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와 교사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유아의 정서조절과 관련된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지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D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의 만 3세반 교실에서 약 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유아교육과 현직교수 2인과 유치원 교사 3인이 참여하였다. 협력적 실행연구의 순환과정을 통해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교사들이 작성한 유아관찰 기록지, 교사저널, 연구일지와 교실관찰, 전화통화 및 이메일 교신, 면담내용의 자료를 근거이론의 절차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협력적 실행연구에 참여하면서 정서조절 행동문제는 유아가 정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메시지이고, 유아가 처한 환경적 맥락에서의 어려움을 반영하며, 행동문제를 하는 유아가 곧 문제유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인식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협력적 실행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정서조절 행동문제에 대한 자신의 지도실제를 반성적인 사고를 통해 살펴보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관찰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하게 되었다. 또한 정서조절 행동문제를 지도하기 위하여 유아에게 관심을 가지고 믿고 이해하고 존중하기 시작했으며, 유아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 적용하였고, 정서조절 행동문제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부모 및 동료교사들과 협력하였다.
Performance evaluation has been done using financial indices which are generally regarded as inappropriate for the organizations which are innovative and progressive. Thus, the Balanced Scorecard(BSC) was developed considering long term performance and invisible performance. This BSC has four perspectives of finance, customer, internal operation, and learning. Based on the BSC, a new BSC has been derived with a fifth view of environmental and social perspective, which is now called as a Sustainability BSC. In this study, we evaluated Green IT initiatives using the Sustainability BSC. The initiatives are categorized as RFID, telepresence, paperless office, logistics management etc. The initiatives were evaluated from the view of five perspectives, resulting in high cor relationships among finance, internal operation, and environmental and social perspectives. Namely, good initiatives from the view of environmental/social perspective are also evaluated as good from the view of finance and internal operation perspectives. In this study, we recommend organizations to introduce Green IT initiatives by showing how Green IT initiatives have contributed to the organization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을 일상적인 과제수행에 기반 하여 평가하는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의 내용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연구방법 :뇌졸중 분야 전문가집단으로 구성된 29명을 대상으로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에 대한 내용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수정된 과제 적합성을 조사하였고 수정된 과제별 세부항목 적합성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응답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도 산출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 하였다.결과 :내용타당도는 각 과제에 따른 평균 CVI가 .67로 나타나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과제에 따라 내용타당도 지수는 .58~.75로 조금씩 상이하게 나타났다. 임상적 유용성은 각 문항의 산술평균 분 포가 2.69~4.03이었으며 ‘보통이다’ 이상의 응답이 44.8~100.0%로 나타나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Korean translation)는 실행기능을 보다 면밀히 평가하고 필요한 도움의 유형을 밝히는데 유용한 도구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문가 집단을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임상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며 관련 교육 및 연구가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목적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ᆞ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실행기능에 대한 중재 동향과 적용된 접근 법을 분석하여 작업치료 임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근거중심의 중재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연구방법 :200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해외 학회지에 개제된 연구를 대상으로 MEDLINE, Scopus, PubMed, ProQuest,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검색 키워드는 “Autism or ASD AND Execu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or therapy or approach or treatment or training” 이 었고 최종 21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결과 :선정된 연구는 연구의 질적수준, 연구 참여자의 특성, 중재종류, 종속변인으로 측정된 실행기능 영역, 실행기능과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 측정도구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근거수준은 수준Ⅰ에 해당하는 무작 위 대조연구가 8편(38.1%)으로 가장 많았고 19편의 연구가 고기능 자폐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행 기능에 대한 중재의 종류는 총 11가지로 응용행동분석, 인지행동 접근, 보완 대체요법을 사용한 중재가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으로 많이 사용된 실행기능 영역은 인지적 유연성이었고 실행기능과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은 사회적 기술과 행동문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각 영역별 측정도구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도구로는 스트롭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 선로 잇기 검사, 런던타 워 검사, 실행기능행동평정척도가 있었다.결론 :연구를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ᆞ청소년의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동향 및 다양한 중재법, 평가 도구를 알 수 있었다.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평가도구가 다양하고 혼 재되어 있으며 실행기능 중재에 초점을 둔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실행기능 결함이 자폐 범주성 장 애의 주요 특징으로 나타나고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실행기능에 관심을 가지 고 평가도구 및 중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에서 도입한 인사제도를 얼마나 일관성 있게 실행하는 지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들은 어떠한 인사제도가 또는 인사제도의 번들이 기업성과에 미치는지, 그리고 어 떠한 과정을 거쳐 이러한 성과가 나타나는지를 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인사제도의 운영과정 상의 특징에 주목하여, 인사제도 실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에서 인사제도의 비일관성이 높으면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효과는 종업원들의 회사에 대한 신뢰가 높은 경우 약화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HCCP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상의 가설을 검 증하였는데 2009년(3차년도)부터 2013년(5차년도)년도의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총 202개 기업, 연도-기업 관측치는 446개를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인사제도의 일관성은 2009, 2011, 2013년 3회의 조사기간에 걸쳐 실행된 인사제도 수의 변화와 도입 및 폐지된 인사제도의 수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본 연구의 주요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business environment is faced with multi uncertainty that have not been suffered in the past. As supply chain is getting expanded and longer, the flow of information, material and production is also being complicated. It is well known that development service industry using application software has various uncertainty in random events such as supply and demand fluctuation of developer’s capcity, project effective date after winning a contract, manpower cost (or revenue), subcontract cost (or purchase), and overrun due to developer’s skill-level. This study intends to social contribution through attempts to optimize enterprise’s goal by supply chain management platform to balance demand and supply and stochastic programming which is basically applied in order to solve uncertainty considering economical and operational risk at solution supplier.