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was focused on setting priority for future core technologies in rural development and resources using AHP. The technologies were derived by Delphi metho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riority setting were decided as 'technology', 'market oriented', and 'public concerns' by council. The future core technologies were divided as four groups by importance and R&D level. Technologies in upper two groups were considered in the study. Group I had high importance and high R&D level. Group II had high importance and lower R&D level.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9 specialists in agricultural resources. As the results, 'public concerns' was decided as a most important evaluation criterion.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are "technology developing for animal feces and urine treatment, and restoration it to farm land" in group I, and "technology developing for agricultural by-products as energy source" in group II.
This paper aimed at identifying rural amenities valuable in terms of marketed value and economic analysis of green tourism so as to develop policy instruments for new rural communities. We conducted the case study on Jik-Dong rural community in Taejeon city and estimated income effects of green tourism and internal rate of return of investment for rural amenity facil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s; (1) green tourism participant will spend the worth of 50,392 won per person, (2) earnings from green tourism amounts to about 2,471 thousand won per household, (3) internal rate of return of green tourism investment is estimated as 7%. The strategies far green tourism is suggested as follows; (1) rural amenities should be well maintained for green tourism infrastructure (2) measures to internalize the value of rural amenities should be developed for market oriented peen tourism (3) effective program for inducing visitors with purchasing power should be designed.
The research on potential energy was conducted to conserve the high-exergy energy like primary energy and utilize waste heat from sewage. From the point of view in using the waste heat, the energy potential of waste water from the model house was simulated.
From the results,when the heated water was supplied to the model house side in order to put unused energy to practice use, heated water had higher energy potential than unheated water, which was due to the discharge of most of unused energy.
The possessing heat capacity of sewage from heated water was increased to 40-70 percents in comparison with that from the unheated water. Therefore, it can be used as energy source for improving coefficient of performance of heat pumps. By adopting the multiple heat pump into a model house, It showed that the possessing heat capacity of sewage was reduc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heat was recovered as energy source for multiple heat pump in a model house.
1993-98년 동안 농촌진흥청의 벼직파재배 연구현황과 연구자원 배분의 경제적 합리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직파기술분야별 연구는 과거에는 기초연구부문에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직접 농민들의 현장애로를 타개하기 위한 파종, 입모, 잡초방제, 물관리 등 기능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투자가 확대되었다. 2. 직파재배의 초기에는 파종과 품종육성 부문에 연구투자가 크게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그 비중이 줄어들고 시비개선, 잡초 방제, 물관리 부문에 대한 연구자원 배분이 늘어나고 있다. 3. 토양관리와 입모에 관한 연구비중은 줄어들고 있어 농민들의 이 부문에 대한 현장 애로는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4. 벼직파재배에 대한 연구의 경제적 성과와 연구자원 배분은 기술분야별 일치성이 커서 합리적인 연구자원 배분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안성지역에 소재하는 노거수의 합리적인 보전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안성지역에 분포하는 노거수는 총 6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수종은 느티나무, 은행나무, 음나무, 참배나무, 취앙네, 소나무 등의 순으로 전형적 온대기후대에서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수종들임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운데 느티나무는 전체 수종 가운데 73.5%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본 조사에서 나타난 노거수들의 흉고직경은 전체의 76.4%가 1.5 m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수고는 10-14 m 범위가 47.1%를 차지하였다. 노거수의 추정연령 은 200∼299년 범위가 38.2%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500년 이상도 20.6%나 조사되었다. 또한 안성시 노거수의 64.7%는 민속신앙 또는 전설, 고사 등의 전승 유래를 지니고 있어 매우 중요한 생물 문화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성 지역의 대부분 노거수에는 조류 및 착생식물 등의 생물이 함께 서식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노거수에 대한 관리실태는 전체에서 98.3%가 병충해 및 가지절단 등과 같은 심각한 훼손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조사 노거수의 47.1%는 근원부 주변이 콘크리트 및 아스콘 등으로 포장되어 투수 및 통기조건이 매우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완전히 없어져 버린 노거수도 1종이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