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itrogen on agronomic characters, forage yield and quality, a Kenaf was cultured on the volcanic ash soil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under the seven levels of nitrogen rates(0, 50, 100, 150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and life style of middle-aged people in Daejon. The subjects expressed more fear for disease as getting older(p<0.01). Sixty six percent of the subjects have suffered in the past or suffer at present certain kinds of disease. The older they are, the more disease they have. The alimentary disease, neuralgia, and arthritis were the most popular disease. The eye strain and exhaustion of body were indicated more frequently in fifties than in thirties or forties(p<0.01). They considered excercis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maintain health status, and then moderation in diet, relaxation, rest, decrease of alcohol intake, no smoking. Forty three percent of them were non-drinker. The number of drinker was four times more in male than female and increased as getting younger(p<0.01). Only male revealed smoker and 29% of them smoked 10-20 cigarettes per day. The number of smoker decreased as getting older(p<0.01). Male played exercise more regularly than female and subjects have better exercise habit as getting older(p<0.01). This study suggests that practical programs for self-health control should be developed for playing exercise regularly for female and for considering nutrition, no smoking, and no drinking in the daily life for male.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ood-purchase behavior of 197 Taejon full time housewives 30 to 49 years of age. Food purchase was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s. Demographic data revealed that most of the households have three to five family members and that the Engel Indices of the participating households were mostly between 10 and 30%. Noticeable results of the food purchase assessment are as follows. In the grain and grain products items, the low-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rice and barley than the high-education group, whereas the high-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glutinous rice, brown rice, bread, macaronis and spaghetti than the low-education group. In the vegetable items, the low-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Chinese cabbage and radish than the high-education group, while the high-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head lettuce, broccoli and sweet pepper than the low-education group. In the meat items, the beef purchase was higher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while the pork purchase was higher in the low-education than in the high-education group . In the processed meat items, ham was the most favorite purchase item regardless of the education level. In the fish and shellfish items, Pacific cod and Alaska pollack were purchased more in the low-education than in the high-education group, and salmon and dried icefish strip were purchased more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No items in frui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chase amount between the low-education and the high-education group although the latter purchased more imported-fruits such as melons, kiwis, grapefruits, and oranges. Dairy products such as milk, cheese and butter were purchased more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both the number of food items and the consumption of foods coming from animals were higher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부산지역 대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전통음식의 패스트푸드화에 관한 견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는 남학생이 56.2%, 여학생이 43.8%, 20-24세가 66.8%를 차지하였고, 자기집에 거주하는 학생이 73.6%이었으며, 평균용돈은 16-20만원이 31.8%로 가장 많은 비율 차지하였다. 2. 패스트푸드가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입맛이 서구화 되었다', '지방의 과잉섭취가 되었다', '외식을 더 좋아하게 되었다', '비만가능성이 커졌다'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p<0.01)로 유의적이 차이를 보여 남학생은 입맛의 서구화, 여학생은 지방의 과잉섭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 외국브랜드 패스트푸드점의 이용에 대한 견해는 '생각해보지 많았다' (32.9%), '이용을 자제해야 한다' (23.1%)로 나타났으며 전통음식 패스트푸드점의 이용에 대해서는 '가끔 이용할 것이다' (56.5%). '많이 이용할 것이다' (19.8%)로 나타나 빠른 시일내에 한국형 전통음식 패스트푸드업체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4. 국내브랜드 패스트푸드점에 대한 견해로는 '모르겠다' (32.1%), '맛이 떨어진다' (20.8%), '어쩐지 외국 브랜드보다 못하다' (13.3%)의 순이었고, 성별(p<0.01)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맛의 차이는 여학생이, 가격의 차이는 남학생이 높은 비율로 꼽았다. 5. 전통음식의 패스트푸드점에 대한 견해로는 '전망이 있다'가 62.2%,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가 15.5%로 나타났으며, 전통음식 중 패스트푸드화 할 수 있는 음식으로는 떡, 한과류(27%), 불고기, 음료, 빈대떡, 잡채, 갈비찜, 구절판의 순이었다. 6. 전통음식을 패스트푸드화 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으로는 사람들의 인식(29.7%), 음식의 기계화와 자동화(26.2%), 정성부족으로 인한 맛의 감소(21.6%)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p<0.01), 연령별(p<0.05)로 유의적 인 차이를 보였다. 7. 전통음식 패스트푸드점이 생기면 이용도에 관한 견해는 '가끔 이용할 것이다'가 56.5%, '많이 이용할 것이다'가 19.8%로 나타났고, 연령별(p<0.05), 주거상태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많을수록 '이용치 않겠다'는 비율이 높았고, 특히 주거상태별로는 '전혀 이용치 않을 것이다'의 비율이 하숙생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행에 민감하고 문화의 변화를 주도하며 패스트푸드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세대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우리의 전통음식을 패스트푸드화 하였을 때의 견해를 알아보고 그 전망을 살피기 위한 연구였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유행의 첨단을 달리는 신세대라 하더라도 많은 비율의 대학생들이 전통음식의 패스트푸드화에 전망을 밝게 보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이에 전통음식의 패스트푸드화와 상품화에 대한 인식이 고무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어 앞으로 계속 그 추이를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구조물 내진설계의 개념은 기존요구조건이라는 조항으로 시방서에 규정되어 있으며 구조물이 지진발생시에 안전성과 경제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비선형시간 이력해석을 수행하여 자진시의 동적거동을 기술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내진설계에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응답스펙트럼해석법은 선형해석법으로 구조물의 비선형동적거동의 영향을 거동계수로 반영하므로 파괴메카니즘 및 기본 요구조건의 만족여부를 거동계수를 구하는 과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내진설계방식에 의해 설계된 약진지역에 의한 화학공장건물의 모델인 3차원 철골뼈대구조물을 선정하고 거동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지진시의 동적거동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현 시방서의 응답스펙트럼해석법에 적용되는 거동계수는 강진지역의 구조물의 경우 기능성 및 안정성 한계를 제시하지만 약진지역 구조물의 경우는 실제 동적거동과 무관하다는것과 약진 지역에 위치한 구조물의 내진설계에는 시방서가 제시한 내진설계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주요한 사항임을 확인하였다.
