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홍수와 같은 이상기후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수문과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강우 시나리오기반의 장기유출 유역모의를 통해 지표유출과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가뭄년도에서는 지표유출량 감소에 따라 오염부하량 감소현상을, 홍수년도에는 강우유출 증가에 따른 부하량 증가를 나타냈으나, 상류유역의 댐 직·하류와 같은 특정유역에서는 가뭄 시 댐 운영으로 인한 방류효과와 토양수분량의 변화 등의 물리적 요인들로 인해 SS부하량의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가뭄에 따른 SS의 농도변화는 유량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뭄년도의 평수량 및 갈수량 시기에 높은 농도분포를 나타내었고 T-P는 상대적으로 본류구간보다는 유량이 비교적 적은 지류구간에서 높은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반면, 홍수년도의 경우 SS와 T-P 모두 기준년도와 유사한 농도범위에서 완만한 형태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유출량이 적은 건기 시에는 SS 부하량 유출도 감소하지만 유출량이 증가할수록 부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T-P의 경우 건기 시에 부하량 유출이 크고 강우 시에는 오히려 감소하여 건기일수와 강우패턴에 지배적으로 각기 다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key finding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Numerical parameters study of the interface-element was carried out, the friction angle depends on rockfill zone material and normal and shear stiffness coefficient of the two materials (concrete and rockfill), the average values were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학교상담의 성격과 역할, 목표는 일반상담과는 다른 특수성을 갖는다. 따라서 학교상담 사례 개념화와 사례 개념화를 요소에도 이러한 학교상담의 특수성이 반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상담 전문가들을 통해 학교상담을 수행함에 있어 사례개념화 요소로 삼는 것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여 학교상담자들의 사례개념화 과정을 이해하고 나아가 학교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교상담 사례개념화 요소 목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학교상담 사례개념화 요소를 알아내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상담 사례개념화 요소 항목을 수집한 후, 전문상담교사(59명)의 평가를 거쳐 필요성 또는 중요성이 낮게 평가된 항목을 제외하고 총 44개의 요소항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44개의 요소항목들을 학교상담전문가(5명)들이 상호배타적인 성격을 가진 유목으로 범주화하도록 하여 그 결과 총 14개 범주의 31개의 학교상담 사례개념화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학교상담 현장전문가 3인을 포함한 전문상담교사(14명)에게 유목간의 비유사성을 평정하도록 한 다음 평정된 요소항목들을 다차원척도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상담자들은 2차원에서 학교상담 사례를 개념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차원은 ‘내담자 정보탐색 vs. 가설설정 및 상담계획’ 차원이고, 2차원은 ‘상담 내 vs. 상담 외 요인’ 차원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상담 개념화 요소를 유목별로 정리하여 학교상담 사례 개념화를 위한 요소 목록을 제시하였다.
Ozone is the secondary photochemical pollutant formed from ozone precursor such as nitrogen dioxide and non-methane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The ambient concentration of ozone depends on several factors: sunshine intensity, atmospheric convection, the height of the thermal inversion layer, concentrations of nitrogen oxides and VOCs. Busan is located in the southeast coastal area of Korea so the ozone concentration of Busan is mainly affected from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the sea such as sea breeze. In this study the ozone concentrations of Busan in 2008~2010 were used to analyse the cause of the regional ozone difference in eastern area of Busan. The average ozone concentration of Youngsuri was highest in Busan however the average ozone concentration of Gijang was equal to the average ozone concentration of Busan in 2008~2010. The two sites are located in eastern area of Busan but the distance of two sites is only 9km. To find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of ozone concentration between Youngsuri and Gijang,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wo site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variables the atmospheric numerical model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as used at the day of the maximum and minimum difference in the ozone concentration at the two sites. As a result of analysis, when the boundary layer height was lower and the sea breeze was weaker in Youngsuri, the ozone concentration of Youngsuri was high. Furthermore when the sea breeze blew from the south in the eastern area of Busan, the sea breeze at Youngsuri turned into the southeast and the intensity of sea breeze was weaker because of the mountain in the southern region of Youngsuri. In that case, the difference of ozone concentration between Youngsuri and Gijang was considerable.
