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시아의 창의적 접근 국가에서 봉사와 선교 사역을 하는 선교사들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소진에서 회복탄력성 으로 가는 과정을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본격적으로 탐색한 연구 질문 은 “아시아의 창의적 접근 국가에서 활동하는 선교사의 소진과 회복탄 력성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2020년 5월에서 9월까지 23명의 연구참여자들을 심층면담하여 자료를 수집, 스트라우스와 코 빈이 체계화한 근거이론의 절차(1998, 제2판)를 주로 활용하여 분석하 였다. 최종적으로 도출한 개념은 모두 691개이고, 126개의 하위범주를 생성하였으며, 이를 25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핵심범주는 “안팎에서 허물어진 소진을 넘어 성찰과 성숙의 회복을 경험하며, 단단해진 정체성의 기초 위에서 주체적인 선교사로 다시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진에서 회복탄력성으로 이어지는 과정 분석을 하였 고, 이와 연동하여 9단계의 정체성 상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선교사의 소진과 회복탄력성 과정에 따른 정체성 변화를 이론화함으로 써, 선교사들을 지원하는 멤버케어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사장교는 공공성이 매우 높은 사회기반시설물로 운용 중 안전성 확보가 필수적이며, 붕괴 또는 파손 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사장교의 붕괴 또는 파손을 야기시킬 수 있는 원인은 크게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사회재난에 속하는 충돌사고 는 차량이 교량 하부구조인 교각에 충돌하는 사고, 항공기의 결함으로 인한 추락사고 등이 있을 것이며, 해상교량의 경우 주탑 하단에서의 선박 충돌사고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적 접근법을 기반으로 항공기 충돌에 대한 사장교의 구조거동을 평가하는 절차를 제안하고, 충돌해석을 수행하여 절차의 타당성을 보였다. 제안된 절차에는 1) 적절한 항공기 충돌 시나리오 설정, 2) 사장교의 복잡한 거동 메커니즘을 고려한 구조 모델링, 3) 충돌해석을 통한 구조거동 평가가 포함된다. 해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시나 리오는 대상 교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향후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한 충돌해석을 수행한다면 교량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는 하중 위치 및 임계 하중 수준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충돌해석 절차를 바탕으로 사장교에서 발생하는 항공기 충돌에 대한 간접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학생 역량 함양을 강조하며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발, 구현하고자 한 국가나 주의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범교과적 접근 방식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역량을 도입한 국가이자 범교과적 접근 방식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호주, 캐나다 BC 주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국가나 주 교육과정 문서 및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범교과적 접근의 위상에 있어 교육과정 구조나 진술 속에서 범교과적 역량이나 주제를 교과와 동일하게 드러내고 구현을 지원함으로써 위상을 강화하였고, 요소와 내용에 있어서는 범교과적 역량과 주제를 구체화하고 교과와의 상보적 관계 속에서 역량-범교과 주제-교과 학습 간 연계성과 유의미성을 제고하였다. 운영 방식에서는 주제중심의 통합적 접근, 삶과 연계한 맥락적 학습, 역량 평가 등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개발에 있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범교과적 접근 방식의 위상, 요소와 내용, 운영 방식 측면에서 네 가지로 도출하여 제안하였다.
