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2

        10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cludes the clinical features of diabetic patients with fascial space infections of head and neck and those of non-diabetic patients. We retrospectively studied 62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fascial space infections of the head and neck, and compared the patients’ background, the aetiology of the infection, clinical variables, laboratory values, and treatment proces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made with Student's t test, the chi square 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s appropriate. Diabetic patients had more spaces involved, had longer hospital stays, and developed more complications. The main microorganism of diabetic group was Klebsiella pneumonia and otherwise, Streptococcus spp. was for non-diabetic group. We conclude that diabetic patients are more likely to develop complic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bout dominant microorganism when using medication for diabetes patients
        4,000원
        10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소아의 굴절이상을 타각적 굴절검사인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 검영기와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로 측정 하여 비교하였으며 휴대용 자동굴절검사기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03명의 소아(206안)에게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 검영기,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기기에서 구면 굴절력, 난시 굴절력, 난시 축을 paired t-test로 분석하여 평균 차와 95% LoA를 구하였다. 측정된 굴절이상의 일치도를 분석하기 위해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였으며 기기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Spearma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Bland-Altman plot에서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에서는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와 검영기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난시 축은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와 검영기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에서 근시쪽으로 측정되었으며 근시와 원시에서는 검영기보다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가 근시 쪽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구면 굴절력, 난시 굴절력과 난시 축에서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와 검영기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은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와 검영기가 유사한 굴절 값으로 나타났다. 난시 축은 검영기와 탁상용 자동굴절검사기가 유사한 측정치를 보이긴 했으나 측정기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협조가 부족한 소아에서 휴대용 사진굴절검사기는 빠르게 굴절이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정확한 자세에서 검사하게 되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4,000원
        104.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nurse’s experiences of ‘work flow interruption’ in hospital setting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6 nurse in General wards or in the ER of tertiary hospital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were elicited; ‘acceptable interruptions’, ‘unacceptable interruption’, ‘nursing work environment interrupting work flow’.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d interruptions are occurring in systemic structure and relationships within the hospital, taking into account the aspect of providing quality nursing care as profession. This confirms that nurses have negative effect on workload rather than positive ones. Based on the findings, it needs to be of interest to the nurs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 and fatigue due to overloaded work.
        4,200원
        10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원격탐지기술의 발달로 인해, 산림지역과 같이 피복 분류작업이 난해한 지역을 비롯한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세밀한 변화탐지를 위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취득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시계열분석의 과정에서 많은 양의 지상 관측 데이터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도를 지상 관측데이터로 활용한 위성영상 분류 방법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원주시이며, 산림지역과 시가화지역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연구 자료는 2015년 3월에 촬영된 KOMPSAT-3A 영상과 2017년도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분류를 시도하였다. 서포트벡터머신 (SVM)과 랜덤포레스트(RF)의 두 가지 상이한 화소기반 분류기법을 적용하여 대상지에 대한 피복분류의 분류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SVM 분석의 경우 다수 분석(Majority analysis)을 후속 진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산림식생만 포함 한 지역과 연구대상지 전지역으로 구분하였고, 대상 면적이 협소한 습지는 분석과정에서 제외하였다. 분류 결과는 오차 행렬의 전체 정확도가 두 가지 분류대상에 대해 RF 기법이 SVM 기법보다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지역만을 대상으로 한 경우, RF 기법이 SVM 기법에 비해 18.3%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전체지역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둘 사이의 간격이 5.5%로 줄어들었다. SVM 기법에 다수 분석 (Majority analysis)을 추가로 실시한 경우, 1% 정도의 정확도 향상이 나타났다. RF 기법은 산림지역의 활엽수를 분석해 내는데 상당히 효과적이었지만, 다른 대상에 대해서는 SVM 기법이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단일시기 영상에 대한 화소 기반의 분류기법을 시험한 것으로, 추후 시계열분석 및 객체기반 분류기법의 추가적인 적용으로 향상된 정확도와 신뢰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 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대면적의 토지계획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10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malignant lesion and the benign lesion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precise treatment. A clinician should diagnose in a comprehensive manner considering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perspectives. The lesion in the oral cavity in this study was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malignant. However, the lesion was histopathologically benign. Surgical intervention was not performed except biopsy. The lesion improved after about one month of supportive medication after the biopsy. The importance of decision making process was emphasized in this report.
