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교와 특수학교의 학교 환경에 따른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배포된 설문지는 통합학교 20부, 특수학교 20부 총 40부였으며 이 중 18부(45%)가 회수 되었다. 무응답 또는 다중 응답 문항이 있는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16부, 통합교육 대상자 총 4명, 특수교육 대상자 총 12명의 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대상 학생을 4개월 이상 관찰한 교사가 본 연구의 평가도구인 적응행동검사(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와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과 : 통합교육 환경과 특수교육 환경에 따라 SFA와 K-ABS를 비교한 결과, K-ABS의 사회적 적응요인에서 통합교육 집단에서 특수교육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5). 각 학교 환경에 따른 집단내 SFA와 K-ABS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특수교육 환경에서 SFA와 K-ABS의 하위항목 간 상관관계를 이루는 항목이 더 많았다.
결론 : 연구를 통하여 통합교육 환경이 장애학생의 전반적인 적응능력과 학교생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작업치료사로서 학교작업치료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장애학생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은 교육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작업치료사는 장애학생의 교육의 질과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할 것이다.
목적: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을 성별에 따라 분석하여 학생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에 좀 더 차별화된 도움을 주고자한다.
방법: 충청지역 안경광학과 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정신건강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SCL-90-R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유의수준은 p<0.05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신체화 22.7%, 강박증 28.3%, 적대감 12.8%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과 편집증의 경우 27.7%와 10.2%, 대인 예민증, 정신증, 공포증, 불안증은 각각 14.7%, 10.4%, 5.9%, 17.4%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론: 안경광학과의 학생들의 약 28.7%에서 부정적인 정신건강으로 신체화, 강박증, 적대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모든 변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에 차별화된 성별에 따른 학생 상담과 생활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융합이 중요시 되고 있는 시대가 발전함에 미래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시도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초등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되, 수업에 참여를 유도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요소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을 수업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게이미피케이션 요소가 적용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와 가능성 및 효과적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게이미피케이션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교육 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메커니즘을 적용한 초등학생 대상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나의 꼬마 빌딩 숲’을 개발하였다. 깊이 지각에 대한 인지과학의 원리를 주제로 3차시에 해당하는 수업 내용과 활동 및 교재와 키트 등을 제작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학급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만족도 조사 및 교사 인터뷰 등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을 적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과 가치, 한계점 등을 논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융합인재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융합 시대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의 방법을 대학의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행연구의 절차에 따라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예비 프로그램 적용을 위하여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에 ‘학습상담’ 및 학습포트폴리오 적용의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후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개별적 특성에 부합하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In this study, we used the 3D simulation program to create bodice patterns for adolescents boy students and analyze the fitting and air gap through 3D s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bodice pattern method that best suited the body shapes of the adolescents mal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French E pattern, Japanese N pattern, and Korean industrial L and J patterns. The applied size was the sixth Korean human body size survey data of 2010 Korea. The age range of the subjects was 13-18 years. DC Suite Program Ver. 5.1 was used, and SPSS 23.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hapes of the bodice patterns in the 3D simulation program, the E pattern had two waist darts on the front and one shoulder dart and one waist dart on the back, and the J and L patterns only had one dart on the back. The N pattern had no darts on either the front or back.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pattern, air gap, color distribution, and clothing cross-section, the E pattern was evaluated as the closest to the body, and the N pattern was evaluated as the pattern with the largest allowance. The J pattern was evaluated as the best fit for body shape of the male adolescen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attern system by adding extra ease in setting the center front length.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비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심리적 안녕감 정도를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S와 I지역의 종합대학 간호대학생 127명과 비 간호대학생 124명, 총 2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 역량 정도는 평균 5점 만점에 간호대학생 3.35점, 비 간호대학생 3.23점, 심리적 안녕감 정도는 평균 5점 만점에 간호대학생 3.53점, 비 간호대학생 3.37점으로 나타났으며, 두 군 모두 문화적 역량 및 심리적 안녕감 정도가 ‘중’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생이 비 간호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문화적 역량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분석결과 간호대학생은 문화적 인식, 문화적 지식,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기술, 문화적 경험, 자아수용성, 환경에 대한 통제,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정규교육과정에 다문화교과목 편성 및 다문화현장체험, 특강 등 교과외 활동을 병행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가지고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마케팅 방안을 모색하고자 대학교육서비스의 일환인 대학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과 학생만족, 대학이미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수도권지역의 3개 대학의 스포츠센터를 대상으로 편의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총 350부 중 24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326부의 자료로 분석하였다.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의 지리적, 인적, 편의성 요인이 학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의 시설적, 편의성 요인이 대학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의 학생만족이 대학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 : 학습코칭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조별 학습 및 팀기반 학습을 6개월 이상 경험한 전남 소재 안경광학과 전공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학업성취는 학습코칭과 자기주도학습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코칭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503, p<.001),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351, p<.01). 학습코칭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325, p<.01), 남자인 경우(β=.259, p<.01), 학점이 높을수록(β =.222, p<.05) 자기주도학습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고(β=.547, p<.001),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β=.404, p<.001)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학습코칭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쳤고, 전공만족도가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목적: 강원도 지역의 원시안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굴절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원시안의 굴절이상 정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원시안인 저학년(1.2.3학년) 30안, 고학년(4.5.6학년) 20안, 총 5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원시정 도에 따른 구면굴절력의 분류는 경도원시 +0.25D ~ +2.00D, 중등도원시 +2.25D ~ +5.00D 으로 분류하였다. 검사는 조절마비제 점안 전과 후에 자동굴절검사기와 검영기로 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현성굴절검사(MR)와 조절마비굴절검사(CR)의 구면 굴절력 평균값은 +1.00±0.52D, +1.59±1.23D 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원시도가 0.59±0.59D 높게 측정되었다(p<0.05). 학년에 따른 MR과 CR의 구면 굴절력 평균값은 저학년에서는 +0.91±0.52D, +1.44±1.25D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원시도가 0.53±0.59D 높 게 측정되었으며, 고학년에서는 +1.14±0.51D, +1.80±1.18D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원시도가 0.66±0.58D 높게 측정되었다 (p<0.05). 