장애인의 심리적 문제해결과 변화와 성장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기존의 상담과 치료중심의 심리적 지원에서 코칭과 상담의 융합에 기반한 심리적 지원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장애인 내담자가 겪는 다양한 심리적 문제와 장애인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공감을 기반으로 장애인 심리지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존의 비장애인이 실행한 장애인 심리지원에서 벗어나 같은 유형의 장애를 가진 장애인이 실행하는 심리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 고용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장애인 코칭상담전문가 양성과 연계하여 장애인의 취업 및 창업기회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애인을 위한 심리지원 현황, 같은 유형의 장애를 가진 장애인이 실행하는 장애인 심리지원과 코칭과 상담의 융합적 접근에 기반한 장애인 심리지원에 대한 필요성 고찰 및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추후 연 구인 비장애인이 아닌 장애인이 실행하는 장애인 심리지원과 코칭과 상담의 융합적 접근의 장애인 심리지원에 대한 주관성 연구에 적합한 Q방법론을 제시하 고 적용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장애인 심리지원에 대한 주관성 연구와 장애인 코칭상담전문가 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원자력시설 SPRA 방법으로서 기기 사이 부분 종속 관계를 정확하게 고려하기 위하여 샘플링기반접근법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샘플링 기반 방법이므로 정확한 지진 리스크 산정을 위하여 많은 수의 샘플을 추출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는 기존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존 샘플링방법인 몬테카를로샘플링(MCS) 방법을 대신하여 다차원에서 효과적인 샘플링이 가능한 라틴하이퍼큐브샘플링(LHS) 방법을 샘플링기반 SPRA에 도입한다. 또한, 기존 지진세기 세분화 정도를 최종 지진 리스크 결과와 연계하여 결정한다. 제안된 방법이 결합된 샘플링기반 SPRA 접근법을 실제 원전 예제에 적용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결과 정확도에 있어서 거의 비슷하나 총 샘플 추출수 기준에서 효율성을 약 2배 가량 높이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샘플링 개수가 적은 영역에서 LHS 기반 방법이 MCS 기반 방법보다는 해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향상을 위해 적용된 과제 지향적 접근 연구들을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으로 연구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결과들을 통해 앞으로의 과제 지향적 접근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분석 자료는 2000년 1월부터 2018년 8월까지 MEDLINE, CINAHL,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선정기준에 적합한 17편의 무작위 실험 연구를 수집하였다. 선정된 연구들은 질적 평가(Pedro score)와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PICO)를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 후 각 연구들의 중재 형식을 참고하여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17편의 연구는 Pedro score 5점 이상의 연구로 다양한 과제 지향적 접근을 통하여 상지기 능과 일상생활동작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과제 지향적 접근의 중재 형식은 횟수 강도 등을 통제하는 반복강화형, 기계적 장치나 보조기 등을 사용하는 조합형, 환자별 특성 및 목표 등을 참고한 환자맞춤형 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과제 지향적 접근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중재 형식에 따른 분석에서는 환자맞춤형은 큰 효과크기, 조합형과 반복강화형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과제 지향적 접근의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영향은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결론 : 환자의 기능 향상을 위한 과제 지향적 접근은 일관되고 정형화된 과제 보다 다양한 자극과 환자 중심의 목표, 환경, 피드백을 활용하여 과제의 다양성을 강화할수록 보다 높은 치료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플랫폼 경제의 등장에 따라 노동서비스가 디지털 방식으로 거래되면서 플랫폼 노동자들의 법적 보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글은 플랫폼 노동의 여러 유형 중에서도 배달서비스업과 같이 특정 지역에서 이뤄지는 주문형 온디맨드형을 염두에 두고, 플랫폼 노동자들이 현행 노동관계법령상의 ‘근로자’로 포섭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본다. 먼저 여러 국내 노동관계법령상 ‘근로자’의 개념을 확인한다. 또한 비교법적으로 미국과 독일이 근로자와 근로자가 아닌 자를 어떻게 구별하며, 플랫폼 노동자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련 법리와 현황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최근 배달대행업체 소속 배달기사의 근로자성 여부가 문제되었던 대법원 2018. 04. 26. 선고 2016두49372판결을 검토하면서 플랫폼 노동자들에 대한 현행법의 보호 여부 및 그 정도를 종합적으로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플랫폼 노동자들에 대한 보호 방법으로 기존 노동관계법령의 보호대상으로 포섭하는 방안 및 제3의 영역을 신설해 보호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위와 같은 대안들의 도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노동’의 의미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의 형성, 노동자 보호 확대라는 관점보다는 플랫폼 노동의 특성 및 플랫폼 산업의 발전을 고려한 균형적 관점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추가적으로 현행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개정 필요성과 노동조합제도를 통한 자율적 협의를 옹호하는 저자의 제언을 덧붙인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에서 9월까지 4개월 동안 우리나라 하천 중 금강 백제보에 주로 서식하는 말조개, 펄조개와 대칭이를 채집하여 서식처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들의 여과율을 실내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여 검량선을 산출하였다. 백제보에서 채집된 말조개, 펄조개, 대칭이는 24시간 동안 평균 154.84 μg L-1의 Chl-a를 제거하였으며, 이는 실내 수조 (2 L) 내의 식물플랑크톤 C. vulgaris (초기 Chl-a=168.34 μg L-1)를 약 24시간 만에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말조개, 펄조개, 대칭이가 연평균 4 만 마리가 서식할 경우 (Lee et al., 2020), 6월 한달 동안 예상되는 Chl-a의 저감 효과는 10.55%으로 예측되고 7월의 경우 34.88%, 8월의 경우 20.14%, 9월의 경우 46.21%로 평균 27.94%의 저감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간접적으로 이매패류가 서식지에서 효과적으로 Chl-a를 제거 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실제로 이매패류를 통하여 수생태계의 조류 제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매패류뿐만 아니라 식물플랑크톤, 수생식물, 저서생물, 퇴적물, 유속 등의 작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매패류의 여과율과 이에 따른 Chl-a에 저감율에 기반하여 수생 태계 조류 제어능력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들은 차후 다양한 요인과 관점에서의 통합된 연구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상황으로 인해 온 세상이 아픔으로 가득 차있다. 