A pot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d the effect of electrolyzed micronutrients (Fe, Mn, Zn, Sr, Se, Sn, Co, Ti, and V) solution treatments with nutrient solution and SCB slurry on the mineral content and growth of tomato in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The treatment of nutrient solution (NS) + micronutrients solution (M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Li, Zn,
Sr, Se, Ti as compared with that of NS alone in the cherr tomato fruits, and SCB +MS solution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Li, Zn, Se, Co, Sr, and Ti contents as compared with SCB treatment. The micronutrient contents of MN+SCB+MS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i, Zn, Se, Co and in Ti than those of SCB and NS treatment, respectively. The growth and yield of cherry tomato fruits was
highest with NS treatment. The yield indices of cherry tomato treated with NS+MS treatment and SCB+NS+MS were 97% and 94% of NS treatment. In conclusion, it seems to be possible to produce micronutrient-fortified cherry tomato by the mixed treatment of electrolyzed micronutrients.
방사성폐기물처분을 위한 부지특성평가 기술 개발을 위해 지질특성조사와 수리지질특성조사가 1997년부터 지표기반 조사, 시추공 조사, 터널조사를 포함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2006년에는 지하처분연구시설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을 건설하여 지하 환경에서 심부지질환경에 대한 연구 뿐 만 아니라 용 질이동특성, 미생물특성, 공학적 방벽 시스템 연구 등 방사성폐기물처분을 위한 다양한 수행하고 있다. 본 연 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내 건설된 지하처분연구시설 주변 지역을 연구지역으로 부지특성모델 구축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의 지질모델구축을 위해 선형구조분석, 시추공/터널 조사, 지구물리탐사를 포함한 다양 한 연구를 수행하여, 암질모델과 지질구조모델을 구축하였으며, 현장수리시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암질모델과 지질구조모델을 포함한 지질모델에 입력된 요소에 대한 수리지질특성이 평가되었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ural-villages remodeling components which is provid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rural community by improvement of settlement environment. To achieve this, rural-villages remodeling compon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atial structure of rural area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then we have examined the applicability through case studies after modification work which is based on experts's discussion and rearrangement by pilot investigation of researcher.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ural-villages remodeling classified productivity area, residential area, community area in first group and this classification is divided into 6 space to production, 4 space to residence, 5 space to community in second group by literature search, pilot investigation of researcher and field survey. The subject elements surveyed a total of 123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additionally, 1 element at a space to production and space to community in field survey for types in zoning cases. As a result, categories and items are decided that it is included 125 target elements.
본 연구는 예술중고등학교 무용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즐거움 자원과 흥미 구성요소를 개념화하였다. 연구참여자는 898명의 무용전공 학생(중학생 281명, 고등학생 617명)이며,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중고등학생의 주요 즐거움 자원은 노력과 숙달경험, 긍정적 교사-학생관계, 재미/즐거움, 상호작용, 경쟁, 유능성 지각 등이며, 저해자원은 부정적 교사-학생관계, 지도방식, 피로와 슬럼프, 체형/체중관리, 기량부족, 부상, 경쟁분위기 등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흥미요소는 인지적 욕구, 긍정적 정서경험, 기량향상, 유능성, 생리적 이점, 사회적 지지 등이며, 상황적 흥미요소는 도전, 신기성, 즐거움, 집중력 요구, 탐구 등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무용 즐거움과 흥미 구성요소에 대한 개념화와 교육적 시사점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횡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장지간 PSC 바닥판의 정적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구성하고, 해석결과를 선행연구에 의한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유한요소해석에 의하여 서로 다른 콘크리트 강도와 프리스트레스 크기를 변수로 갖는 각각의 실험체에 대한 하중-처짐 관계 곡선을 비교적 근접하게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변형률 분포와 변수에 따른 극한강도 변화로부터 펀칭전단에 의한 파괴형태와 손상범위 등을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유한요소해석 모델은 펀칭전단파괴에 의한 펀칭콘의 분리를 사실적으로 재현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며, 실험연구를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서 정적거동예측과 실험결과의 보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RRI에서 모든 품종의 간장은 한국보다 10.5~23.9cm 작았다. 삼강벼와 세계진미는 한국보다 약 24cm정도 작아 간장의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밀양23호는 간장의 감소폭이 약 10.5cm로 가장 작았다. 이삭길이는 IRRI가 19.6~23.8cm, 한국이 22.4~26.7cm로 IRRI에서 1.4~5.0cm 가량 짧았다. 다산벼는 한국보다 5cm가량 짧아져 감소폭이 가장 컸고, 한아름벼와 밀양240호의 감소폭은 1.5cm로 작았다. 주당수수는 한아름벼, 밀양23호, IR64가 IRRI에서 각각 3개, 2개, 6개 정도 증가하였다. IR64는 IRRI와 한국에서 지역별 간장, 수장, 주당수수의 차이는 있었으나, 각 지역에서 간장과 수장이 가장 크고 주당수수도 가장 많았다. 파종 후 이삭이 80% 나올 때까지 기간(Flowering)은 IRRI에서 74~81일, 한국에서 110~119일로 IRRI가 한국보다 34~40일 짧았다. IR64는 IRRI와 한국에서 Flowering이 각각 81일과 119일로 가장 길었고, 밀양23호는 각각 80일과 114일로 다른 한국품종보다 Flowering이 길었다. 한국품종들은 IRRI에서 한국보다 수량이 1.53~5.35t/ha 감소하였고, IR64는 0.82t/ha 증가하였다. IRRI에서 수량의 감소율은 한아름벼가 54.8%로 가장 높았고, IR64는 14%로 가장 낮았다. 밀양23호는 한국품종 중에서 수량 감소율이 18.1%로 가장 낮았다. IRRI에서 수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밀양23호(6.95t/ha)였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다산벼(4.41t/ha)였다. IRRI에서 주당수수는 수량과 유의한 정의상관(r=0.69, p<0.05)을 나타냈다. 한국에서는 출수기는 수량과 유의한 부의상관(r=-0.57, p<0.05)을 보였으며, 등숙률은 수량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상관(r=0.70, p<0.01)이 있었다.
