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37

        5001.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waterfront(W․F) region can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sources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region. The research aims to find the essential factors to read the region fitted to the best residential environment, figuring out the estimation of being satisfied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 survey it could be revealed that what kind of value the region can have and what kinds of factors have to be emphasized on the region development. As a result the Waterfront residential region has more satisfying like sight views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than the non-waterfront residential region, showing high quality of perceiving the future moving plan. Some positive opinions could be found in insisting to develop the waterfront region, but it should be kept continually to prevent senseless developments, to develop the region fitting the demand to the provision, to manage the region continually since, and to observe some conservation criteria in developing the region.
        5002.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개지역 4곳의 농가에서 재배한 재래종 녹차를 제다회사에서 녹차분말로 제다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C함량, 무기질 성분을 분석하였다. 녹차의 품질은 색차계로 녹차의 색도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은 , 조회분은 , 조지방 함량은 , 단백질 함량은 , 탄수화물은 를 차지하였다. 녹차분말의 총 비타민 C함량은 이었으며 산화형이 로서 비타민 C함량의 를 차지하였다. 녹차의 무기질 함량은 나트륨, 마그네슘, 칼
        5003.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남지역 자생 둥글레속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규명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할용하고자 47개 수집종의 12개 형질을 대상으로 주성분 분석 및 average linkage cluster 방법으로 군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성분 분석에서 줄기형태, 줄기색깔, 엽색, 포의 형태, 화색, 화형 등 12개 주요 형질의 주성분의 고유치에 기여율은 제3주성분까지 분석하여도 전체의 79%정도 설명할 수 있어서 47개 수집종의 분류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2. 47개 수집종의 12개 주요형질을 대상으로 average linkage cluster 방법에 의한 분석치으 거리 0.7을 기준으로 군을 분류한 결과 5개군으로 분류되었다. I군은 둥굴레, II군은 용둥글레, III군은 산둥굴레 및 퉁둥굴레 특성의 중간형태를 각각 지닌 p28과 p29였으며, 제V군은 죽대로 분류되었다. 3. 경남일대 둥굴레의 특성조사와 수집종 분류결과 둥굴레와 죽대는 종간 변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용둥굴레, 퉁둥굴레와 산둥굴레는 다양한 변이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04.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남지역의 자생 둥굴레속 47개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종의 생장 몇 형태 관련 형질, 잎마름병 감염정도, 이들 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산둥굴레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짧았다. 한편 줄기의 생장형태는 직립형을 포함한 3개군으로, 줄기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하였다. 2. 염의 형태로는 타원형을 포함한 5개군으로, 엽병은 존재 유무로부터 2개군으로, 엽병의 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 특이하게 피침 형태로 엽연이 자색인 1개종이 수집되었다. 3. 꽃은 화형이 항아리형, 통형, 조롱박형의 3개군으로, 화색은 흰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특별하게 조롱박형인 1개 수집종은 연녹색을 띄고 있었다. 화사는 실린더형과 편평형으로, 화경의 색깔은 자색을 포함한 4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포의 존재 유무와 형태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4. 과실은 둥근형 등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백과중은 둥굴레에서 가장 무거웠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가벼웠다. 5. 둥굴레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강한 것은 2종, 이병율이 7% 이하인 것은 7개종으로 조사되어서 근경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저항성 유전자원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제형질의 상관관계에서 근경수량과 관련된 근경중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엽폭, 지하경 직경과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근경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마름병 이병율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백립중, 근경중, 지하경 직경과 부의상관을 보였다.
        5005.
        200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산불은 산지유역에 과도한 토사유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산불 이후 산지사면에서 강우에 의한 토사유출은 지표식생인자에 의해 지배되며 지표식생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회복되고 이는 토사유출을 저감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민감도를 강우에너지에 대한 유출 및 토양침식량의 비로 정의하고, 지표인자 변화에 따른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민감도에 대한 매개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표식생지수와의 상관성이 가
        5006.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were studied for the estimation of quality in herbal medicines which is Bupleuri Radix, Paeoniae Radix, Dioscoreae Rhizoma and Astragali Radix in products of north Gyeongbuk area. And we collected soils from several area in Gyeongbuk, and determined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oils by ICP. We compared with herbal medicines in products of Gyeongbuk and their soils. For the heavy metals contents of Gyeongbuk area, in Gong Jung Ri, represented the higher level, it may be due to a near the road. The Cd contents in soil was not a wide difference. For the As and Pb contents in soil, Song Sa Ri (Bupleuri Radix) represented the higher level (0.68㎎/㎏, 1523㎎/kg). Heavy metal contents in cultured herbal medicines and their soils did not give reproducible results. But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a few heavy metal contents of Dioscoreae Rhizoma and their soil showed the good transfer from the soil.