이 글은 오늘날처럼 상처가 만연한 시대에 적합한 교회의 선교로서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의 사역을 제안한다. 이 글은 이야기적 접근이 선교신학에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먼저 살핀 후, 본인이 직접 경험한 두 개의 이야기를 제시한다. 이 이야기들은 어떻게 상처입음의 경험이 환대를 통해서 치유적 경험으로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이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의 경험이 또 다른 아픔을 감싸는 환대의 선교적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이 글은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를 오늘날 선교적 소명으로 실천하기 위해서 먼저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이어서 다음의 3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교회는 오늘날의 극심한 깨어짐의 고통을 호소하는 자들에게 환대의 공간을 제공해야 하며, 둘째, 환대의 사역이 치유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신학의 역할을 통한 공동체적 성경해석의 과정이 필요하며, 셋째로,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가 새로운 타인과 공동체를 향해 이어지기 위해서는 환대의 선교적 차원을 인식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정보접근성에 대한 장애인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수준의 차이와 장애인 정보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변수가 정보접근 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정보접근성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격차를 확인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장애’ 요인 자체만으로도 장애인의 정 보접근성이 격차를 발생시키는 유의미한 독립변수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도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행한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의 정보접근성은 연령, 학력, 소득수준, 고용여부 등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에 영 향을 미치며, 연령이 낮을수록, 저학력일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무직일 경우 정보 접근성의 수준이 더 낮아졌다. 문제는 이러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하더라도 장애 인은 ‘장애’ 요인은 정보접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장애’가 정보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임을 검증하였다.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접근성의 개념 규정을 물리적 접근성만 두지 않고, 조작의 적합성 차원을 추가하여 장 애인의 정보접근성의 차이가 나는 결과에 대해 설명력을 보다 더 높였다는 것이며, 장 애인의 정보 불평등이 정보화의 기술적 요인-조작의 적합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 을 검증하여 향후 사회복지 프로그램 차원에서 조작의 적합성을 염두 하여 개발하여 장 애인의 정보 불평등을 해소하는 방향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청각장애노인의 우울감과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청각장애 노인시설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우울감 및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검증하는 대응표본 T검정과 하 위요인별 대응표본 T-검정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총 10회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단일집단 사전, 사후설계로 4월~6월 중에 사정, 계획, 실행, 평가 과정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원예활동을 통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 청각장애노인의 우울감 감소 및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향후 노인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 청각장 애 노인의 사회통합 프로그램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일환으 로 청각장애노인 대상의 심리치료 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ethnic groups to which different types of shamans belong in Siberia from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lothing through Roland Barthes’s semiotic theory. The research method here is to analyze three types of shaman costume classified by Holmberg, which are bird-type, deer-type, and bear-type,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to investigate the analysis process of Roland Barthes’s semiotics theory. Roland Barthes’s approach to semiotics presents an analysis model that can explore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Siberian shaman costu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type, to be closer to the god of the upperworld, shamans transform themselves into birds by decorating their costumes with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birds such as feathers and wings. In the second type, the shamans’ costumes are made of deerskin, and the headdress is shown in the shape of antlers to make it easier to receive messages from the upperworld and run fast in the underworld. In the third type, the shaman’s costume is made of bearskin, the head is covered with bearskin, and the body is decorated with bear pendants. Through the power of the bear, the shaman is sent to the underworld to defeat evil gods and remove diseases. Shamans can show their particularity of being a demigod and non-binary gender through clothing. They use this to reflect their authority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god.
