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와 환경 문제에 대한 초등 영재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학부설영재교육원 소속 28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13개의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지식수준, 심각성, 확실성, 체험 가능성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지구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Draw-An-Earth Test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와 이미지에 담긴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DAET 체크리스트와 인터뷰 분석 결과 지구계의 구성요소에서 80개, 지구계의 상호작용에서 11개, 지구계의 소양 영역에서 4개의 요소가 확인되었다. 학생들은 지식 수준과 관련하여 대기 오염, 지구온난화, 수질 오염에 가장 잘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수질 오염을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하였다. 또한 산성비, 대기 오염, 수질 오염에 대하여 확실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성비, 대기오염, 산림파괴에 대하여 체험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수 학습 측면에서 초등 과학 영재들이 지구계와 환경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households, parental percep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rom kindergartens with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group; EFG) versus children from kindergartens with general food service (general food service group; GFG). We sought this basic information to examine the impa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preschool food services.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family income of the EF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FG. The frequency of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FG than the GFG, with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items in both groups being vegetables. The GFG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than the EFG in the superior qual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a greater proportion of the GFG than the EFG thought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ere too expensive.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both groups was safety. When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factor for the majority of both groups was the label certifying quality assurance. Both groups also considered price reduction as essential for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regard to parental perceptions on food service in kindergarten, the EFG had a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nutritional adequacy of the menu compared to the GFG. Both groups considered food safety and health as primary reasons for us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in the preschool food service, with a greater proportion of the EFG than the GFG responding this wa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FG and GFG, as the main satisfaction from us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in the EFG was safety, freshness, and good hygiene, whereas the main satisfaction in the GFG was a good food service menu, freshness and good hygiene.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EFG were also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GFG. Thu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and should be increased in the preschool food service. Lowering prices and a strict supervision of quality assurance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od material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될 교대 신입생들의 우주와 은하 그리고 현행 초등 과학과 교과서에 등장하는 주요 천체들(별,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의 상대적 크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천체의 상대적 크기에 대한 오개념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63명의 예비교사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연구자들이 개발한 설문지에 제시된 문항, 즉 제시된 천체들을 그 상대적 크기 순서로 나열하고 각 천체들의 대한 설명의 글을 작성하도록 하는 문항에 응답을 하였다. 이들의 응답은 양적 분석과 응답자의 기술에 근거한 질적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주〉은하〉별〉행성〉위성〉소행성〉혜성'이라고 제시된 천체들에 대해 바르게 나열한 교사는 총 63명 중 5명(7.9%), '우주〉은하〉별〉행성'까지 바르게 나열한 예비교사도 28명(44.4%)에 불과하였다. 둘째, 천체들의 상대적 크기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두드러진 주요 오개념은, '행성이 별보다 크다(행성〉별, 29명, 46.0%)', '소행성이 위성보다 크다'(소행성〉위성, 37명, 58.7%) '혜성이 별보다 크다(혜성〉별, 14명, 22.2%)'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effective sport instructor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teachers’ understanding of it’s importance and the sport instructor
system performance.
Three hundred seventeen teachers in B
In this article I studied the novels and essays of Park Hwa-Seong, who was a representative woman in the 1920-30s as a tendency writer. She wrote a lot of novels over 60 years from 1925 when she became a writer till 1988 when she died. The literary world of Park Hwa-Seong changed greatl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imes. In this article, above all, I want to focus on her novels that dealt with the christianity as a subject matter in order to prove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of christianity expressed in her works. This study can be an example of how the tendency writers of the 1920-30s recognized christianity and expressed their ideology in their work. Park Hwa-Seong had a specific biography in respect of christianity as a tendency writer in the 1920-30s. She was baptized as an infant and led a religious life very eagerly in her youth. However, as she became a tendency writer and wrote realistic novels reflecting the conditions of the bard times, Japanese colonial era, she wrote novels which expressed negative recognition of American missionary and protest providence of God. In the 1920s-30s, the tendency writers looked upon christianity as a certain ideology for tbe perspective of socialism and criticized it on the ground that christianity could not improve the conditions of colonial reality. As an intelligent leader, she considered anti-christian emotions as an act of nationalistic faith to overcome Japanese colonial conditions. So the reason why she wrote negative christian view in her novels in the 1930s was to disclose the feeling of helplessness of christianity which couldn't revolutionize the dismal reality of nation. For examnple, the short story "Hangui" showed the question of theodicy, why the good had to suffer from hunger and poverty despite the prosperity of the evil. She doubted about the presence of God and became a skeptic of God in her life. Nevertheless she didn't leave the christianity and lived a christian life in a specific method. If she had not known the christianity,she could not have written such a novel that raised a metaphysical question about the providence of God. Through her life, Park Hwa-Seong created work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s. But as she was a writer who had related with christian background from her childhood,in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she used christianity as subject matters in her works. AIso she showed christian consciousness in the form of negative as a tendency writer and expressed writer's recognition of chrisrianity as a skeptic of God honestly in the latter part of her literary world.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ness of「Seoul Students 7560⁺ Exercise」
in the school scene by analyzing the elementary teachers’ awareness of the operational conditions,
expected effects and stimulation methods of the「Seoul Stud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 사용여부에 따른 배움 인식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첫째, 스마트기기 사용여부에 따라 배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와 둘째, 차이가 나타난다면, 어떤배움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스마트기기 사용자와 비사용자 대부분은 스마트기기를 통해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배움과 관련한 다섯 가지 척도(의미생성력, 자기주도력, 실천력, 개조력, 공동 배움력)에 관한 사용자와 비사용자간의 평균차이를 비교한 결과, 의미생성력과, 자기주도력, 실천력에서 사용자의 평균이 비사용자의 평균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activate the operation of community school sports club
based on league system, and to offer the basic material for the measures which can be applied to
school field well.