        4,000원
        10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interview programs for assisting male college students adjust to clinical practice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tress in such a practice.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using open-ended question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in August 2018,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categories of practical experiences in the interview programs for mediating gender conflicts in male nursing students were clearly recognized as, “experiencing limits of practice on female patients,” “a sense of burden representing practical students,” and “forcing of manhood.” The essential theme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in simulation programs included: “Prejudice and unfairness in having a female-related job,” “Women’s hospital practice is limited,”-“Attention is focused on themsince they are ‘minorities’,” “Uncomfortable interpersonal relations in clinical practice,” “The patience of a discriminative perception that physical labor should be mobilized, requiring forceful leadership,” “Live in a way that society prefers.”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experiencing stress among male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by applying Colaizzi’s method of analysis in phenomenology nursing research. In order to assist participants understand women's mainstream clinical practice, preparing separate programs is important.
        4,000원
        109.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을 가지고 제작된 임 상시험용제품(CNTM)이 3T3-L1 지방세포 및 고지방식이 로 유도된 비만 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능 관찰을 통하여 체지방 개선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기위하여 인체적용시험 시료를 제작한 후, 인체적용시험전에 그 효력이 유지됨을 확인하기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 CNTM 은 80~320 μg/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 며, 지방 축적억제 효능 및 지방세포 분화, 지질대사 관련 유전인자들을 유의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동물실험에서 CNTM 처리에 의하여 체중의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혈중지질 성분 가운데 HDL-C/TC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LDL-cholesterol (LDL-C)과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감소하 여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키며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을 억제시키고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이 함유된 인체적용시험시료(CNTM)는 체지방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1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부등상시 보정안경의 임상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30명을 대상(남자 12명, 여자 18명, 평균 23.7세)으로 부등상시 보정안경을 처방하였다. 평소 안경과 부등상시 보정안경을 착용하고 시력, 안경배율, 부등상시도 및 입체시력을 측정하였다. 착용 1주일 후에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부등상시 보정안경 착용 후 우위안과 비우위안의 등가구면교정굴절력 차이는 평소 안경보다 증가 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0.22D, p=0.41). 단안 교정시력의 차이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0.04, p=0.03), 양안 교정시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0.07, p=0.00). 좌안과 우안의 안경배율 차이는 평소 안경(2.63%)보다 부등상시 보정안경(1.23%) 착용 후 더 낮았다(p=0.00). 부등상시 보정안경 착용 후 입체시는 46초각 정도 증가하였고(p=0.00),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설문에서 평소 안경보다 개선되었다. 렌즈의 가장자리 두께와 외관상 보기 흉함이 주된 개선사항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등상시 보정안경이 부등시자에게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생활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등상시 보정안경의 처방 및 조제와 관련된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 된다.
        4,600원
        11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셀룰로오스 필터를 삽입하여 개발 제작된 튜브형눈물검사키트(cellulose tube-type tear test kit, Kit-CEL)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건강한 20대 성인 62명(124안)이 참여하였다. Kit-CEL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서 단 일 검사자가 하루 간격을 두고 총 3회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였고, 타당도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SMTub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건성안에 대한 Kit-CEL의 민감도와 특이도 평가는 ROC curve를 활용하였고, 건성안의 판별 기준은 TBUT 검사를 활용하였다. 정확도의 지표는 ROC curve의 곡선아래면적을 정확도의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Kit-CEL의 신뢰도는 0.77로 SMTube의 신뢰도 0.43보다 높았으며, Kit-CEL의 건성안에 대한 민 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4.63%, 50.88%로 SMTube 32.84%, 82.46%보다 민감도는 높았고 특이도는 낮았다. 제작된 Kit-CEL 측정값은 시판되고 있는 SMTube 측정값과 중등도의 상관성을 보였다(r=0.56, p<0.00). 결론: Kit-CEL의 측정값은 기존 SMTube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신뢰도와 민감도가 높게 나타나 임 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눈물검사키트로 판단된다.
