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3

        281.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디스플레이는 반도체와 함께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표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산업을 살펴보면, 20세기 이전 핵심 디스플레이인 브라운관(CRT)의 단점을 극복한 LCD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장은 2000년에 들어서면서 최근까지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성숙기로 진입한다. 그러나 LCD 시장은 2008년 이후부터 둔화하기 시작한다. 특히 2010년부터 세계적인 경기 침체, 중대형 LCD 공급 과잉 및 가격 급락, 중국의 LCD 생산 등은 LCD의 시장 성장을 둔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디스플레이 시장 정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탐색할 필요성을 느낀다. 왜냐하면 LCD 산업은 현재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의 9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LCD 산업의 둔화는 곧 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시장현황 및 전망, 디스플레이의 장점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주목해야할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찾아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 기회를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Flexible Display로 전망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In-depth Interview를 가지고 필터링하고 유사그루핑하여 Focusing된 29가지 Key-Insight Feature를 전략 플랫폼에 Mapping해 봄으로써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Biz 기회를 탐색하고 주력분야를 예측한다.
        283.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후 효과적인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2007년도부터 2009년도 까지 총 8회의 세대통합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노인, 아동, 원예치료사, 및 선생님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2007년도에의 프로그램 선호도는 유실수 심기, 상추 묘종 심기, 허브 심기, 토피어리 액자 만들기, 테라리움 만들기, 봉숭아 물들이기, 압화 액자 만들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2008년도에는 송편 만들기, 유실수 심기, 허브 분갈이, 매실차 만들기, 씨앗 엽서 만들기, 옥수수 수확하기, 상추 수확하기, 잡초 뽑기 등의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도의 프로그램 중에서 찰떡 만들기, 보리 구어 먹기, 창포 머리감기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자심기, 상추 묘종 심기, 등산로 산책하기, 화단 만들기, 짚풀 공예, 감자 수확하기 등의 프로그램들도 좋아했다. 이와 같이 조사된 선호도를 바탕으로 초반부, 중반부, 후반부로 나누어 노인과 아동 간 효과적인 세대통합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초반부에는 유실수 심기, 감자 심기, 상추 묘종 심기, 허브심기, 등산로 산책하기, 압화액자 만들기 등을 활동을 통해 대상자 간 자연스러운 관계형성을 위해 쉬우면서도 간단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중반부에는 송편 만들기, 보리구어 먹기, 화단 만들기, 상추 수확 및 삼겹살파티, 허브 분갈이, 토피어리 액자 만들기, 씨앗 엽서 만들기, 잡초 뽑기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활발한 신체적 활동을 유도하고 협동심과 책임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후반부에는 창포 머리감기, 찰떡 만들기, 테라리움 만들기, 봉숭아로 물들이기, 감자 수확하기, 옥수수 수확하기 등의 활동을 통해 수확의 기쁨을 느끼고, 노인과 아동 간의 교감을 느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284.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그래픽으로 표현된 정보는 컴퓨터게임에 익숙한 게임세대들에게 정보를 인지하는데 텍스트보다 선호하는 스타일이다. 또한 수학교육에 있어서도, 그래픽으로 표현된 수학문제를 통해 해를 찾는 학습은 학습자들에게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뚜렷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세대인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수학문장을 그래픽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가시성이 우수한 그래픽 요소들을 사용하여 단위정보를 논리적인 구조로 배치하고 단위 정보들 사이의 논리적인 연관성을 기호, 선분, 또는 화살표로 표현하여 게임세대들이 문장의 내용을 인지하지 쉽고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기존의 수학문장의 그래픽표현방법과 달리 제안하는 방법은 문장의 시제와 태까지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게임세대인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수학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또 수학교육용 컴퓨터게임의 학습 스캐폴딩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수학정보의 그래픽표현을 위해 널리 활용될 수 있다.
