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evaluated based on the items of KS B 6389. The study on the calculation of angular error and measurement uncertainty of HRc hardness measurement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using Rockwell measurement specimens with different hardness value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indenter part of the hardness tester and the specime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est statistic P values for angle changes such as 0°, 1°, and 2° were all 0.000 using the HRc 30 and 40 measurement specimens, so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extended uncertainty value was calculated as 0.612 at the 95.45% confidence level, and the fact that the hardness test value came out smaller than the existing test value as the inclination angle increased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발레단 소속 여자 무용수를 대상으로 연속 회전점프 시 시각선택과 회전 순서에 따른 차이를 도약과 착지구간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10명의 대상자(연령: 26.0±2.9 yrs, 신장: 163.4±3.3 cm, 체중: 46.8±3.6 kg, 발레경력: 12.3±5.9 yrs)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3차원 동작분석기와 지면반력기를 이용하여 신체중심의 높이와 도약과 착지 시 지면반력을 측정하였다. 시각선택(양눈 사용, 왼 눈 사용, 오른눈 사용)과 회전순서(첫번째 회전점프, 두 번째 회전점프)에 따른 차이를 반복측정 이원변량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신체중심의 높이는 첫 번째 회전점프가 높게 나타났다. 도약 시 지면반력의 좌 우힘은 좌우발 모두 두 번째 회전점프에서 왼발은 외측힘, 오른발은 내측힘이 강하게 나타났고, 전후힘은 오른발에서 첫 번째 회전점프 시 전방힘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수직힘은 좌우발 모두 차이가 없었다. 착지 시 전후힘은 왼발에서 두 번째 착지에서 후방힘이 강하게 나타났고, 오른발은 왼쪽 시각 사용에서 후방힘 이 강하게 나타났다. 수직힘은 왼발에서 두 번째 착지, 오른발은 첫 번째 착지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 ‘Scirocco’ 품종 수경재배 시 배액 재사용 여부에 따른 순환식 재배와 비 순환식 재배 및 배지 종류가 배액의 양분 이온 변화 양상과 생 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파프리카의 파종은 2021년 8 월 19일에, 정식은 2021년 9월 16일, 순환식 및 비순환식의 재 배 방식 적용은 2021년 10월 21일에 시행하였다. 배액 내 양 분 분석 결과, Na+와 Cl‒은 작물이 제대로 흡수하지 않는 대표 적은 이온으로써 생육이 진전될수록 순환식 재배방식에서 집 적되었다. 또한 배액 내 NH4-N의 함량이 NO3-N의 함량에 비 해 현저히 낮으므로 파프리카의 이온 선택성으로 인해 NO3-N 보다 NH4-N이 우선 흡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파프리카의 생육 및 과실 특성은 배액 재사용 여부와 배지의 종류에 따른 처리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순환식과 비순환 식의 수경재배 방식, 코이어와 암면의 배지 종류에 따른 파프 리카 수경 재배 시 중기 이후의 세력 약화로 인한 착과 불량을 유의하여 관리한다면 처리 간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농가의 실정에 맞는 재배 방식과 배지를 선택하여 파프리카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배액 재사용에 따른 병원균 감염 등을 잘 관리한 다는 가정 하에서 순환식 재배 방식을 채택해도 수량 감소나 품질 저하 등은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 판단되며, 폐기 문 제가 발생하는 암면 대신 코이어 배지를 선택한다면 더욱 환 경오염 감소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PURPOSES : The "Super-Bus Rapid Transit" (S-BRT) standard guidelines recommend installing physical facilities to separate bus lanes, so as to remove possible conflicts with other traffic when using an existing road as an S-BRT route. Based on a collision simulation, we reviewed the protective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method of a low-profile barrier, i.e., one that does not occupy much of the width of the road as a physical facility and does not obstruct the driver's vision.
METHODS : The LS-DYNA collision analysis software was used to model the low-profile barrier, and a small car collision simulation was performed with two different installation methods and by changing the collision speeds of the vehicle. The installation methods were divided into a fixed installation method based on on-site construction and a precast method, and collision speeds of 80 and 100 km/h were applied. The weight of the crash vehicle was 1.3 tons, and the segment lengths of the low-profile barriers were 2.5 and 4.0 m, respectively. The lowprofile barriers were modeled as precast concrete blocks, and the collision simulation for a fixed concrete barrier was performed by fixing the nodes at the bottom of the low-profile barrier. The low-profile barrier comprised a square cross-sectio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segments were connected by connecting steel pipes with varying diameters to wire ropes.
