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9

        1201.
        200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blends of styrene butadiene rubber(SBR) and chloroprene rubber(CR) prepared from an open 2-roll mill following the conventional polymer blend method for a wide range of the blend composition. Rubber vulcanizates were manufactured by hot press and then mechanical properties, heat and ozone resistance of the specimens were examined. Due to the post cure during the aging test, hardness of vulcanizates was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undesirable characteristics of heat and ozone resistance of pure SBR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the blending of SBR with CR.
        1205.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prepare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EPDM)/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NBR) blend which represents good environmental resistant properties including favorable oil and ozone resistance. With incorporation of EPDM, NBR and other ingredients, the rubber and chemical additives were mixed by mechanical method such as Banbury mixer and open 2-roll mill. Then rubber vulcanizates were manufactured by hot pr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il and ozone resistance of the test specimens were measured. The oil resistance and ozone resistance of EPDM and NBR, respectively, is remarkably improved by blending EPDM with NBR. The optimum results of oil and ozone resistant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at EPDM/NBR(=25/75 wt%) composition ratio.
        1206.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investigated on the seasonal basis across spring, summer, and fall during the year of 1998. According to this analysis, most VOC species investigated exhibited strong temporal trends. Over diurnal scale, the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affected by seasonal factors strongly. While they showed high day/night ratio pattern during spring, the pattern was reversed during fall. When the seasonal mean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seasons, the spring values were systematical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most cases. In addition when our VOC measurement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from elsewhere,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VOC levels in the study area are comparable to the level weakly impacted by the regional emissions of VOCs. Although our data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systematically explain the atmospheric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VOCs, the findings of strong correlations among some of VOC species suggests strong need for investigating their interactions in the earth's atmosphere.
        1210.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i-Sung Jang and Hyun-Sook Jung. 2000. A Study on Local, Temporal, Personal Deixis in German. Studies in Modern Grammar 22. 199-214. It is the intention of the present paper to give a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heory of Deixis. As a basis for this the "Zeigfeldlehre of Karl Buehler is used. Although this base is outdated or rather disputed in some respects it is the most comprehensive paper upon Deixis in the German language. To complete the present essay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Deixis (local, temporal, personal) will be examined in detail. Possibilities of systematization and definition will be given. With the intention to demonstrate and explicate the difficulties of foreign learners of the German language in a following step the system of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will be introduced. Some advice for learners of German will conclude this paper.
        1211.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ymire 등 (1984)에 의해 제안된 다차원 강우모형을 시공간 상에서 강우를 모의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위 모형은 시공간 상에서 실제 중규모 호우의 기상학적인 특징을 잘 재현하면서 이동하는 호우를 모의한다. 영월 지역의 4개 지점에서 4년간의 7월 강우 시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12년간의 7월 강우를 1시간 간격으로 모의 발생하였다. 모의 발생된 자료를 각 지점별로 재 구축한 후, 각 지점별
        1213.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율무 종자소독제인 Fludioxonail 10% 종자처리 액상수화제의 침종기간이 발아율 및 병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시내 실험에 있어 율무종자를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시 발아율이 93.8%로 기타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부패율은 침종기간이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폿트 및 포장시험에서 율무종자를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시 출현율이 기타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입고병은 침종기간이 길수록 심해지는 경향 이었다. 포장재배에서 생육상황은 약제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10a당 조곡 수량은 무처리 194kg에 비해 3일간 종자소독 후 3일 침종처리구와 6일 종자소독구에서 26%~27% 증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율무의 출현율향상 및 병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3일간 종자소독 후 3알 침종처리 또는 6일 종자소독이 적당하다고 여겨진다.
        1214.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temperature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re studied using the daily air temperature and sea surface temperature data for 25 years (1970∼1994) at 9 coastal stations in Korea. Seasonal variations of air temperature have larger amplitudes than those of sea surface temperature. The seasonal variations of air temperature leads those of sea surface temperature by 2 to 3 weeks. The anomali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are positively correlated. The long term anomali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with time scales more than 1 month are more highly correlated than those of short term, with time scales less than 1 month. Accumulated monthly anomali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for 6 months showed higher correlation than the anomalies of each month. The magnitud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anomalies are related with the duration of anomalies. Their magnitudes are large when the durations of anomalies are long.
        1218.
        200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달시간 산정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요소에는 유역형상과 흐름상태, 유출특성 등이 있다. 한편 Singh(1976)은 지표면흐름을 Kinematic Wave 이론으로 해석하였으며 유역형상을 평면형상과 수렴형상, 발산형상으로 분류하여 유역형상에 따른 도달시간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ingh이 제시한 평면형상에서의 도달시간 산정식에 기초하여 불투수 지표면 유출에서의 도달시간 산정을 다루었다. 이를 위한 이론식 유도는 흐름을 개수로 흐름(층류,
        1220.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덖음차 제조공정중 첫 덖음시간에 따른 최적 제다조건을 구명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엽시 엽수는 4매, 엽장 및 엽폭은 6.4cm × 2.4cm, 백아중(白芽重)은 40.2g이었다. 첫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여 6분 덖음시 6.0%에서 14분 덖음시 4.6%로 되었고, 제품수율은 10분에서 20.12%로 가장 높았다. 덖음시간에 따라 전질소는 5.14~5.41%, 총아미노산은 2,531~3,282mg/100g의 변이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첫 덖음시간이 10분일 때 가장 함량이 높았던 반면, 탄닌은 13.22~13.86%로 10분 처리에서 함량이 가장 낮았다. 카페인 1.64~2.01%로 첫덖음시간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엽록소(319.1~380.3mg/100g)와 비타민 C (158.9~208.8mg/100g)는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6종의 유리아미노산 및 질소화합물 분석 결과 총 함량은 2,447~3,192mg/100g이었으며 10분 첫 덖음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들 중에서 theanine이 50% 이상이었고 aspartic acid, serine, glutamic acid 및 arginine을 합치면 89.4~90.0%였다. 차의 색깔은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황색이 증가하였고 녹색은 10분 덖음에서 가장 진한 색을 나타냈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도 10분 덖음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첫 덖음 시간의 경우 10분이 적당하리라 생각된다.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