The levels of sanitary management procedures in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s, in pusan, were investigated.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d to ninety three dietitians who managed university (n=21) and industry (n=72) foodservices and the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hen sanitary management procedures were evaluated by 5 scales method of Likert, total mean scores of time-temperature management in the process of meal production, personal hygiene, equipments and facilities hygiene in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were 3.48, 3.76 and 3.27, respectively. In time-temperature management, the scores for storage, purchasing and receiving, pre-preparation, cooking, assembly and service, and hot or cold holding were 3.77, 3.74, 3.55, 3.54, 3.28, 3.05, respectively, in descending order. The management levels for personal hygiene, equipments and facilities hygiene of foodservices had biger serving scale(over 90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lower scaled foodservices(below 900). The scores of foodservices managed by higher aged dietitian(over 31 ye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oodservices conducted by lower aged group(below 25 years) in the management procedures of time-temperature, personal hygiene, equipments and facilities hygiene(p$lt;0.05). The dietitian group had the regular sanitary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irregularly educated group in the management of time-temperature and personal hygiene. The schedule table for clean and sanitation was used in fifty foodservices. Those foodservice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ratings than the group without the schedule table in the management procedure for equipments and facilities hygiene(p$lt;0.01). The sanitation management level of fifty nine foodservices used daily sanitation ckecklist showed higher score on personnel hygiene, equipments and facilities hygiene than those of unused foodservices group(p$lt;0.05).
부산 지역의 외식실태 중 점심 식사시의 외식성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4학년 이상의 부산시민 남녀 564명을 대상으로 점심 때 잘 가는 장소, 음식점, 그리고 동반자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외식성향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생각되므로 설문지의 결과를 성별과 연령 그리고 직업에 따라 통계처리하여 각각의 외식성 향을 비교하였다. 1.점심 때 외식 장소로는 전체적으로 직장(또는 학교)근처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볼 수 있었으며, 남자는 여자보다 직장근처가 더 높았고. 여자는 집근처와 시내번화가에서 남자보다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2. 점심 때 잘 가는 음식점은 전체적으로 분식집, 한식집, 중국집 순이였으며, 남자는 한식집, 분식집, 중국집 순인데 비해 여자는 분식집, 한식집, 햄버거점 순이었다. 3. 점심 때 외식 동반자는 전체적으로 친구, 직장동료, 가족 순이었으며, 남자는 여자보다 직장동료가 높은데 비하여 여자는 남자보다 친구, 가족 이웃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점심 때 부산시민의 외식성향은 성별과 직업 그리고 연령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직장이나 집근처에서 직장동료나 친구와 분식 집이나 한식집에서 점심을 먹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대관령지역에서 사료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과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여 생산성이 높은 품종을 농가가 선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내에서 육성된 수원 19호를 대비품종으로 하고 현재 많이 재배되는 8개 장려품종을 공시하여 1999년도에 난괴법 3반복으로 대관령지소(해발 800m) 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 중 간장은 DK501, GL499 품종이 각각 180, 198cm로 가장 적었고 그 외 품종은 230cm 내외로 품종
남한 중남부에 위치하는 한국교원대학교 단주기 지진 관측망에 1997∼1998년 사이 포착된 원거리 지진들의 종파 초동 시간의 상대적 도달시간차를 분석하고 향후 있을 한반도 전체규모의 종파속도구조대비의 연구를 위하여 예비적인 토모그라피(tomography) 역산을 실시하였다. 각 지진 관측점에서 측정된 종파의 상대적 도달시간차들은 최대 0.7초로 측정되었다. 경기육괴와 옥천대의 경계 근처의 관측점들에서 계산된 종파의 상대적 도달시간차들은 역방위각의 변화에 따라 비교적 큰 값의 변화를 나타내며 그 지역 지각 하부에 속도구조 이상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지시한다. 조사지역 상부 맨틀이 수평적으로 균질하다는 가정하에 지각 전체에 대한 토모그라피 역산 결과는 조사지역 북서쪽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종파 속도를 가지는 구조가 나타난다. 역산된 예비적 성격의 상대적 속도 구조이상체는 경기육괴와 옥천대의 경계를 따라 대비되는 듯한 경향을 나타낸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블록의 크기나 위치 등에대한 입력 파라메터는 차후 자료가 충분히 집적될 경우 정밀분석을 위한 입력 파라메터로서 이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