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Quality Management(TQM) is the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for the enterprise faced with the dynamic change of the environment as the customer satisfaction era, unlike the past marketing era. It can have an effect on the strategical choice of the enterprise and becomes a new spotlight of management strategy in business administration recently with various technique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such as business re-engineering, benchmarking and so on. The TQM which has an essential part of a Risk Response Process is recognized as strategic aspects in Risk Management. TQM means the total management system that realizes management philosophy of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ontinuous improvement and innovational thoughts on the basis of top-management's leadership and employees' involvement, policy of quality management, customer focus,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empowered work forces, and supplier relationships. The data investigating the business performance effect of active factors in TQM based on the shipping firms were collected from 250 shipping firms in Korea by the use of questionnaire method and personal interviews at the selected samples.
외국어 능력이 수출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400개 기업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외국어 능력이 수출마케팅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 구사능력이 우수한 기업일수록 해외시장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하거나 현지의 상관습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협상시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여 심리적으로 경쟁사보다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다. 또 수출마케팅 능력의 향상은 수출성과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수출마케팅 부서 내에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임직원의 비율이 높을수록 해외시장 정보를 경쟁기업보다 용이하게 확보하고 있으며 이러한 능력이 수출비중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 부서 내에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임직원의 수가 많을수록 현지의 상관습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며, 상관습의 이해는 수출 성장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TL 9000 성과지표 : R 2.5 및 이를 QUEST FORUM Web Site에서 등록하기 위한 절차 및 Data Flow를 소개한다. 끝으로 TL 9000 성과지표 : R 3.0 및 Product Category 중 R 2.5에서 개정된 주요부분을 소개하며 향후 성과지표 개발 가이드라인에 대해 언급한다.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의 중국 직접투자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투자 성과 요인으로 크게 세 가지 요인, 즉 기술, 국제화 경험, 소유 지분 유형을 검토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91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기술의 노동 집약도와 현지 적합 정도와 투자 기업의 국제화 경험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유 지분 유형은 투자 성과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소유 지분 유형은 현지 매출 비중과 현지 조달 비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기업의 국제화가 진전되면서 해외직접투자가 본격화되었으며 이 중 많은 기업들이 국내의 급격한 임금상승과 원화의 강세를 피해 동남아 국가로의 직접투자를 진행하였다. 한국기업은 동남아 직접투자에 있어서는 인수합병에 의한 진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신규설립과 합작투자에 의한 진출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으로 성장하려는 우리 나라 기업의 동남아 직접투자에 있어서 진출유형에 따른 주식시장의 반응을 분석하고 이를 선진국 진출시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여년간의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전개상황을 조사해 보고 주식시장의 효율성을 전제로 동남아 및 선진국시장 진출 공시에 따른 해당 기업가치의 변동여부를 측정하여 비교해 보았다. 분석결과 한국기업의 선진국 시장진출에서는 합작투자에 의한 진출이 매우 유의한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을 나타내었고 신규설립에 의한 진출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던데 반해 동남아 진출의 경우 신규설립에 의한 진출이 오히려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합작투자에 의한 진출은 해당기업 주가에 음의 누적초과수익률을 가져다주는 부정적인 사건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투자자들이 동남아시장에는 선진국 시장에 비해 합작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나 파트너로부터의 도움이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오히려 국내기업도 우리보다 경제발전 수준이 뒤쳐진 동남아 시장에는 독자적으로 진출하여 현지경영을 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세계경제의 글로벌화가 급속히 그리고 광범위하게 진전됨에 따라 기업의 국제전략에서 해외직접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 나라 기업 역시 이러한 추세에 맞춰 해외직접투자를 꾸준히 늘려 왔으며 특히 IMF 구제금융 신청 이전의 10년간은 우리 나라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가 괄목할 만한 증가를 보인 기간이었다. 우리 나라 기업들은 1968-1998년 기간 중 총 95억 4천 2백만불의 해외직접투자를 했으며 그 중 약 95%인 90억 9천 9백만불을 지난 10년간에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그러나 최근의 경제위기로 우리 나라 기업들이 극심한 자금부족 등 경영상의 애로를 겪게 되자 해외자회사들을 폐쇄하거나 축소하고 있으며 해외투자 실패를 보고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해외투자 실패는 해외투자 기업 자신에게 손해를 끼칠 뿐 아니라 그러한 현상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면 국가경제에도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해외직접투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다. 