예인줄을 여러 개의 유한요소로 분할 한 뒤 각 요소들에 Newton의 운동 제 2법칙을 적용하고 각각에 작용하는 외력은 성분별로 장력, 항력, Coriolis 힘, 중력, 부력, 입수 충격력 등으로 구분하여 예선과 부선을 연결하는 예인줄의 동역학 모델을 정립하였다. 일반적으로 예인줄 요소의 병진 운동만을 고려하는 이전의 연구들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예인줄 요소의 운동을 횡동요를 제외한 5자유도로 확장하고 외력 고려가 용이한 물체고정좌표계에서 기술하였다. 예인줄 요소들 간에는 연결점에서 인장만 되는 스프링과 감쇠기로 연결하고, 스프링의 강성계수는 실제 적용되는 예인줄의 강성계수와 등가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정립된 예인줄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예인줄의 공기중 및 수면 바로 위에서의 자유낙하, 예인선의 가속운동, 예인선의 조화운동 시나리오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예인선, 부선, 예인줄 요소들의 운동 시계열 값들은 실제 예상치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Eco-village has been regarded as an alternative to accomplish sustainable development for rural village. This study has intended to develop comprehensive planning indicators to establish an eco-village based on such aspec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s economy, environment, and society. To reach this objective, this study has set up six goals as follows: 1) ecological production activities for agriculture, 2) resource circulation and energy independence in the economic domain; 3) building cultural and historical succession and community activation, and 4) living together with surrounding regions in social domain; and 5) maintaining environmental habitat, and 6) restoring natural ecosystem in environmental domain. Based on these goals,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planning indicators to build an eco-village through case study, literature review, survey for suit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is study has found 17 strategies and 47 planning indicators in accordance with the six goals.
Agriculture is mor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rather than other industries.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mainly impact the output of agricultural product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output of elemental agricultural products. As a first step, we obtained the data of the meteorological factors (i.e., precipitation, humidity, temperature, insolation, snowdrifts, wind velocity) and the output of the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i.e., grain, fruits and vegetables, root crops, green vegetables, seasoned vegetables, fruits, special crops) from the year 1990 to 2009 (20 years) of Seoul and the six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The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gricultural product with the largest output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of the place where the corresponding agricultural product is most produced,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e meteorological factor that most impacts the output of agricultural produc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humidity, insolation and wind velocity have been the crucial meteorological factors to influence the output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From the result, we can induce that the meteorological forecast information about the vital meteorological factors, i.e., humidity, insolation and wind velocity, facilitates the optimized cultivation plan to maximize the output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연구는 사과의 자가불화합성 현상에 효과적인 저해제와 활력제를 탐색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물질을 조사하였다. 후지 사과의 화주조직에서 분비되는 S RN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In vitro 상에서 효소 저해제를 넣어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Iron(II) Sulfate에서 현저하게 활성이 24.3% 감소되어 저해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In vitro 상에서 후지 사과의 화분관 신장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후지 사과의 화분은 2% Sucrose 신장배지 보다 10% Sucrose 신장배지에서 약 90%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났다. 또한 저해제와 첨가제 처리에 의한 안동지역과 영주지역의 Field에서 후지 사과 착과율 조사 결과, 안동지역에서는 A++V6 2회 처리가 86.1%로 중심화착과율이 가장 높았으며, 영주지역에서는 A++V1 1회 처리가 91.9%로 중심화 착과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