RESULTS : From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mall car collision simulations for the changes in collision speeds and installation methods of the low-profile barri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 (THIV) and acceleration severity index(ASI) for the 2.5-m barrier at a collision speed of 80 km/h.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installation method were not significant for the 4.0-m barrier. The occupant safety index with a collision speed of 80 km/h was calculated to be below the limit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method, and the length of the segment satisfied the occupant protection performance. At a collision speed of 100 km/h, when the segment length of the 2.5-m barrier was fixed, the THIV value exceeded the limit value; thus, the occupant protection performance was not satisfied, and the occupant safety index differ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method.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vehicle, which reflects the behavior of the vehicle after the collision,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method, and was generally small in the case of precast concrete.
CONCLUSIONS : Low-profile barriers can be installed using a fixed or precast method, but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precast movable barrier shows better results in terms of passenger safety. Therefore, it would be advantageous to secure protection performance by installing a low-profile barrier with the precast method for increased safety in high-speed vehicle collisions.
This article started with the purpose of discussing the need for research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 in sociolinguistic research. To this end, in this paper, the term ‘historical socilinguistics’ was first proposed, and the emphasis was placed on presenting the rationale. (1) Interest in language and society existed widely before the term sociolinguistics was coined. In particular, there are cases where the term 'sociology of linguistics' was used before the emergence of the term 'socilinguistics' mentioned in Lee Ik-seop (1994), mixtures are also found. (2) It was discussed that th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ety is to study the history of the language community, and that interest in the 'language community' has a long history in itself despite the diversity of concepts. (3) In this paper, the ‘history related to the linguistic phenomenon of a language community’ and ‘social factors as a linguistic environment’ are to be explored as ‘historical sociolinguistics’. (4) The need to study the historical and social factors of language change was discussed not only in terms of phonological, vocabulary, and grammatical changes, but also in the process of creation and settlement of translated academic terms.
본고는 오랫동안 비평적 무관심을 받아 온 존 밀턴의 가장 초기 시들, 즉 시편 114편과 136편의 운문 번역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이 운문 번역 시편들은 밀턴이 15세에 쓴 것으로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이 작품들을 밀턴의 습작(習作) 이상으로 취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운문 번역이 쓰여진 1620년 초기의 역사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밀턴의 시편 114편과 136편 번역은 지금까지보다 섬세한 독해를 요구한다. 본고는 밀턴의 초기 시편 번역이 단순한 습작이 아니라 모국어 운문 시편 번역 전통 안에서 밀턴 특유의 시적 자유와 시편의 전례(典禮) 전통을 개혁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긴 시도라고 주장한다.
김소월의 시 가운데 노래로 새로이 태어난 것이 많다는 데 주목하여 시와 노래, 문학과 음악이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 둘을 근본적인 관점에서 새로이 사유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김소월 의 시 가운데 김순남의 작곡으로 새로이 가곡으로 탄생한 작품이 꽤 있으니 이들이 만든 시와 가곡을 유사한 층위에서 조명하며 음악이 문학의 특성을 어떻게 음악으로 받아들이는지, 아울러 문학은 음악과 어떤 유사성을 지니는지 살핀 것이다. 김소월의 시는 감정을 분출하면서도 억제하여 독자에게 감동을 주기에 충분하였고, 김순남의 곡은 시의 분위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적절한 변용을 가함으로써 시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기능하는 노래와 음악의 의의를 창출하는 데 충분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산유화」와 「진달래꽃」과 는 「초혼」을 살펴보는 작업을 통해 김소월의 시와 김순남의 가곡의 관계를 좀더 면밀하게 탐구해보고, 이를 통해 시와 노래의 관계에 대한 좀더 의미 있는 결과를 제출하고자 하였다. 기초적인 작업인 까닭에 시와 노래의 상관성에 대한 현대적인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는 예비적인 연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 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시와 노래의 상관성의 관계가 좀더 깊이있게 논의될 수 있는 토대로서는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닐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고는 이형기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특성을 해명하려고 한다. 멜랑콜리는 현대시를 이해하는 중요한 철학적 개념이다. 멜랑콜리는 대상 상실에서 자아 상실로 변화하며 드러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자애 심의 추락’을 들 수 있다. 멜랑콜리는 부정적인 정신병리의 결과가 아니라 긍정적인 감정의 발산이며 문학의 새로운 방법론이다. 이형기의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는 사회학적 토대 위에서 발현된 자기부정과 문명비판이 수합되어 있다. 이형기는 문명의 발달로 인한 인간성의 상실과 공동체의 붕괴가 일어난 시기에 주로 활동하였다. 이형기의 시는 문명을 통해 경험한 상실의 멜랑콜리, 극복과 포용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영웅적 멜랑콜리의 양상을 드러낸다. 상실의 멜랑콜리는 죽음으로부터 새로움을 발견하는 영웅적 멜랑콜리를 통해 변증법적 인식으로 나아간다. 이형기 시세계를 멜랑콜리를 통해 분석하는 것은 새로운 방법론이다. 이를 통해 이형기 시세계의 해석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병렬영상기법인 SENSE 기법은 슬관절 자기공명영상의 검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기법 적용 시 SENSE factor를 증가시키면 영상에 인공물의 발생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소의 시간이 소요되면서 인공물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SENSE factor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SENSE factor 1.0을 기준 으로 0.5 간격씩 5.0까지 변화시켜 팬텀 실험과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와 dS Knee 코일 을 사용하여 T1, T2 강조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영상의 비교평가는 임상 경력 10년 이상의 방사선사 10명이 5점 척도로 평가한 후,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통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팬텀 실험은 T1, T2 강조 영상 모두 SENSE factor를 1.5 이하로 하였을 때 기준 영상과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실험은 SENSE factor를 2.0 이하로 하였을 때 기준 영상과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슬관절 자기공명영상 시 검사 시간을 단축하면서 인공물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SENSE factor는 팬텀 실험의 경우 1.5, 임상실험의 경우 2.0이 적정하리라 사료된다.
