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9

        261.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of the surface water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early winter, the cruise results during 2 to 8 December 2004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hydrography. The front was formed along the line connecting between Tsushima and Cheju Islands, which divided the water into two water masses; the coastal water with low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and the Tsushima Warm Current Water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In the coastal water the suspended particulte matter was 5.0-6.5 mg/l, while in the oceanic water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was 4.5-5.0 mg/l. The coastal water showed higher mixing effects, compared to the oceanic area where vertical stratification was clearly formed. These indicate that the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was affected by the stratification or mixing of the water column.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mixing effects of sea surface cooling and wind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winter time.
        26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대형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 지진하중보다 파랑하중에 의한 영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파랑하중에 의한 하부부체의 변형이 상부구조물에 부가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부가모멘트를 저감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접합과 핀접합 사이의 거동을 하는 반강접 접합부를 적용하였다. 초대형 부유식 구조물의 상부구조체에 반강접 접합부를 적용할 경우 보의 부가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욱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4경간 3층 예제구조물에 대하여 파랑하중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고, 구조물의 반강접 접합부 적용에 따른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접합부는 각형강관 외-다이아프램 접합부를 적용하였으며 파랑하중에 의한 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간 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초대형 부유식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의 경우 파랑하중에 의해서 정하중의 최대모멘트 응답이 강접 구조물에서는 33% 증가하였으며, 스프링 모델을 이용한 반강접 구조물에서는 26% 증가하였다.
        264.
        200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만 및 저수지에서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 및 제거는 극도로 큰 에너지를 동반한 기계적인 배출방법으로 단지 가능할 수 있다. 소위 분사방법은 높은 전단력에도 불구하고 점착성 퇴적물을 움직이게 하는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목적댐, 항만 그리고 호수 등에서 퇴적된 점착성 미립자들을 저감시키기 위해 기포 투입으로 침전된 미립자()의 부유현상을 실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을 통해 중요한 매개변수는 투입된 기포의 양과 침전된 퇴
        265.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s were collected by 8-stage non viable cascade impactor from October 2002 to August at Jeju City. Eight water-soluble ionic components (Na+, NH4+, K+, Ca2+, Mg2+, Cl-, NO3- and SO42-) were analyzed by Ion Chromatography.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eight water-soluble ionic components were determined to investigate their size distributions. Particulate matters exhibited a tri-modal distribution with peak value around 0.9, 4.0㎛ and 9.5㎛. In summer, the last peak value was lower than other season values likely due to particulate matter scavenged by rain water. Four ionic components (Na+, Ca2+, Mg2+ and Cl-) exhibited a bi-modal distribution in the coarse mode whereas three ionic components (NH4+, K+ and SO42-) in the fine mode, with maximum peak value around 0.9㎛. NO3- was found in both the coarse and the fine mode. The enrichment factor (E.F.) of each ionic components was calculated. Based upon E.F., it is considered that Na+, Cl-, and K+ in coarse paricle mode were delivered form oceanic source, but other components might have other source origins.
        269.
        200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호우시에 저수지로 유입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고 저수지내 부유사 농도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여 저수지의 정량적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탐진댐에 적용되었으며 강우유출관계는 Huff의 강우분포와 Clark의 유역추적법을 사용하였으며, 저수지 추적은 Puls방법을 이용하였다. 토사유출량의 산정은 범양토양손실공식을 분포형 개념을 이용 단일호우에 대해 적용하여, 적정 빈도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저수지내
        270.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대형 부유식 구조물의 초기 설계단계에서 부체구조물과 상부구조물을 분리하여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체의 탄성응답해석의 변형모드를 이용하여 상부구조물의 주각부에 강제수직변위를 입력하여 파랑하중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해석법의 경우 각 지점에 변위하중을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랑하중을 지점변위하중으로 직접 입력하지 않고 고정하중과 적재하중에 의한 강도설계 결과를 이용하여 파랑하중의 영향을 증폭계수의 형태로 도출하는 근사 실용정적해석법을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4경간 3층 구조물을 예제로 하여 파랑하중의 진폭과 주기, 보 경간을 매개변수로 한 증폭계수의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보 모멘트의 증폭계수는 특정회귀방정식으로 나타내었다.
        271.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igh speed elimination process of suspended solid was investigated to treat the pulp waste water by using surface modified magnetite particle and magnetic power. The effects of the various aluminum salts such as Al(NO3)3·9H2O, AlCl3·6H2O, Al2(SO4)3·13~14 on the COD, BOD and suspended solid were systematically studied. It has been found that the 2.0 wt% of Al was most effective for the modification of Fe3O4 powder and then best for the treatment of pulp waste water. Optimum quantity of modified magnetite in this study was 12 wt%, and aging time was found to be 12 hours.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process, the required time for SS removal was drastically decreased. BOB and COD were also effectively removed when applied to the pulp wastewater.