To achieve this goal, 271 teams performed 12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ing Korean folk-dance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four teachers conducting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interviewed on three topics; the general perceptions on Ko
본 연구는 시대적인 흐름에 따른 경관인식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과거 신문에 나타난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1920년대부터 1999년까지의 동아일보,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겨레신문 등의 기사를 연구 대상으로 경관관련 기사를 검색하였으며 이를 시대별로 흐름을 살펴보는 방식을 취하였다.1920년부터 1945년까지 경관이라는 용어는 주로 아름다운 자연경치라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당시 동경의대상이었던 외국의 근대적인 도시 모습을 지칭하는 개념으로도 사용되었다. 1946년부터 1960년까지는 독립과 한국전쟁을경험한 시기로 국가재건과 같은 이슈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떨어졌던 시기였다. 1960년대에는새로운 국토건설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성장하는 도시, 국토의 발전 등의 의미로 경관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었으며 동시에 개발에 따른 자연 훼손을 우려하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1970년대에는 고속도로건설과 새마을운동이라는 개발위주의 정책과 함께 다양한 대상에 대한 경관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80년대에는 아시안게임과 서울올림픽준비로 대대적인 경관정비가 진행되어 이를 계기로 경관관련 계획과 제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1990년대에는 경제수준향상으로 각종 경관관련 제도가 본격적인 틀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경관심의가 강화되고 각종 경관계획이 수립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feature representation method, named two- dimensional orthogonalized Fisher discriminant analysis(2D-OFD). The method adopts the 2D-LDA and orthogonalization of Fisher vector. It produces the small size scatter matrix than 1D method. Therefore it can evaluate the scatter matrix accurately. In addition, it is not suffered from small sample size problem. The orthogonalization eliminates the linear dependences among Fisher's discriminant vectors. As a result, it promotes the discriminant capability of the 2D-LDA. The proposed method is tested on the ORL face image database. We test our method 10 times. For each experiment, five training images are randomly chosen each person and the other five images are used for testing. The test show that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is 96.2%. When the image is downsampled to 28x23 matrix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is 95.9%.
예이츠의 환상록 속의 신비적-환상적 작품은 두 가지 인식 흐름, 즉 하 향적이거나 상향적 움직임, 다시 말해서 신적 존재의 하향적 목소리와 인간의 상향적 목소리의 흐름을 보인다. 이원적 의식의 흐름은 곧 시인의 인식론적 마음을 표현하는 과정이며, 불교의 중도론적 인식 과정을 대변한다. 예이츠의 신비학도 이 불가지 세계 에 대한 인식론적 반응이며, 대체적으로그의 문학적 의도성은 시인의 원소론적 마음을 드러내는 고정, 심학(心學)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만성제야 시에 드러나듯이, 4 원소 인의 인식 형상이 인식론적 도식화 과정의 어려움을 대변해준다.
전파를 이용한 실내 위치인식 기술은 현재 다양한 환경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 중 철골구조로 이루어진 선박은 전파의 반사에 의해 수신율은 높지만 레인징 오차가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위치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IEEE 802.15.4a의 CSS 기반으로 변형 이변측위와 초전센서를 이용한 선내 위치인식보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선내 복도와 같은 좁은 통로에서 CSS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이동노드와 고정노드 사이의 적합한 수신거리를 추정하여 고정노드의 수를 줄이고 또한 전파의 반사와 회절에 의한 레인징 오차가 크게 변동하는 코너영역에서 제안한 변형 이변측위기법과 초전센서를 이용하여 이동구간을 추적하여 위치를 인식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일반적인 방법 대비 86.2 %의 선내 위치인식 정확도와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목적 : 본 연구는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2010년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센덱스(시니어 및 장애인 엑스포) 박람회에 참석한 일반인에게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인식을 물어보는 설문을 실시하여, 총 174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박람회 및 설문지가 보조공학기기를 이해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 확인한 결과, 대상자의 85.0%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보조공학기기가 장애인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8.8%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정부에서 지급하는 보조공학기기를 알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45.7%만이 알고 있다고 대답하여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한 홍 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