Dimethoxymethane, also known as methylal, is an oxygenated additive that contains approximately 42% oxygen content and is soluble in diesel fu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five kinds of blended fuels with different volumetric percentage of DMM in a diesel fuel. The test engine was used four stroke, single cylinder, DI diesel engine. Also, data was collected at 24 kinds of various engine speed-load condi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oxygenated additive to diesel fuel on the emissions and the performance. Smoke emissions of all DMM blended fuels were reduced substantially in comparison with diesel fuel.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simultaneous reduction of NOx and smoke emissions could be achieved by oxygenated additive and EGR method that was applied to decrease smoke emissions increasing with NOx emissions reduction.
생체용 마그네슘 합금은 전연성 부족과 열에 의한 팽창률 변화가 심하여 2mm 이하의 판재를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려움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압연 방식, 세이퍼 방식, 밀링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압연 방식을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Mg 합금은 전연성, 취성의 문제로 인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세이퍼 방식은 가공시 충격이 발생하는 단속절삭이기 때문에 표면에 자국이 남게 되고 시험편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최종적으로 밀링 방식으로 전환하여 가공실험을 수행해 본 결과 매우 만족할 만한 결과값을 얻게 되었고, 이 결과는 절삭조건을 절삭회전수 1000rpm, 이송속도 127mm/rev, 절삭깊이 0.5mm로 엔드밀 사용하여 가공하였을 때 Ra = 0.44㎛의 표면거칠기값을 얻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 마그네슘 합금재료로 미소판재를 가공하였을 때 매우 좋은 표면을 유지하며 2mm 이하의 미소 두께를 지속적으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절삭조건, 2날과 4날 엔드밀 날수 변화 등을 통해 최적의 가공조건을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9% nickel steel has remarkable mechanical properties in a cryogenic condition and is widely used in storage containers for LNG fueled ships. Demand for laser welding rather than conventional arc welding has grown to increase manufacturing efficiency. However there are various types of heat sources which are suggested by other researchers. With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a proper heat source shape for welding conditions. The author proposed a representative heat source model that can cover most of suggested heat source models through previous studies. Welding power was fixed at 4kW and the speed was changed to 1.0m/min, 1.5m/min, and 2.0m/min respectively. The shapes of the welding heat sources were derived, and the tendency of the main parameters was also deducted. It was observed that the width and depth of the weld bead decreased as the welding speed increased through welding experiment, parameters of welding heat source are changed linearl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estimate the shape of the heat source under untested welding conditions.
저격수는 전장에서 적의 사기와 전투의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4차 산업혁명으로 첨단무기가 발달한 현대 전장에서도 적에게 치명적인 피해 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한국 육군의 특수작전부대가 안전화작전 단계 시 북한의 도시지역에서 저격전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은 저격전의 개념을 정립하고 저격전의 영향요인(전장환경, 위협인식, 대 응의지)에 따른 저격전 전법(작전수행개념, 조직편성, 무기체계)을 중심으 로 분석하였고, 미군의 이라크 도시지역작전 저격전 사례분석을 통해 교 훈을 도출하여 한국군에 적용하는 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 과 저격전의 영향요인에 따라 저격전 전법이 발전함을 확인하였고, 안정 화작전 단계에서 북한지역 도시지역작전 시 특수작전부대 저격전의 영향 요인에 따른 창의적인 저격전 전법을 제시했다. 따라서 한국 육군 특수 작전부대는 단순한 저격수 운용이 아닌 합동작전개념의 저격전을 발전시 키기 위해 저격전의 영향요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저격전 전법을 창 의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블레이크는 후기시의『밀턴: 두 권의 시집에서 시』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신화적 우주를 구체적으로 묘사하기 시작한다. 블레이크의 신화적 우주는 고대 그리스의 우주와 달리, 성경의 우주를 변형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우주를 독자에게 전달한다. 그의 대우주는 천국, 지옥, 골고누자, 뿔라, 울로, 제너레이션, 지상 세계로 나눠지며, 더불어 인간의 육체는 소우주로 설명된다. 독자들은 밀턴이라는 주인공을 통해서 블레이크의 우주를 탐험하지만, 이 시에서 블레이크의 우주를 명료하게 이해하기는 힘들 것 같다. 이는 블레이크가 시적 영감을 받은 대로 시를 구술해 나가기에 그의 우주에 대한 노래가 체계적으로 서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자들은 이 시에서 블레이크의 영감과 상상력에 깊은 찬사를 보낼 것이다.