        4,000원
        114.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uided tissue regeneration(GTR) is regenerative operating technique at dental clinic. The vertical bone defect can be treated by GT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GTR at dental clinic. The vertical bone defect was observed on distal side of mandibular right 2nd molar. The patient had been treated scaling, root planing and GTR. Both nonresorbable occluding membrane and resorbable occluding membrane can be used as GTR operation. The former was used in this study. Nonresorbable occluding membrane can exclude epithelial cells from healing defect. The Bio-Oss bone graft used at GTR operation. A radiograph demonstrates that the regenerative part was observed by GTR. In conclusion, GTR operating effect has importance on vertical defect at dental clinic.
        3,000원
        11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손씻기 수행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 간호사 162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1일부터 2017년 10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PSS Version 20.0, IBM, U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일원분산분석, t-검정, pearson 상관계수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수행도는 모든 영역에서 평균은 3.1점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은 연령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근무연수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다섯 개의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수행을 위한 동기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을 고려한 지속적인 병원에서의 감염관리교육과 올바른 손씻기 교육을 진행한다면 손씻기 수행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t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the clinical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process in new graduated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ticipants are 50 new graduated nurses with less than 3 month of working experience.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ied the first semester of the third grade, over 15 weeks with 1 credit per 2 hours per week by two instructors with four scenario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the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the new graduated nurse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nclusion: New nurses' capacity can be strengthened by applying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that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by enhanc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4,300원
        11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coping strategies and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coping strategy on career identity. Methods: Data from 329 third-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s questionnaires for two month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the data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nursing students scored highest on the passive coping style of hopeful thinking. Positive coping strateg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identity. The final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coping strategy and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nt’s major accounted for 37.6% of the variance in predictions of career identity, with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s the single most influential factor.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range of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use of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4,000원
        119.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 불안 및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첫 임상실습을 앞둔 K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는 여학생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t=-5.51, p<.001), 불안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t=-3.30,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느낄수록(F=3.27, p=.041), 성격이 내성적일수록(t=-3.32, p=.001), 전공만족도가 낮을수록(F=7.25, p=.001) 높게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건강상태가 좋다고 느낄수록(F=3.74, p=.026), 성격이 외향적일수록(t=3.19, p=.002)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상실습 스트레스, 불안 및 자아탄력성과의 상관관계에서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와 불안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211, p=.010), 자아탄력성과 불안은 음의 상관관계(r=-.313,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습 전,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역량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12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이물감 및 자극감을 줄이기 위해 개발한 쉬르머용지의 신뢰도 및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 였다. 방법: Whatman 용지(#41)를 길이 41 mm, 너비 5 mm, 삽입되는 부분의 폭 3 mm의 스트립 형태로 만 들고 청색 염료가 포함되도록 제작하여 K-쉬르머용지라 명명하였다. 검사법의 신뢰도, 용액의 양과 흡수된 길이의 상관성은 2-10 ㎕의 용액을 1분간 10회씩 흡수시킨 후 평가하였고, 임상 시험의 경우에는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건성안 감별을 위한 민감도 및 특이도 평가는 TBUT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ROC curv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K-쉬르머용지와 현재 사용되는 쉬르머용지를 비교·평가하기 위해서 시판되 고 있는 Schirmer tear ®(EagleVision Inc., Menphis, TN, USA)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반복측정에 의한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로 평가하였고, ROC curve는 통계프로그램 Medcalc version 17.5.5(Medcalc Software, Mariakerke, Belgium)를 사용하여 cut-off 값과 곡선아래면적을 정확 도의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 검사법의 신뢰도는 모두 99.9%로 높았고, 용액의 양과 흡수되는 길이 의 상관성 또한 각각 0.982, 0.981로 매우 높았다. 임상검사에서 K-쉬르머검사 결과는 쉬르머검사보다 작 게 측정되었지만(p=0.03), 반복측정에 의한 신뢰도는 66%로 쉬르머검사의 신뢰도 58%에 비하여 높게 측정 되었고, 자극감은 쉬르머검사에 비해 더 작았다(p=0.02). K-쉬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는 상관성을 보였으며 (r=0.59), K-쉬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의 건성안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40.35%, 79.07%는 50.88%, 62.79%로 나타났다. 결론: K-쉬르머용지는 신뢰도가 높고 기존의 쉬르머용지에 비해 자극감을 줄일 수 있어 눈물검사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