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6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2011, neighborhood parks occupied a total area of 280,135,257m2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y areas and this excluded the metropolitan regions. In the rural area, the park area per person(22.64m2) is larger than the urban area(9.50m2). It is a questionable why there is a higher park ratio in the rural area compared to the cities, where the function of the neighborhood parks is not being utilized well. But, there are already a lot of parks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rural areas and a lot of money is being spent in maintaining them. Hence, rather than reducing the number of "country park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se "country parks" ought to be utilized in a different manner than the parks in the city. In that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s of the country park usage along with the utilization of the local festivals within the parks. First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mpared the amount of neighborhood parks betwee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metropolitan areas, and analyzed those results. Secondly, daily newspaper article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to find the usage of the rural park which were then analyzed. Then, the extraction of the essential points in composing the festival space was carried out. Also, the general design guides of making the neighborhood parks were drawn. Last but not least, using these two resources, this study suggested design guidelines for using neighborhood parks as a Festival Space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63.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어메니티 창출을 위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어메니티 평가 요소와 시험 프로그램(pilot program)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식물축제와 테마식물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방문동기별 어메니티 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분석 함으로 식물관련 축제와 체험행사의 공간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또 시범용 체험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목적별 만족도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활용 방안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지침을 도출하였다. 즉, 어메니티 요소에 대하여 방문목적별 분석은 유의한 차이가 시설물과 식물의 다양성에 대하여만 나타났다. 나머지 항목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통해 시설물은 공간 방문목적에 맞게 종류와 배치를 재구성 해야 하고 식물의 다양성을 고려한 테마선정과 계절별 배치와 이용자의 목적에 따른 체류시간을 고려한 동선 배치가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어메니티 체험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체험활동 목적에 따라 그리기와 토피어리조형정원, 미니정원 프로그램에서 만족도 차이가 나타나므로 단순체험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산책과 채집 식물활용, 먹거리 관련 프로그램과 교육이 요구되는 그리기와 만들기형 프로그램으로 대분류하고 교육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은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구재와 모형을 만들어 지속적인 교육기능을 보완 한다면 효과적으로 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식물축제나 수목원, 식물원, 대안학교 등에서 식물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는 방문자의 경험과 방문목적을 고려한 후 일시적 체험활동과 교육적 체험을 분류한 단계별 매뉴얼 중심의 체계적 체험 활동으로 질적인 운영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식물관련 축제와 식물원에서 어메니티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공간 구성과 체험프로그램을 도입할 때,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이용자의 목적별 데이터는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4.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3회 신안튤립축제의 방문객 만족도와 행사 내용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축제기간인 2010년 4월 16일부터 25일까지 축제장을 방문한 전라남도 거주자 219명과 타지역 거주자 71명 등 총290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축제장까지의 교통 편리성에 대해 방문객들은 가장 만족했다고 평가해주었다. 풍차, 튤립공원, 튤립포장 등 축제시설에 있어서도 두 번째로 만족해했고. 안내원의 서비스도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휴게시설이나 화장실과 같은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각각 6.68과 6.36점으로 낮았으며, 축제상품의 다양성, 가격, 품질에 대한 평가에서도 각각 6.27, 6.19, 6.35점으로 나타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축제음식의 다양성, 가격, 맛은 조사항목 23개 중 가장 낮은 접수를 받아 방문객틀이 가장 불만족해 하는 요인으로조사되었다.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위해서는 새로운 양질의 축제 관련 음식을 개발하고, 지역 음식을 판매하는 부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축제 프로그램과 새로운 우수 품질의 축제 상품들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67.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화훼장식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화훼 중에서 다화 소재로 적합한 소재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작품 분석을 통해서 현대의 차(茶)문화 공간에 어울릴 수 있는 다화의 종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9년 대구세계차문화축제의 주요 행사로서 다양한 차 문화 공간 연출을 위한 찻자리의 꽃인 다화 경연대회가 실시되었는데 대회 시 사용되어진 다화 소재와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다화 소재로 선정되어진 화훼는 능수조팝나무,금사매,정금나무의 절지류와 국화, 장미, 산수국, 유스토마, 과꽃, 섬바디, 솔리다스터, 안개초의 절화류, 고사리, 루스쿠스의 절엽류가 사용되었다. 특히 선을 표현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어진 소재는 능수조팝나무이었고 꽃은 과거 차 문화 공간에서도 많이 사용되어졌던 국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현대의 차 문화 공간에서는 다양한 소재를 폭넓게 사용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꽃의 표정이 차 문화 공간의 분위기와 잘 맞아야 된다.
        68.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arch for the ways to activate the Gochang Blackberry Festival by examining the visitors to the festival and utilizing the results to make efficient use of the local resources and vitalize the a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visitors were aware of Gochang blackberry's superiority to that of other regions in quality and commercial value but lacked in the recognition of its related products, which suggests that the Gochang government should make diverse efforts to heighten their recognition of the products.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improving and supplementing the local festivals ad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Gochang blackberry. It's thus required to reinforce new experience programs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by incorporating blackberry into other local resources. The study has its limitations since its subjects were restricted to the visitors of the Gochang Blackberry Festival and it fail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factors of general potential tourists with the small sample. In future study, they need to use a bigger sample of general public to generalize the research findings.
