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92

        761.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변 복원(水邊 復元, stream restoration)」은 미 연방정부의 관련 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1998년 10월 발간한 하천과 그 연변의 복원을 위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이다. 이 책은 "원칙, 과정, 실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 책의 제작 취지는 연방 정부의 범 기관 차원에서 전국에 악화되가는 하천과 그 연변을 복원하는데 있어 실무자들에게 개념적, 방법적, 기술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 라인의 제작에 참여한 기관은
        764.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cking house is the regional center in which packing, sorting, storage, and selling of harvested fruits are taken care of all together. It is located at the producing centers, and commercializes their apples. Apple grading policies of chief producing centers should concentrate on enhancing functions and roles of its local packing house. Consequently new packing house policies for enacting individual grading standards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 packing house on the basis of field survey in New York State.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packing house is the main key to the success of apple grading project. Therefore, effective arrangement and utilization of sorting facilities should be evaluated and new system which enables apple farms, local cooperatives, and corporations to joint-utilize packing house must to be established.
        770.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국자리공 및 겨자무의 잎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내배지상에서 몇가지 작물들과의 allelopathy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국자리공 잎의 methanol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시한 모든 작물의 발아율, 근장, 배축장, 초장, 생체중, 건물중, 유묘의 활력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2. 미국자리공의 autoallelopathy는 고농도(50u l 및 100u l) 첨가시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3. 겨자무 잎의 methanol 추출물은 공시한 모든 작물의 초기생장량을 유제시키는 효과는 보였으나, 미국자리공의 잎추출물의 효과보다는 높았다. 4. 겨자무 뿌리의 methanol 추출물 처리는 밀, 미국자리공의 배축장을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시켰으나, 나머지 작물은 증가시켰다. 또한 초장도 밀, 고추, 미국자리공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작물에서는 약간 증가하였다. 5. 미국자리공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재출물한 4종의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이 발아율 및 초기생육을 가장 크게 감소시켰다. 6. Ethyl acetate 분획물은 다른 분획물보다 벼, 보리, 배추의 엽록소 함량을 감소시켰다. 7. Ethyl acetate 분획물 100u l l 첨가시에 배추의 유리 proline의 함량은 31.2배 증가하였으며, 추출물농도가 증가할수록 proline 함량이 증가하였다.
        771.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of 24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coastal region and fronting of sea cliff on Cape Cod in southeastern Massachuset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According to the result of grain-size analysis, the overall trend of grain size decreases from the north(Wood End Beach) to the south(Nauset Light Beach). The coarser materials tend to be deposited at the foreshore than at the backshore. Especially gravel content(%) is very high in northern beaches. The gravel fraction tended to concentrate at the toe of the beach. In addition to gravel, the beach and nearshore bar also tended to be deposite of very coarse sand and the finer fraction accumulate in the offshore bar. Grain-size analyses of sediment indicates that the coarsest sands including gravel accumulate in the beach and nearshore bar, the finer fraction winnowed out by wave action to be deposited in the offshore bar. The beach and nearshore bar sands and gravel are subsequently transported laterally by the wave-driven longshore drift, and finally they come to rest in the distal end of Provincetown Hook. The finer offshore sands are trnasported laterally to the south by net southward-directed longshore current.
        772.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국자리공은 용도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선진국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환경오염이 심한 공단 인접지역에 거대한 군낙을 형성하여 생태계 파괴를 가속화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어서 이의 자원화 및 번식억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아에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nitrates를 이용한 priming, 온도 및 광질이 미국자리공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priming 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priming 처리한 종자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치상 8일 후부터 C3(NO3 )2 처리에 비하여 KNO3 처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KNO3 를 이용한 priming 처리에서 처리 농도를 증가할수록 발아율은 증가하나 150mM과 300mM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priming 처리기간에 차이가 거의 없는 1일과 3일에 비하여 6일간 처리할 때에는 발아가 현저히 둔화되었다. 3. 광질에 관계없이 발아온도 20℃ 항온에서는 발아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주/야 20/30℃ 변온, 30℃ 항온, 주야 30/20℃ 변온의 순서로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4. 암상태보다는 빛이 있는 조건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백색광에 비하여 적색광에서 발아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5. 주/야 30/20℃ 또는 20/30℃ 변온에서 Priming을 가한 종자는 암상태에서도 발아되었다.-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β-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β-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α -terpinene, ledene, 1-borneol, λ -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λ -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δ -guaiene, δ -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β-endesmol, α -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β-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β-eudesmol, δ -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β-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났고, 복부 비만의 지표인 허리엉덩이둘레비는 GPT, alkaline phosphatase, 공복시
        775.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노천이장한 경우 발아가 양호하여 단위면적당 입모수가 많았는데, 1992년산 무처리구의 187개/m2 에 비하여처리종자는 292개/m2 였으며, 1991년산 처리종자구는 78개/m2 로 입모가 불량하였다. 2. 생육초기의 생초생산량은 단위면적당 개체수와의 관계가 높았으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서 개체수의 효과는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3. 1차 예취시의 예취높이를 5cm로 하였을 때는 10cm에 비하여 생초수량이 높았으나 2차 예취시의 수량은 떨어졌다. 그러나 총수량은 예취 높이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미국개기장은 번종후 40~50일부터 예취를 시작하여 1개월 간격으로 3~4회 예취가 가능하였으며, 10a당 생초수량은 9~10톤, 건초수량은 1.4~1.8톤 이었다. 5. 예취시기에 따른 미국개기장의 생초와 건초수량은 생육기간 및 생육기간의 적산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 =0.711~0.860). 6. 파종기가 빠르고 예취시기가 이를수록 엽신의 비율이 높았다. 7. 미국개기장은 조단백질 16.32%, 조지방 24.01%, 조회분 11.59%를 함유하고 있어서 다른 화본료 사료작물에 비하여 품질이 좋은 편이었다.
        777.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lorinated water in swimming pools contains chloroform at elevated levels compared to chlorinated drinking water. Chloroform levels in four indoor swimming pools(swimming pools A, B and C in a city of Korea and swimming pool D in a city of New Jersey in the United States) were examined. The chloroform levels in the water of swimming pool C (city-managed)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p=0.0001) different from those of private swimming pools A and B: the mean chloroform levels in the pools A, B, and C are 22.8, 17.8, and 31.1 ㎍/ℓ respectively. Furthermore, all of these chloroform levels are significantly(p=0.0001) different from those of New Jersey: chloroform concentration of the Korean pools ranged from 10.9 ㎍/ℓ to 47.9 ㎍/ℓ with a mean of 23.2 ㎍/ℓ, while it ranged from 27 ㎍/ℓ to 96 ㎍/ℓ with a mean of 64.4 ㎍/ℓ in the New Jersey pool. The disinfection processes would cause part of this difference since the swimming pools in Korea applied both chlorination and ozonation method, while the swimming pool in New Jersey used chlorination method only. It was implied that swimming parameters inconsistently vary, resulting in fluctuation of and no constant accumulation of chloroform in the water with the change of time for the day. A regression analysis showed no relationships between sampling time and chloroform concentrations for the sampling day in the swimming pools of Korea. A F-test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hloroform concentrations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samples collected in the swimming pools. Ingestion dose was estimated to be 0.58 ㎍ from an hour swimming in a city of Korea, taking into accounting an average of 23.2 ㎍/ℓ in swimming pools in the city. In extreme situation, the ingestion dose was estimated to he 12.0 ㎍ from an hour swimming in a cit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