마야의 교리는 삶의 본질을 구성하는 경험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경험은 삶의 실제를 구성하는데, 마야는 세상의 그런 당혹스러운 경험을 이해하는 능력과 관련하여 경험을 무지의 범위 안에 두어 존재의 가치를 평가하는 척도의 일환으로 삼는다. 두 번째로 마야는 앞서 말한 사건과 상황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다면 해방을 제안하는 로고스를 창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본질적으로 모순되는 피상적 경험의 출현을 겪지만 동시에 더 높은 수준에서 피상적 경험에게 변함없이 계속되는 실질적인 경험을 겪는다. W. B. 예이츠, T. S. 엘리엇과 W. H. 오든의 시에서 우리는 각 시인이 삶의 혼란스럽고 상충되는 경험을 이야기함으로써 마야 교리와 조화를 이루는 예술적 성장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들 시인들은 각 개성에 따라 큰 투쟁을 하면서 통합과 행복을 가져오는 궁극의 경험에서 구원의 가능성을 찾는다.
이 논문은 워즈워드와 예이츠의 시에 나타난 자연과 회귀성이 초기 작품들과 후기 시들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연구한다. 두 시인들은 그들의 감정을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매개체를 자연에서 끌어왔다. 워즈워드에게 자연은 지식과 즐거움을 주고, 전 생애에 영향을 미친다. 워즈워드가 인간과 자연사이의 유대관계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던 반면에, 예이츠는 그러한 관계에 대한 실마리를 찾는 데 있어서 모호한 태도를 보인다. 예이츠는 낭만적 서정시에서 시작 활동을 시작하여 후기 시들에 이르기까지 자연으로부터 회귀적인 주제들을 더 깊은 통찰력으로 보여준다.
선박의 건조공정 중 강재의 절단과 곡 가공, 용접에 있어 화염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현재 조선소의 강재 절단과 가공 과정에서 는 아세틸렌이 화염 연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폭발 사고의 위험성과 상대적으로 적은 발열량의 한계로 최근에는 프로판 연료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판 연료는 상대적으로 가공 속도가 느리고, 가공 시 슬래그의 발생빈도가 높아 품질이 저하된다. 대체 연료로써 프로필렌이 주목받으며 가공 속도와 품질향상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고 있다. 프로필렌은 발열량이 우수한 연료로 강재 가공 간 생산성과 가공 품질의 우수성을 갖추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로판, 프로필렌 화염을 이용한 철판 가공 시 각 연료의 연소 특성을 분 석 및 비교하였다. 프로필렌 화염을 이용한 철판 가공 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유해가스를 프로판 연료의 배출량과 비교하여 저감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가공 연료에 따른 입열량이 선박용 강재의 기계적 강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열 분포실험과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 대체 연료인 프로필렌을 사용할 때 프로판 연료에 비해 온도분포가 고르게 나타났다. 기계적 강도 실 험 결과로 인장강도의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변형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실제 조선소의 강재 가공 및 절단과정에 적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분석 및 보완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Laser welding is used in various industries due to fast welding speed, and prediction with FEM is needed to design. The multi-layered heat source model that can cover various models has been recently proposed to analyze laser welding, but it takes a lot of time because more than 2,000 cases are compared to derive the results. In order to reduce the time, the simplified model should be suggested. In order to derive a simplified model, laser welding heat transf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welding direction length and the convection coefficient of the welding direction surface as parameters. As a result, the model whose difference is less than 0.1% compared to reference model is deducted. The analysis time was reduced by about 90% from 48 hours to 5 hours. Also difference of convection coefficient on the welding direction surface does not affec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uch.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in the cutting process of CFRP is tool wear. During CFRP machining, high temperature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cutting tool and the carbon fiber structure increase tool edge wear. Since CFRP is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he fibrous tissue is combined with a bonding resin, delamination caused by the separation of the resin and carbon fiber during process is recognized as a very big problem. This delamination proceeds very rapidly as the wear of the drill edge increases.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tool wear was measured during drilling using a TiAlN-coating drill with excellent wear resistance. In this study, tool wear is measured to suggest optimized cutting conditions for each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