본 연구는 지역사회통합돌봄을 위해 장애인의 서비스 접근성과 사회통합 간의 관계를 문헌고찰을 통해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장애인 분야의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을 위해 장애인의 개별 지원계획 수립과 자립생활을 위한 환경조성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서비스 접근성 향상과 개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둘째, 장애인의 서비스 접근성을 고려할 때, 거리적, 경제적, 정책적, 제도적, 법적 측면 등을 살펴봐야 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 이용의 기회확대와 살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 자기결정권을 전제로 기회와 참여 보장과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접근성과 사회통합은 정적(+) 관계와 부적(-) 관계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비스 이용만족에 대한 서비스 질에도 관심이 요구된다. 후속연구로는 장애인의 서비스 접근성과 사회통합 간의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한 경쟁이 날로 격화되고 있는 글로벌시대에서 기업과 조직은 경쟁력 제고를 통한 생존과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 기업경영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조직 혁신의 형태는 주로 ‘구조조정’, ‘인력감축’, ‘정리해고’, ‘사업매각’, ‘비용절감’ 등과 같은 것들이다. 이러한 혁신기법들은 모두 기업이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채택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는 있으나 실행조건이나 구체적인 방법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산업계의 동향을 검토하여 조직혁신의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ownsizing관리의 통합모형을 제시하고, 가설검증을 통하여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Downsizing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인식에 대한 관리단계별(선행관리단계, 과정관리단계, 사후관리단계)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선행관리단계에서는 Downsizing 공론화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과정 관리 단계에서는 Downsizing에 있어 공정성과 객관성의 유지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사후관리단 계에서는 생존자 지원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위한 경쟁력 제고나 혁신전략의 수립이나 조직 활성화에 많은 함축적 의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Downsizing을 통한 조직혁신 전략을 추진함에 있어 요구되는 많은 유의미한 정보와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paper's main purpose is to review research articles on language education with sociolinguistic approach,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since 1993. It synthesizes the current trends of language education research with the approach that paves the way for future academic sociolinguistic accomplishments. The journal's research studies of language education have mostly focused on Korean and English education along with a handful of other languages. Approximately 150 research studies are categorized and reviewed with emphasis on themes, goals, and their pedagogical implications. As this review is primarily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a number of scholars have consistently and persistently conducted meaningful research on language education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with a variety of research questions, yielding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s. This paper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represent the whole of research trends of language education studies with sociolinguistic approaches in Korea. However, this synthetical review does provide a general perspective of the overall flow of language education studies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본 연구는 WISE 코칭모델에 따른 행복의 주관적 인식과 유형별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Q표본 진술문을 추출하기 위해 WISE 코칭모델을 토대로 초기 진술문 183개를 구성하였으며, 관련연구자 교수 2인과 심리학 박사 1인의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34개의 Q진술문을 확보하였다. 성인남녀 63명을 P샘플로 선정하여 QUANL Program을 통해 수집된 자료 를 분석한 결과 행복의 주관성은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현재 적 자기만족 해피어’로 자기중심적인 욕구에 기반하여 행복감을 느끼는 유형이 다. 제2유형은 ‘미래적 자기중심 해피어’로 기본적으로는 자기중심적 욕구에 기 반하고 있으나 행복에 대한 기대 수준이 지나치게 높아 현실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는 유형이다. 제3유형은 ‘적극적 가치추구 해피어’로 인생의 목적과 의미에 가치를 두고 신앙에 기초한 행복을 추구하는 유형이다. 제4유형은 ‘소극적 이상 주의 해피어’로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에서도 자신만의 철학이나 영성적 위안에 기대어 스스로 행복을 느끼는 유형이다. 본 연구는 종래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경향이 컸던 행복이론을 주관성에 초점을 두어 확충-유형화하였고, 이에 따른 심리학 차원의 상담 기법으로서 WISE 코칭모델의 새로운 접근을 시 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PURPOSES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stallation and the effect of the s-type approach lane marking near the stop line of a typical intersection access road.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install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is facility and its impact on vehicular speed management and carbon emission reduction.
METHODS : To review the installation and standardization possibilities, the geometric size of the marking was set. The possibility of standardization was examined by applying it to lane markings. The velocity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marking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velocity estimation equation to assess the impact on speed management. Carbon emissions were estimated by comparing the emission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marking.
RESULTS : The s-type approach lane marking can be installed near the stop line of the intersection access road. It was possible to standardize the lane marking by suggesting a formula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geometry. Additionally, the marking enabled vehicular speed management and improvement in the carbon yield. The marking decreased speeds by approximately 10 km/h, from the original speed of 36 km/h to 25.5 km/h after installation. The standard deviation per vehicle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5.9 km/h, from 5.8 km/h to 0.9 km/h. Additionally, carbon emissions decreased by 17%, from 14.1 g/40 m to 11.7 g/40 m.
CONCLUSIONS : The geometry and size of the lane marking installation can be set near the stop line of the approach road. Standardization of this facility was also possible. The s-type lane marking, installed at the stop line of the approach road, has the potential to control the speed, reduce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and reduce the carbon emiss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such lane markings can be applied to multi-faceted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