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6.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타이밍, 리듬, 동기화 등의 기능들을 훈련시키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Interactive Metronome(IM) 훈련을 설명하고 IM 훈련 효과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기전을 근거로 제공하여 다양한 연구영역에 서의 접근과 새로운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국내⋅외 학술지에서 발간된 논문들 중 IM 훈련을 적용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국내 학술지 web 검색엔진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한국학술정보서비스, 디비피아를 이용하였으며 국외 학술지는 SCOPUS, PubMed, Google scholar를 이용하였다. 검색 주제어는 ‘interactive metronome’, ‘metronome training’ 그리고 ‘synchronized metronome’을 검색하였다. 결과: IM 훈련 효 과에 대한 3가지 신경생리학적 기전 중 첫 번째는 뇌 시계와 시간적 정보 처리로서 IM 훈련을 통해 주요 뇌 영 역 일반 신경인지 메커니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뇌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과 동기화로 반복적으로 수행 되는 IM 훈련은 뇌신경 네트워크와 뇌 영역 간의 연결성 및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촉진된다. 셋째는 주의 조 절 시스템 기능의 향상이다. IM 훈련은 내⋅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해 요소에 대한 통제력을 높일 수 있으며 고 도의 사고와 주의집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 IM 훈련은 장애 및 질환 영역과 스포츠 및 운동행동 영역에 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타이밍, 리듬, 동기화 등의 기능들을 향상시킨다. 또한, IM 훈련은 선행연구들을 통 해 뇌신경 가소성이 일어나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4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을 주제로 하는 기능성 게임에 따른 흡연 태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흡연태 도와 심리생리학적인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뒤, 금연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흡연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저항, 심리적 디스트레스, 뇌파(Left Brain θ, Right Brain θ)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흡연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 심리적 저항은 부정적으로 영 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θ파의 경우 좌뇌 에서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우뇌에서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48.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digenous plant in Jeju island, Sasa quelpaertensis Nakai, belongs to the Bambusoideae and inhabit around Mt. Halla. According to the ancient book such as Dongui Bogam, Sasa quelpaertensis Nakai have been known to possess the antidiabetic, anti-inflammatory, and anti-diuresis effect. However, because of gradual upturning temperature, Sasa quelpaertensis Nakai was spread out to wider area and intrude the habitat that other plant species are growing. Recently, although the study to seek effective use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the investigation about functional properties has not been taken place enough. Methods and Results : To assess the inhibitory activity of melanin synthesis, we employ the tyrosine as substrate and measure the formation of dopaquione at 490 nm. Firstly, 0.1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and tyrosinase were mixed and incubated at 37℃. After incubating at 37℃, the absorbance rate was measured at 490 nm. The value was compared with positive control, arbutin, and calculated with the rate between sample and control value. Previously, formononetin, glabrene, glabridin, glabrol, artocarbene, dihydromoriin are known as effective substances for whitening. Moreover, the arbutin, which was separated from Arctostaphylos uva-ursi (L.) Sprengel, are widely used in cosmetic field. Arbutin inhibits tyrosinase and tyrosine synthesis, which induce blackish pigmentation. Practically, the Sasa quelpaertensis Nakai leaf ethanol extract depend on different solvent condition, whole extracts showed stronger inhibition than arbutin. Especially, 60% ethanol extract exhibited twice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an arbutin, whereas least inhibitory activity was seen in 20% ethanol extract. Conclusion : In this study, a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leaves extracted by different solvent condition. In the results, each extracts was prior to arbutin. Yet, 20% ethanol extract was lowest, but on the one hand, 60% ethanol extract demonstrated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4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D 입체영상게임의 영상효과와 실재감, 피로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플레이테스트 실험처치 방법론을 통해 2D게임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로 3D게임과 2D게임에 대해 사용자들의 영상경험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했던 가설은 영상선명도를 제외하고 실물감, 입체감, 실재감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둘째로 3D게임과 2D게임은 안구피로도와 신체피로도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그동안 3D 입체영상에서 발생하는 영상왜곡과 피로 유발요인으로 피로도가 발생한다고 하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것이다. 셋째로 3D게임과 2D게임 플레이과정에서 발생한 뇌파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EEG 알파파의 평균 진폭은 차이가 없었으나 EEG 베타파는 더 높은 진폭대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전통적인 실험연구 방법에 EEG 뇌파측정을 방법론적으로 보완하여 3D 입체영상게임의 사용경험과정에서의 뇌생리학적 변화와 차이를 검증하였다.