따라서 경영학의 어느 한가지 이론만으로는 해외직접투자의 성과를 설명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경쟁전략이론, 자원 기준이론, 국제전략이론, 그리고 대리인이론을 이용하여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성과를 설명한다. 실증분석 결과는 우리 나라 기업의 기술적 우위는 해외자회사의 경영성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매출액 대비 광고비 비율로 측정한 마케팅우위는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해외투자를 한 우리 나라 기업들이 보유한 자원은 어떤 것도 해외자회사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는 독특한 가치 있는 자원을 개발한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그러한 자원이 경쟁우위의 창출에 기여할 정도로 충분히 개발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시사한다. 문화적 유사성이 있는 국가에 투자하는 것이 해외자회사의 경영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다는 발견은 문화적 유사성이 투자기업이 직면하는 "외국비용"을 회피하는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해외직접투자를 행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모기업 및 해외자회사의 특성요인들과 합께 단독/합작투자의 해외시장진입형태가 해외자회사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단독투자가 합작투자보다 더 높은 경영성과를 나타내었고, 전체표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 단독투자의 해외시장 진입형태가 해외자회사의 경영성과에 상당히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합작투자의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기술력, 인적자원등의 축적이 낮기 때문에 합작파트너와의 문화적 갈등, 협상, 지휘 ·통제 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비용들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해외자회사의 경영권을 완전히 지휘 ·통제하는 단독투자형태가 해외자회사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모기업의 특성 요인 중 R&D비율과 해외자회사의 특성요인중 판매액대비 수출비율이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이 변수들과 해외자회사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위하여 전체표본을 단독 및 합작투자로 구분하여 추가적으로 분석한 경우, 단독투자표본에서는 모기업의 현지국 투자 전 수출년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해외자회사의 판매액대비 수출비율이 높을수록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합작투자표본에서는 모기업의 R&D비율만이 해외자회사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ophylline, pentoxifylline and heparin on frozen-thawed Hanwoo sperm for enhancing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 Frozen-thawed semen collected from one bull was treated in TALP(tyrode-albuminlactate-pyruvate) containing varous concentrations of theophylline and pentoxifylline. After incubated at 5% CO2 in air atmosphere for 6 hours, the motility of sperm after the treatments was characterized by CASA(computer aided semen analysis) system. When monitored notility(MOT) and curvilinear velocity(VCL), theophylline and pentoxifylline exerted their optimal action at the concentration of 30 mM and 3 mM, respectively. No difference of sperm motility was observed when the sperm was treated with both substances compared with a single treatment of each substance. Comparison was then made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theophylline and / or pentoxiophylline on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significant treatment effects of each substance, high MOT and VCL values were detected in sperm treated with theophylline. In the case of sperm viability examined by an eosin-nigrosin staining, however, a significant decrease was found after the combined treatment of theophylline+pentoxyphilline than after the treatment with heparin alone or no treatment(P<0.05). In conclusion, theophylline, pentoxiphylline or heparin can be used for enhancing the motional characteristics and viability of frozen thawed Hanwoo seme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ubstances, theophyline may be useful in the artificial insemination system, which requires vigorous sperm motility. While, heparin supporting sperm viability in vitro can be effectively used for improving in vitro-fertilization system.
팔당호의 어업대상 어류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북한강 유입수역, 남한강 유입수역 및 양수역이 합쳐진 팔당호 중심수역에서 자망과 정치망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총 9과 23속 24종 또는 아종 2,362개체를 채집하였는데, 이 중에서 누치(Hemibarbus labeo, 21.46%), 가 시납지리 (Acanthorhodeus gracilis, 20.79%),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19.52%) 순으로 채집량이 많았으며, 채집장소별로는 북한강 유입수역에서 56.22%, 남한강 유입수역에서 18.92%, 팔당호 중심수역에서 24.85%가 채집되었다. 외래어종으로 블루길 (L. macrochirus), 베스(Micropterus salmoides), 찬넬동자개 (Ictalurus punctatus) 가 총 개체수의 25.11% 채집되었으며, 어구별로는 정치망에서는 블루길, 자망에서는 누치가 가장 많이 채 집되어 어구 특성을 활용하면 외래어종으로 생태계를 파괴한다고 지목받고 있는 블루길의 개체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어구 제작도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계절적으로 총 생체량은 9월, 총 개체수는 11월에 최대치를 보였고, 주요 어업 대상 어종으로는 전장이 크거나 개체수가 많은 강준치 (E. erythropterus), 블루길 (L. macrochirus), 베스 (M. salmoides), 누치 (Hemibarbus labeo) 등 다양하였으나 쏘가리(S. scherzeri)와 같은 고급 어종은 희소하였다. 한편, 팔당호는 종다양도 0.909, 균등도 0.659, 그리고 우점도 0.157로서 팔당호 어업대상 어류는 생태적으로 비교적 다양한 군집을 이루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