원시정도에 따른 MR과 CR의 차이비교에서는 경도원시, 중등도원시의 구면 굴절력이 각각 0.48D, 1.75D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초등학생 원시안을 대상으로 현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굴절검사 굴절력을 비교해본 결과 전체학생 및 저학년과 고학년의 구면 굴절력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원시정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경도원시, 중등도원시의 구면굴절력이 증가할수록 차이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원교육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드러닝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방법 중 하나로 기대를 받고 있는 플립드러닝의 프로그램 개발과 운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플립드러닝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플립드러닝 방식으로 수업을 하는 학원의 수강생 512명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고등학생의 플립드러닝에 대한 만족도는 ‘학습내용 > 학습방식 > 학습결과’ 순으로, 요구도는 ‘학습방식 > 학습내용 > 학습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특성에 따른 플립드러닝의 만족도와 요구도는 학급당 학생 수가 15명 미만이고, 수업시간이 4시간 이상이며, 학원에 온라인학습장비가 비치되어 있고, 학원이 온라인강의를 직접 제작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개인배경에 따른 플립드러닝의 만족도와 요구도는 성적이 우수할수록, 수강기간이 3개월 이상, 주당 온라인 강의를 4시간 이상 듣는 경우 대체로 높았다. 넷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학생, 수강기간, 성적, 수강료이고,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학생, 학급당 학생 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드러닝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고려한 개별 맞춤형 콘텐츠의 개발과 학습진행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eal servic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Approximately 97.2% of student-subjects have agreed on the necessity of a free meal service for school lunch; 44.3% of student-subjects voiced the need to provide free meal services in order to eliminate discrimination of low-income students. Over one-third of student-subjects (36.7%) cited nutrition as the main benefit of providing a free meal service. The majority of parent-subjects (95.1%)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a free meal service in school; approximately 37.3% of parent-subjects responded to need the free meal service in order to eliminate the discrimination of impoverished students. Both student- and parent-subjects express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ingredients and the type of soup/nutrition provided. Student-subjects insisted on better food hygiene and a new menu, but cited the noisy cafeteria as a problem associated with school meal services. In addition, approximately 56.5% of student-subjects responded to the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in school. Parent-subjects were primarily concerned with hygiene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school meal services, noting the temperature of foods as the biggest problem in school meal services. The majority of parent-subjects (88.1%) responded to the need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school. Results of this survey indicate that school meal services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menu options and increasing food hygiene.
본 연구는 과학공학 융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공학과 공학자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기 위 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과학공학 융합 수업은 제한된 예산과 시간동안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24차시 수업으로 설계되었으며 20명의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데이터는 공학자 그림 그리기와 설명문 항, 그리고 이에 대한 개별 인터뷰와 초점 집단 면접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공학자 그리기에 대한 설명과 인터뷰는 전사 내용을 토대로 양적(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 질적 분석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과학공학 융합 수업은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공학 설계에 대한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학과 공학자, 그리고 공학 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공학은 여러명이 협력하는 사회적인 활동이라는 인식, 그리고 공학자의 윤리의식, 공학의 사회적 가치 등 공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도 바람직하게 변화하였다.
The Breakfast Club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ims to provide breakfast and nutrition education to students who require need breakfa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hanges at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levels among high-school participants of the Breakfast Club.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20 high school students (10 boys and 10 girls) via a focus group interview at each school. Experienced improvement and suggested future tasks from the experience of the Breakfast Club were categorized at three levels (themes): personal factors,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and home environmental factors. The health belief, knowledeg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effects of the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but the personal barriers need to be improved. At the school level, peer influence and school food policies were improved but some aspects of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for breakfast, and social norms need to be improv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home environment, such as family influence, and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for breakfast were better after the program. The Breakfast Club changed not only personal behaviors but also the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secondary school student athletes’ specific needs for English learning and analyzes correlation and a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needs-related variables. Two hundred forty six student athletes enrolled in physical educatio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at inquired about the students’ perceived English ability and learning areas of interest, their needs for ESP education, and aspects to be considered for ESP course design.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put more emphasis on verbal communication (i.e., on speaking and listening) than on written communication (i.e., on reading and writing) and that they wanted more practical ESP education reflecting their needs and interests. Additionally,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p<.01) among the subjects’ learning areas of interest, needs for ESP education, and aspects to be considered for ESP course design; a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above three variables was discovered by goodness of fit test for structure equation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cluded that secondary school student athletes’ perceived English ability and areas of interest for English learning influence both their needs for ESP education and aspects to be considered for ESP cours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mportan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English word stress to be, how familiar they are with word stress, and how well they pronounce the reduced vowel /ə/. Sixty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a survey study that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word stress in English. They were then asked to mark the stress on each of the 44 words selected from the basic vocabulary list compil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to pronounce each word twice. The result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a vast majority of the students (50 out of 60, 80%) do not pay attention to the stress and pronunciation of words when they study new vocabulary and that they memorize only the spelling and meaning of new words. As a result, many of them could not identify the stressed syllables in many of the 44 words, even when they knew their meaning. As for their pronunciation of the reduced vowel /ə/, the students on average were able to pronounce /ə/ correctly in only 23 words, although they stressed the correct syllable in 28 words. All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cessity of teaching Korean students explicitly the importance of word stress in English and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the reduced vowel /ə/ in order to help them improve their intellig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