들어낸 것이므로 ‘중국모델론’에 대한 반대입장을 밝혔다.
In this study, the specimen of tapered double cantilever beam(TDCB) with aluminum foam is designed and shearing fatigue strength i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static behaviour analysis under the condition of mode Ⅱ. These specimen models have length and width of 200 mm and 25 mm. The inclined angles of adhesive face at the specimens are 6°, 8 °and 10°. As the inclined angle becomes higher, the time for which the model can not be broken during fatigue load becomes longer. The shearing strength of TDCB bonded structure with aluminum foam applied by shearing fatigue load can be evaluated through finite element method.
2013년 여름철 집중관측기간(장마기간: 2013년 6월 20일-7월 7일, 집중호우기간: 2013년 7월 8일-30일) 동안 이동식 기상관측시스템의 레윈존데 관측 자료를 전 지구 통합예측시스템 3차원 자료동화에 이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효과 분석을 위한 2가지 모의실험 중 규준실험은 기존 기상청 관측 자료만 사용한 것이고 관측시스템실험은 기상청 관측 자료에 이동식 기상관측시스템의 레윈존데 자료를 추가한 것이다. 장마기간 동안 두 실험의 500 hPa 지위고도, 850 hPa 기온, 300 hPa 풍속의 관측 및 분석검증 비교 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고정관측소의 레윈존데 자료(0000 UTC 및 1200 UTC)만을 기준으로 검증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관기상관측시스템의 시간별 누적 강수량 자료를 이용한 강수검증에 있어서 관측시스템실험의 평균 공정임계지수가 규준실험에 비해 2% 수준으로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특히 강수검증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사례만 비교한 경우, 관측시스템실험의 평균 공정임계지수가 규준실험에 비해 41%까지 개선된 결과를 보여 이동식 기상관측시스템 레윈존데 관측 자료가 수치모델의 예측정확도 향상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