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to determine allo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manpower of developers using S&OP (Sales & Operations Planning) as monthly resource input has constraint on resource’s capability that shared in industry or task. This study is to verify how Stochastic Programming such as Markowitz’s MV (Mean Variance) model or 2-Stage Recourse Model is flexible and efficient than Deterministic Programming in software enterprise field by experiment with process and data from service industry which is manufacturing software and performing projects. In addition, this study is also to analysis how profit and labor input plan according to scope of uncertainty is changed based on Pareto Optimal, then lastly it is to enumerate limitation of the study extracted drawback which can be happened in real business environment and to contribute direction in future research considering another applicable methodology.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실행 기능,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 발병 6개월 이후의 뇌졸중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무작위 난수 생성 기능을 사용하여 가상현실 치료군과 비디오 관찰군으로 두 집단을 나눈 뒤 하루 20분, 주 3회, 5주간 실시하였다. 가상현실 치료군에는 NintendoⓇ 사의 Wii FitTM을 사용한 가상현실 치료(Virtual Reality Therapy; VRT)를, 비디오 관찰군에는 Wii FitTM의 데모 비디오 관찰(Video Observation; VO)을 시행하였으며 동일 기간 동안 20분의 일반 작업치 료 및 운동치료를 함께 중재 받았다. 중재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판 행동 통제 척도(Korean version of Behavioral Dyscontrol Scale; BDS-K)와 기능적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ing Test; FRT),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를 사용하였다. 결과 : 실험 결과 두 집단의 중재 후 점수 간 비교에서 BDS-K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가 상현실 치료군의 중재 전-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BDS-K, FRT, TUG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에서 실행 기능과 균형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며, 중재 후 두 집단의 비교 결과 실행 기능에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 프로 그램을 수행하고자 하는 치료사들에게 임상적 결정을 내리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c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from 2001 to 2015 across 36 masters/doctoral theses and 21 articles from journals. The research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ollowing criteria: purpose, theme, methodology, differences between such characteristics across action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s to that published in dissert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action research dissertation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the study suggests the number of action research continue its upward trend; action research in Korea has been more prevalent at the primary school level rather than at the secondary and university levels; and the proportion of mixed method in English education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mixed research in education with a 43% mixed method proportion accompanied by 55% of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concludes that action research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will become a more meaningful and feasible tool for practitioners’ inquiries, as it provides graduate students with applied experience in their current demanding school environment and writing assignments such as their thesis and research papers.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aforementioned factors enlarge the existential meaning of current graduate school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afe execution of the management plan in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This research addresses the issue how to prevent the collapse of facilities under construction and after completion, improve the examination system, and execut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Plan.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providing insights into understanding the ways in which creating and presenting safety checks and deploying safety training measures effectively is imperative.
ISO 9001, quality management system, is widely known as advancing internal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various industry. As a result,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have adopted ISO 9001’s certification have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year by year since ISO 9000’ family standard was published in 1987s. This fact shows that a lot of businesses are trying to get the accreditation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at ISO 9001’s certification motives affect to the requirement’s implementation and show that the execution of requirements influence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small manufacturer.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we obtained 96 survey sheets and inspected twenty assumptions based on the reliability,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certification motive influence on the requirement’s implementation except resources management. Second, the two elements of ISO 9001 requirement, resources management and product realization,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considerably in the companies that choose the internal motive. Finally, the two requisites of ISO 9001 requirement, resources management and measure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affect to the operation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significantly in the businesses that select the external motive. Based on the results, the companies that choose the internal motive have a good performance to execute the ISO 9001 requirements. Also, to implement the requirements of ISO 9001 is helpful for the companies to produce the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