        5007.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ompared with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herbal medicines in products of Gyeongbuk and the other area of Korea.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were studied for the estimation of quality in herbal medicines which is Bupleuri Radix, Paeoniae Radix, Dioscoreae Rhizoma and Astragali Radix in products of north Gyeongbuk area. The average levels of heavy metal of herbal medicines in Gyeongbuk area are as follows:Mercury is 0.037㎎/㎏, Chromium is 0.093㎎/㎏, Nickel is 0.108㎎/㎏, Copper is 0.475㎎/㎏, Zinc is 3.14㎎/㎏, Manganese is 1.52㎎/㎏, Iron is 7.83㎎/㎏, and Cadmium, Lead and Arsenic is not detected. It was very lower in concentrations than those of average Korea area. Therefore, Gyeongbuk area appear to be more proper to cultivated land than other area. Minerals such as Ca and K were extracted more than Na and P in herbal medicines products of Gyeongbuk respectively. Minerals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distributed in herbal medicines were analyzed. Little or no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minerals and heavy metals.
        5008.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underst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wfall formation in western Busan area, we analysed monthly distribution of dewfall,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dewfall formation amount and meteorological factors. This study used the modified teflon plate (1m×1m) at Silla university in Busan from August 2002 to April 2003. In order to estimate qualitatively water soluble components, IC, ICP and UV methods for water soluble ions are also used respectively. Dewfall amount of sampling periods (47 day) collected 3.8 ㎜. Meteorological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dewfall above 50 g/m2 showed that temperature diurnal range(℃) was 5.6℃ above, cloud amounts (1/10) at dawn of the sampling day was 7/10 below, mean wind speed at dawn (0~6hr) of the sampling day was 4.4 m/sec below, and mixing ratio at 6hr of the sampling day was 3.2 g/kg above. Distribution of water soluble ions in dewfall founded the highest concentration (206.1 μeq/ℓ for SO42-, 42.4 μeq/ℓ for NH4+, 249.2 μeq/ℓ for Ca2+, and 42.0 μeq/ℓ for Mg2+) during the March, the lowest concentration (73.0 μeq/ℓ for SO42-, 4.6 μeq/ℓ for NH4+ and 72.7μeq/ℓ for Ca2+) during the August. Monthly equivalent ratio of [SO42-]/[NO3-] showed the highest value (4.99) during the October, the lowest value (1.84) during the August, and the mean value was 3.45.
        5010.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지털 TV 방송은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해상도나 음질 등이 매우 뛰어나고 홈쇼핑, 홈뱅킹, 인터넷 검색, 재택근무 및 VOD(video on demand)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TV 서비스 전에 본질적인 지역적 전파환경의 분석이 필요하며, ETRI 모델을 적용하여 부산지역에 대한 전파모델을 적용하여 그 제한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TV 신호가 고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산악지역과 고층빌딩이 많은 부산지역의 전계강도를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TV 전파모델을 기준으로 전반적으로 기준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보다. 낮은 결과를 갖지만 분포 패턴은 비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론치와 실측치를 비교한 결과 평탄한 지형에 대해서는 비슷한 결과를 가지지만 도심 밀집지역 및 산악 지형에 대해서는 상당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TRI 전파모델 및 자유공간에 대한 전파전파의 이론적 모델링이 부산 지역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5011.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국 현지인을 대상으로 우리 나라의 녹차음료에 대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분포는 남자 , 여자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이었다. 녹차음료의 포장상태는 전체 응답자 중 가 만족하고 있었으며, 포장디자인은 , 인쇄정도는 가 만족하고 있었다. 하지만, 냄새와 향의 경우 와 로 다른 항목에 비해 기호도가 상대적을 낮았다.