        272.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질의 부유 현상이 일련의 쇄파라고 하는 파동 현상에 어떠한 형태로 연동하는가를 면밀히 조사하기 위하여 현지해안의 쇄파대내에 주 관측지점을 설치하고 부유사 농도와 유속, 수위변동 등의 관련 파랑 제원을 계측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위변동, 유속변동치의 부유사 농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상관이 탁월한 주기대에 대한 ensemble 평균 분석으로 유속 및 수위변동의 위상에 따른 부유사 농도의 변화와의 관계를 명백히 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부유사의 농도 변동은 유속 및 수위변동의 에너지가 가장 큰 장주기 성분(100s)에 있어서 보다 오히려, 관측지점이 절(node)이 되는 1차mode의 장주기중복파(60s) 및 배(anti-node)가 되는 2차 mode의 중복파(30s)의 주기성분에서 상관이 높았으며, 2)또한, 1차 mode의 장주기중복파의 유속 성분이 해안으로 향하여 가속하는 위상 즉, 수면 경사가 상대적으로 해안선측보다 외해측이 높은 위상에서 부유사 농도가 가장 높아짐을 명백히 하였다.
        273.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교각에 부유잡목이 걸린 경우의 피해사례와 원인을 검토하고 교각주위의 부유잡목에 의한 수위 및 유속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교각에 걸린 부유잡목의 면적변화 및 각도변화에 따른 교각 주위의 흐름특성을 통해 교량 및 제방의 안정된 설계를 위한 부유잡목의 기초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각종 설계기준을 검토한 결과 하천에 설치된 교량 등 수리구조물의 여유고는 단순히 하천의 유량에 따라 결정하도록 하고 있어 좀더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한 것으
        274.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est management starts from forest road facility, which is designated as generation source of muddy water in mountain stream during initial stage of establishment.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effect of suspended sediment generated in forest road surface on the muddy water in mountain stream with respect to marsh area of forest. As a result, characteristics of outflow of suspended sediment was understood, and it was judged that generation of suspended sediment due to establishment of forest road is diluted by mountain stream this charged from drainage area so as to have small effect on muddy water in total mountain stream.
        275.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대형 부유식 구조무? 상부구조는 육상 구조물과는 달리 파량하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하부부체의 변형에 의해서 상부구조물에는 부가 모멘트가 크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부가모멘트의 저감을 위하여 보-기둥 접합부에 반강접의 도입에 관한 연구는 시작단계이며 반강접의 비선형 거동을 고려한 상부구조물의 연구는 초기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대형 부유식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에 정적하중과 진폭의 크기가 다른 파랑하중이 동시에 작용할 경우 강접 골조와 부분적으로 반강접 접합부가 사용된 세 가지 접합부 종류에 대한 2차 탄성해석을 수행하였다. 접합부는 웨브에 더블 앵글을 가진 상하 앵글(TSD) 접합과 확장 엔드 플레이트 접합 그리고 각형강관 외다이아프램 접합부를 적용하였으며 중고층 구조물에 파랑하중이 작용할 경우 반강접 접합부의 위치에 따른 모멘트와 수평변위의 응답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76.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가 세계 물류기지의 중심 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날로 급증하고 있는 물류량을 처리하기 위한 항만의 건성이 시급한 과제이다. 국토가 좁고 대도기에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나 삼면이 바라도 둘러 쌓여 잇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해양공간개발이 필요하다. 증가하는 물류량은 처리할 수 있는 항만의 건설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대형 부유채식 컨테이너 야드를 제안하고 해상에 설치되는 초대형 부유채식 컨테이너 야드가 파의 길이 , 해역의 수심, 입사하는 파의 방향등에 따라서 어떠한 응답특성을 나타내는지 파악한다.
        277.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particulate for Yellow Sand of January, 1999 in Busan. Yellow Sand frequency during 13 years(1988~2000) in Busan showed maximum in April(57%), next to March(21%), May(16%). According to result of 850hPa weather map and backward isentropic trajectory, this event originated from the Gobi Desert and the Loess Plateau of China. And three mode was found in time series of TSP and PM10 concentration, primary peak showed the maximum hourly concentration at all station. Gamjeondong as industrial site showed the highest TSP concentration and also had the longest high concentration(≥700㎍/m3). In PM10, concentration of primary peak showed maximum value at Yeonsandong, maximum concentration of secondary and third peak was Deokcheondong. Lasted time from primary peak to secondary peak was about 30 hours, between secondary peak and third peak was 18 hours in Busan, The traveling time between occurrence of Yellow Sand the finding of it was 8~9 hours in Busan and 4~5 hours in central area.
        278.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세계적인 인구증가와 산업화로 인하여 육지면적의 부족, 육상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로 해양의 이용 및 개발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인 해양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초대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대형 부유식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에 대한 시간이력해석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파랑하중에 의한 부체변형을 이용한 시간변위이력 산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주기 및 진폭의 변화에 따른 상부구조물의 동적 시간이력응답 결과를 분석하고 초대형 부유식 상부구조물 시설계안의 동적구조안전성을 평가한다.
        279.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spended sediment outflows mainly by natural situation and artificial action and affects in down-stream. This research studied suspended sediments origination in forests size and mountain stream for natural situation, density for artificial action, and measured the size and possible quantity of suspended sediments origination and studied obstruction method of the generation by artificial action. As the result, I found that the size of generation is about 2~3% of forest size and the forest size which is affecting bare area of valley is about 1~2ha. In addition, possible outflow segments quantity by artificial facilities is assumed to be maximum 200ton/ha and abstract of mountain incline for mountain development needs minimize bare area valley by make right angle with minimum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