        50.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목표 지향적 양수 협응동작 수행시 나타나는 연계 변화에 기저가 되는 협응구조 메커니즘을 행동학적, 운동학적, 그리고 근 신경생리학적 측면에서 규명하고 아울러 연령이 증가하면서 이를 메커니즘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3개의 연령집단(초등, 대학생, 노인) 총 15명이 한손 조준과제와 두 손 조준과제를 각 4번씩 수행하였다. 각 과제가 실시되는 동안 동작 분석기(Ariel Dynamics 2000)와 EMG(Mega, 1998)시스템이 작동되어 동작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었다. 실험 결과 목표 지향적 두 손 동작의 연계가 모든 연령에서 나타났으며 두 손의 연계성이 마치 하나의 단위와 같이 나타났으나 동작 시간과 관련되는 근 신경생리학적?운동학적 변수는 연령에 따라 다소 다르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은 아동과 노인 집단에 비해 최소한의 신경생리학적 변수(길항근 지속시간)와 운동학적 변수(최소한의 각 위치, 효율적 거리-카버링)를 사용하여 목표조준 운동에 대한 두 손의 협응과 연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노인과 아동은 대학생에 비해 속도-정확성 상쇄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사항들이 논의되었다.
        53.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보 10)의 경과 품종, 종자숙도의 차이에 따라 중배축 신장성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 것이 유전 또는 생리적 특성의 차에 기인한 것인지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던 바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습윤.고온처리에 의한 중배축 신장 효과는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도 7배 이상 크게 신장하여 그 효과가 현저하였다. 2. 토양수분 함량에 따른 중배신장은 수분함량 8%구에서 최고치를, 16%구에서 최저치를 나타내 토양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3. 식물 Hormone중 중배축신장 효과는 cis-ABA 처리구가 GA3 , IAA 및 Kinetin 처리구보다도 그 효과가 현저하게 컸다. 4. 중배신장과 분리근장과는 어떠 뚜렷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나 중배축장과 분리근의 건물중간에는 중배축장이 클수록 건근중이 크게 나타났다.
        54.
        198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의 직파재배에 있어서 가장 취약점인 출아.입묘율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배축 신장에 대하여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종의 기원별 중배축장은 다수형 품종이 9.6mm로 재래종과 일본형 각각 4.4, 3.2mm 보다도 훨씬 컸다. 2. 생태형별 중배축 신장은 tjereh, aman, aus, boro 및 bulu 순으로 tjereh가 29.3mm로 buld의 5.4mm에 비해 약 5배나 컸다. 3. 품종간 중배축장은 재래종에서 백경조, 다다조 및 해조가, 일본형은 상풍벼, 팔달 및 간량도가, 다수형 품종에서는 원풍벼, 가야벼, 밀양30호 및 수정벼가 컸다. 4. 종자 숙도별 중배축장은 개화 1주후 채종 종자가 39.3mm로 가장 컸고, 성숙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중배축장은 점차 작아졌다. 5. 종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종자숙도와 관계없이 중배축장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저장온도 5℃ 구가 15℃ , 25℃ 에 비하여 중배축장의 감소정도가 작았다.
        55.
        198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의 냉해 경감을 위하여 인산 및 붕소의 시용효과를 구명코저 인산을 10a당 10, 20kg, 붕소를 0, 3, 5, 10, 20, 30kg을 분벽기, 유수형성기 및 감수분열기에 시용하고 유수형성기 이후부터 15-18℃ 로 냉수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붕소의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시용후 3일경부터 염색이 황변하며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생육후기에는 염색이 암갈색으로 착색되고 엽선단의 양록이 말리며 고사되었다. 한편 조립의 선단부에도 암갈색으로 착색되었다. 2. 엽록소 함량은 분벽기와 유수형성기에 10a당 5, 10kg의 붕소 시용구에서 높았으며 감수분열기 처리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광합성능력과 붕소시용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분벽기 시용구에서는 붕소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한편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어도 이에 비례하여 광합성능력은 별로 증대되지 않았다. 4. 근활력은 대체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붕소처리구가 다소높았다. 특히 분벽기에 10a당 3, 5, 10kg의 붕소처리구에서 높았다. 5. 붕소처리에 의한 출수촉진효과는 붕소의 시용시기가 빠를수록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고 붕소수준간에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붕소를 10a당 3, 5, 10kg 시용구에서 3-7일의 촉진효과를 보였다. 6. 붕소처리는 등숙에 영향을 미쳐 인산수준 및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붕소를 10a당 3, 5, 10kg 시용한 구에서 약간 높아졌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