        285.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HP(di-ethylhexyl phthalate)는 가장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인체노출 빈도가 매우 높은 내분비계장애물질이다. 본 연구는 임신기와 수유기 동안의 DEHP 노출이 후세대 생쥐 암컷 난소 및 난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난소의 기능유전체 발현 변동을 조사하고, 유전자 발현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생식독성 마커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DEPH를 임신(GD) 1일째부터 수유기에 해당하는 출생 후(PND) 20일까지 모체에 0, 1.5 mg/kg/day 농도로 경구투를 한 후, F1 암컷의 난소 RNA를 추출하여 microarray 분석을 수행하였다. Expression Console software version1.1을 이용하여 발현변화가 나타난 유전자 정보를 획득하였다. 대조군과 1.5 mg/kg/day 처리군의 난소조직의 microarray 분석 결과, 약 120여 개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 정보를 확보하였으며, 특히 골지체에 존재하는 당전이효소인 fucosyltransferase 11(FUT11)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난소 내 FUT11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정주기에 따른 난소 FUT11 발현, 과배란을 유도한 후 난포 성숙과정에서의 FUT11 mRNA 및 단백질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발정주기에 따른 난소 조직에서의 FUT11발현은 발정기시기에 가장 높았으며, granulosa luteal cell, oocyte, interstitium에서 FUT11 단백질 발현이 확인되었다. 과배란을 유도한 난소조직에서는 PMSG 46 h 째에서 FUT11의 발현이 가장 높았다. DEHP는 임신기 및 수유기를 통해 장기간 노출될 경우 후세대 암컷의 난소기능 및 난자에 기능적 문제를 야기한다. FUT11은 인체질병 발생시 비정상적인 당잔기의 합성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실제로 암 조직이나 염증부위의 단백질 및 당지질의 당쇄부위에 fucosylation이 증가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DEHP의 장기 노출이 후세대 암컷 생쥐 난소내 FUT11 발현을 증가시켜 난소 내 granulosa luteal cell, interstitium, oocyte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의 당쇄구조의 비정상적인 fucosylation을 유발함으로서 난소의 내분비기능과 및 난자성장 및 성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9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과 아동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우울 및 아동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 및 노인이미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전남 무안군의 마산리 남성 노인과 성남 어린이집 아동 간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였고, 무안군의 동암리 여성 노인과 푸른솔 어린이집 아동 간의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19회기 실행하였다.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우울은 프로그램 전에 비해 후에 남성 노인들은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 노인들은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노인들의 아동이미지 변화는 남성과 여성 노인 간의 차이가 없었다. 프로그램 전에 비해 후에 여아보다 남아의 사회․심리적 행동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정서적 행동특성은 여아와 남아 간의 차이가 없이 안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아동들의 노인 이미지변화는 남아와 여아 간의 차이가 없었고,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29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노인과 아동 대상자 간의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우울 및 아동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 및 노인이미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노인대상자는 전남 무안군 현경면 마산리와 청계면 월선리 노인들이 참여하였고, 아동대상자는 무안읍 성남 어리이집과 청계면 푸른솔 어린이집의 7세 아동들이 참여하였다.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2월 12일 부터 5월 28일까지 주 1회 2시간씩 총 16회 실시하였다.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는 프로그램 전보다 프로그램 후에 점수가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우울 점수는 프로그램 전에서 비해 프로그램 후에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노인들의 아동의 이미지 점수는 프로그램 전보다 프로그램 후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들의 사회․심리적 행동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정서적 행동특성은 프로그램 전 21.47점에서 프로그램 후 19.26점으로 2.21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있었다. 아동들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 점수는 프로그램 전 23.57점에서 프로그램 후 31.65점으로 8.08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과 아동 대상자 간의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아동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세대통합 원예활동은 아동들의 정서적 행동특성을 향상시키고, 노인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298.
        201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HP (di-ethylhexyl phthalate)는 인체노출 정도가 매우 높은 산업물질로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다. 임신기와 수유기를 통한 DEHP의 노출이 암컷의 사춘기 도래 및 생식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EPH를 임신 (GD) 18일째부터 수유기에 해당하는 출생 후 (PND) 20일까지 모체에 0, 0.015, 0.15, 1.5, 15, 150 ㎎/㎏/day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산자 암컷에서 PND 56일까지 발정주기 횟수를 확인하였다. 휴지기 (diestrus)와 발정기 (estrus) 시기의 mouse를 선별하여 난소 내 황체 수와 면적을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과배란을 유도한 후 배란 난자 수 및 성숙도를 분석하였다. 혈중 E2농도를 측정하였으며, 휴지기와 발정기 시기의 난소에서 estrogen의 합성을 조절하는 aromatase (Cyp19a1)와 sex steroid의 합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의 이동에 관여하는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StAR) mRNA 발현을 realtime PCR로 분석하였다. 또한, DEHP에 의한 난소 내 비 정상적으로 남성화된 세포의 출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ertoli cell 분화조절인자로 알려진 SOX9의 발현 변화를 realtime PCR로 확인하고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난소 내 SOX9을 발현하는 세포의 수와 면적을 분석하였다. DEHP에 노출된 F1 암컷의 발정기 도래간격이 15, 150 ㎎/㎏/day 처리군에서 길어졌으며, DEHP 0.15. 1.5, 15, 150 ㎎/㎏ 처리군에서 발정기의 횟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난소 내 황체의 수가 DEHP 1.5, 15, 150 ㎎/㎏/day 실험군에서 발정기 동안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과배란 난자수도 DEHP 1.5, 15, 150 ㎎/㎏/day 실험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형태 이상이 증가하였다. 발정기 혈중 E2 농도가 DEHP 1.5, 15, 150 ㎎/㎏/day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1.5, 15, 150 ㎎/㎏/day 실험군의 발정기 난소에서 Cyp19a1, StAR 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SOX9 mRNA 발현이 DEHP 0.15 ㎎/㎏/day 실험군에서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SOX9이 발현되는 theca cell의 면적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DEHP가 임신기 및 수유기를 통해 장기간 노출된 암컷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으며, 암컷 생쥐의 사춘기 도래시기의 변형, 발정주기 불규칙화와 같은 주변적 사춘기의 변형을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혈중 E2 농도 감소, 황체 수 감소 및 스테로이드형성 유전자 발현의 감소를 통해 DEHP가 난소에서의 estrogen 합성과 분비조절 기능을 교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난소 내 theca cell의 비정상적인 분화를 유발하여 난포의 성숙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