        5012.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G RIL 164계통과 그 유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지역에 따른 벼의 품질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QTL)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M/G RIL 164계통의 지역에 따른 단백질함량, 아밀로오스 함량, 지방산함량 및 식미평가치에 있어 빈도분포는 정규분포에 가까운 연속변이를 보였으며, 양친의 범위를 벗어나는 초월분리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역에 따라 품질형질의 분포범위의 폭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단백질함량은 원주>익산>대구의 순으로, 아밀로오스함량, 지방산함량 및 식미평가치는 대구>익산>원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품질에 관련된 QTLs분석에 있어 단백질함량과 관련하여서는 8개의 QTLs를 확인하였으며, 1번 염색체에서 2개, 3번, 6번, 7번 염색체에서 각각 1개, 8번 염색체에서 3개의 QTLs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8개의 QTLs가 설명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6.0~~15.2~% 로 나타났다. 아밀로오스함량과 관련하여 6번 염색체에서 1개, 7번 염색체에서 2개의 QTLs를 확인하였다. 3개의 QTLs가 설명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7.3~~24.4~% 로 나타났다. 지방산함량과 관련하여서는 2번과 6번 염색체에서 각각 깨, 3번과 7번 염색체에서 각각 1개의 QTLs를 분석하였으며, 6개의 QTLs로 설명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5.5~~14.0~% 를 보였다. 식미평가치와 관련된 QTLs는 2번과 6번 염색체에서 각각 1개, 7번과 8번 염색체에서 각각 2개의 QTLs가 분석되었으며, 그 6개의 표현형 변이는 5.5~~10.3~% 로 나타났다.
        5013.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the fact-analysis of environmental friendly farm households around the Chuam Dam through the sample survey, 2) the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EPA on the assumption that is the conservation of Chuam Dam’s water qualit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mes from 75 sample farm households. The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EPA around Chuam Dam was found out that the efficiency measure of land utilization around Chuam Dam, producing of high quality and safety agricultural products, promoting of the EPA connected with tourist agriculture, improving of the EPA products and supporting of price and income. In conclusion, there must be strategic measures to increase the income of environmental friendly farmers and to conserve the Chuam Dam’s water quality.
        5015.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struction of tunnels in a deep crystalline host rock for a potential High-Level Radioactive Waste(HLW) repository inevitably generates an excavation disturbed zone (EDZ). There have been a series of debates on whether a permeability in an EDZ increases or not and what would be the maximum depth of an EDZ. Recent studies show mixed opinions on permeability. However, there has been an international consensus on the thickness of an EDZ; 30 cm for TBM and 1 meter for controlled blast. One of the impacts of an EDZ is on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deposition holes. The void gap by the excavation hinders relaxation of temperature profiles so that the current Korean reference designing distance between holes should be stretched out more to keep the maximum temperature in a buffer region below 100 degrees Celsius. The other impact of an EDZ is on the long-term post closure radiological safety. To estimate the impact, the reference scenario, the well scenario, is chosen. Released nuclides diffuse through a bentonite buffer region experiencing strong sorption and reach a fracture surrounded by a porous medium. Inside a fractured porous region, radionuclides migrate by advection and dispersion with matrix diffusion into a porous medium. Finally, they reach a well assumed to be a source of potable water for local residents. The annual individual dose is assessed on this well scenario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an EDZ. A profound sensitivity study was performed, but all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is negligible. Even though the role of an EDZ turns out to be limited on overall safety assessment, still it is worthwhile to study the chemical role of an EDZ, such as a potential source for natural colloids, potential sealing of an open fracture by fine clay particles generated by the process of an EDZ, and alteration of a sorption mechanism by an EDZ in the future.
        5017.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r this study is to simulate spatially the urban expansion phenomena with a cellular automata (CA) technique using GIS. A study area, Suwon city, was selected for test of model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with the classified land-use maps of three data years: 1986, 1996, and 2000. The urbanized potential maps were generated with seven criteria of one geographic factor (slope of land), and six accessibility factors (time distances from city, national road, Seoul, station, and built-up boundary), considering their weighting values, which were optimized by WSM (weighted scenario method for intensity order) combined a ranking method and a AHP technique. The optimized weighting values at the urban expansion between 1986 and 1996 were applied to verify the CA model for the other expansion between 1996 and 2000. The results of model application showed that urban sprawl phenomena of the urban expansion toward rural area can be simulated spatially and temporally with several boundary conditions considering various scenarios for the criteria and parameters of the model. Ultimatel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reference data for land-use planning of urban fring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