        69.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sitors` satisfaction of Jangsung Bekyang Maple Festival event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festival administrators. This study was surveyed 260 visitors and the 15 of them were deleted because they did not respond some items of the questionnaire. So 245 sampl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ntrance to festival site and traffic convenient was the most satisfied factors from visitors. The kindness of guider was secondly satisfied factor and the convenient facility was chosen as third favorite item. Second, festival foods, festival products, and public relationship were the less satisfied factors of the twelve factors. While residents` satisfaction toward experience program was high, domestic visitors` satisfaction was moderate. But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toward convenient facility, domestic visitors'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and founded as high and residents` satisfaction about it was moderate. For the future festival development,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Maple related theme park is necessary to increase visitors. Second, development of theme about foods` booth is recommended to increase satisfaction of visitors.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photograph zone and selling booth for hikers are necessary for this festival.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importance about this festival events and satisfaction is also needed in the future research.
        7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안백련축제 주 무대인 무안군 일로읍 복용리 자생백련의 개화조절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개화특성 및 개화에 미치는 기상요인을 분석하였다. 무안 회산백련지에서 화경이 수면위로 출현되는 시기는 6월 8일(2002년)에서 6월 16일(2006년) 사이였다. 꽃이 처음으로 출현된 시기는 6월 18일(2002년)에서 6월 27일(2000년 및 2006년)사이였다. 첫 꽃 개화시기와 개화량의 최대기 간에는 정의 상관을 나타낸 반면에 화경 출현기와 첫 꽃 개화기 사이에는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개화량의 최대기는 평균기온, 일조시간 및 강수량과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백련의 내적요인 및 관리요인이 기상요인 보다 큰 영향을 미친 결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개화에 미치는 구체적 요인에 대한 자료 확보를 위해서는 연근의 연령 등 내적요인과 수심관리, 굴취와 식재시기, 시비 등 관리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71.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sitors` satisfaction of Jangsung Bakyang Maple Festival Program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festival program planners. This study surveyed 260 visitors and 15 were deleted due to they did not responded some questionnaires. So 245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aple Forest Street Performance’was the most satisfied program from visitors.‘ On Stage Performance Program’was secondly satisfied program and Exhibition of Maple Postcard was chosen as third favorite program. Second, Natural Soil Dyeing, ‘Maple Wooden Pressure Experience', ‘Press Flower Experiencing was the less favorite three programs among eight programs. To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n,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many visitors came to the festival with their family, more family orient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Second, itis necessary to establish small scale performance place to increase quality of 'Maple Forest Street Performanc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is study investigated eight programs of this festival. For the future stud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programs of the festival and examine determinants factors of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72.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a phenomenon of rural tourism in Korea by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50 villages that had participated in a competition of 'stimulation of rural vill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egrees of activation of rural tourism varied according to marketing efforts made by individual provincial(local) government. The results of contest indicated that provinces such as Gangwon-do, Chungnam-do, and Gyunggi-do showed highest performance among other competing local governments; 2)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otal profit generated from direct sale of farm products outnumbered profits gained from sales of lodging and foods. This indicated that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with respect to boosting more sales on lodging and food; 3)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ofits earned from sales of experiential tourism product and those from direct sale of farm products(multi-correlation coefficient: 0.38); 4) It was identified that Gyunggi and Ganwon provinces were ranked first in sales of foods and those of lodging, respectively; 5) Finally, it was showed that among the 50 participating villages, only 16 ones hold festivals by means of attracting tourists from outside.
        73.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Bongwha Pine Mushroom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based on marketing mix which are products, price, place, and promotion(4ps) and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providing more opportunity of taking mushrooms, placing of guides, and development of diverse foods to increase satisfaction of festival program Second, providing discount of festival products and development of low price foods based on the region products are necessary to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n on price. Third, placing traffic signals are a must for festival visitors. Fourth, it was found that TV, word of mouth, internet were the most three effective medias. There should be more investment on the medias. Providing cooking manuals for making pine mushroom foods are necessary, too. Fifth, uniformed clothes for guides and making more relaxation places are recommended for visitors` satisfaction. The increasing and placing of more restrooms are important for visitor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is study investigated visitors` satisfaction based on marketing 4Ps and service. There should be more satisfaction researches through diverse factors not onl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rminant factors of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74.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나무라는 식물의 부산물인 송이버섯을 주제로 축제화한 제8회 봉화송이축제의 방문객만족에 관한 연구이다. 식물을 활용한 축제연구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방문객의 만족을 식물을 활용한 관광 형태 중의 하나인 생태관광 관점에서 연구 한 것에서 본 연구는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식물 활용축제에 대한 방문객들의 축제 관광프로그램 만족도,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식물활용 축제의 지역에 대한 경제적 편익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화송이축제의 관광프로그램 중 방문자들은 송이채취 체험에 대해 송이를 활용한 음식 만들기 등 의 프로그램들 보다 더욱 만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5.35/7점 척도). 한편 체험 참가자들은 채취하는 송이의 수가 증가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송이축제 방문으로 방문자들은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느껴 봉화 송이축제가 교육적 축제임이 밝혀졌다. 다음으로, 축제 방문객으로 인한 지역의 경제적 기여 분석에서 방문자들은 송이와 농산물 구매 그리고 식음료 구매로 인한 비용이 숙박 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축제 기획자들은 가족 중심의 관광프로그램 다양화와 지역의 독특하고 상품성 높은 농산물 생산 등에 대한 축제 기획이 요구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방문객들의 방문동기, 방문객들의 방문 기대와 인지된 성과, 서비스 질 등에 관한 만족도 연구 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