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최근의 시인들이 농민과 농업, 그리고 농촌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작품에 표현하는가 에 대한 경향을 탐구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농촌은 갈수록 점점 심각한 상황에 처 하고 있다. 사회적 상황이 악화되면, 제일 먼저 시인의 감각에 포착된다고 말해왔다. 그래서 시인을 두 고 ‘시대의 안테나’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시인들의 작품을 보면 농촌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작품들이 충분하지 않다. 농촌을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곳으로만 생각하면 안 될 일이다. 도시인들의 정 서회복의 장소는 결국 농촌이 될 것인데, 농촌의 환경마저도 결코 건강하지 않은 상황이다. 시인들까지 도 제가 먹고 있는 것들의 근원이 어디이고, 근본이 어떠한가에 대한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사람들을 절 실하게 각성시킬 방법이 없다. 현대시의 논의에서 비평가들은 농민이 직접 쓰는 시를 적극적으로 옹호 하고, 농촌을 소재로 한 시들을 평범한 것으로 취급한다. 이데올로기가 들어있지 않은 ‘농민시’는 강력한 힘을 가지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농촌시’를 평범한 것으로 평가하지 말아야 한다. 소재주의에 빠질 염려가 있다고 해서 ‘농촌시’를 배격해왔는데, 이제는 그런 부류의 시마저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농민시’를 고집하지 말고, 농촌의 현실을 절실하게 각성시킬 수 있는 작품들은 어떤 것이든 소중히 여겨야 할 것이다. 농촌시의 본보기가 될 시인들, 예컨대 신경림, 김용택 등이 있다. 이들의 시를 ‘농민시’ 또는 ‘농촌시’로 한정지을 수는 없다. 이들의 시는 농촌에 대한 관심과 성찰을 갖게 한다. 이들의 시는 ‘농민시’와 ‘농촌시’를 차별하는 않아야 한다는 것을 터득하게 한다. 소외된 농촌에 필요한 이데올로기를 담은 ‘농민시’도 필요하지만, 문학적으로 봤을 때 다양한 시대정신을 가진 ‘농촌시’도 더욱 풍성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Crowdsourcing models in which organizaions obtain needed product ideas and services from a crowd in a network-based society are rising as a global industry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rowdsourcing design shown in the domestic fashion brand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 strategies using crowdsourcing. This study wa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which was brand case studies on crowdsourcing design in the fashion industry from January 2006 to July 2017. Also, quantitative analysis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was appl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rowdsourcing design was used in almost all types of fashion brands, such as sports and outdoor wear, men’s wear, women’s wear, men’s and women’s casual wear, shoes, bags, school uniforms, jeans, accessories, etc. Crowdsourcing design in the fashion industry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crowdsourcing graphics and artwork; crowdsourcing customized designs; and crowdsourcing product designs. Of the three types, crowdsourcing graphics and artwork was used most. There were four methods to choose the best crowsourced design: review only by experts, voting by crowd and review by experts, crowdvoting, and crowdfunding.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rowdsourcing design were openness, participation, reward and acknowledgement, sharing and interaction, and individualized collective intelligence. Crowdsourcing design could be used as an open innovation strategy in the fashion industry, which could collect new and creative design ideas for product development, resulting in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and benefitting the company.
강유위(1858-1927)는 서방열강의 중국침략으로 중국이 반식민지 반봉건사회로 전락하고 중 국 민족이 생존위기에 직면하였을 때 대동사회를 구상하였다. 그는 당시 중국사회를 “끝없이 푸른 하늘과 넓은 대지는 큰 도살장이며 감옥일 따름”(대동서·甲部)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리하여 모두가 행복하고 괴로움이 없는 세상을 꿈꾸었는데, 그것이 바로 대동사회이다. 강유 위의 대동사상은 동서양 사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는데, 특히 공자의 대동사상, 공양삼세설, 인(仁)사상 등과 서구의 천부인권론과 공상적 사회주의 등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렇게 형 성된 그의 공상적 사회주의는 유가사상을 통한 사회주의의 공고화를 도모하는 중국사회주의 의 현대화를 이룩하는 데 사상적 초석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큐레이션 플랫폼을 이용한 외현적 정보의 제공이 현대미술에 대한 일반대중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현대미술은 일반대중이 접근하기 난해한 장르로 여겨져 왔다. 한편, 미술 감상에 대한 연구들은 외현적인 정보의 제공이 미학적 감상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품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현대미술을 감상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감상 경험을 심리학적으로 분석한 Leder et al.(2004)의 이론적 모델에 기초하여 외현적 정보가 어떠한 인지적 처리과정을 도와주는지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최근의 전시 트렌드를 반영하여 온라인 플랫폼 환경을 적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작품과 설명문이 제공되었고 작품에 대한 이해도, 관람의향을 보고하였다. 실험 결과, 해설이 제시된 조건에서 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았다. 또한, 긴 해설이 제시된 조건에서 해설 이해도와 관람의향을 작품이해도가 완전매개하는 매개모형이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ARS 설문을 추가하고 온라인 큐레이션의 능동적인 조작 환경을 재현했다. 실험결과, 해설이 제공된 조건들에서 관람의향, 작품이해도가 더 높았다. 예술사적 의미, 자아성찰, 창의성 등 Leder et al.(2004) 모델의 후기 단계에 해당하는 지표들 역시 해설조건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온라인 큐레이션 환경에서의 정보전달이 일반대중의 현대미술 작품에 대한 인지적 처리와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Koh, Seung-hui. 2017. “A Study on the Social Aspect through Neologism in Modern Polish”.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3). 29~6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word formation and meaning of newly coined words in modern Polish, and to investigate latest social changes in present Poland reflected in these new words. This paper consists of two main sections. The first section describes the linguistic analysis of newly coined words of Polish origin and loanwords from various languages. A large number of English words have flowed into Polish for a variety of reasons. English loanwords occupied about 70% of the database in this study database. The second section examines the socio-cultural changes through an analysis of words in various fields. From the analysis of gathered lexical database we can confirm the acceptance phenomenon of the most frequently, sometimes excessively used English loanwords among the young generation in Poland and look over the changes in Polish society through each word.
Opera is the most comprehensive musical art. In recent years, contemporary opera worlds has seen a variety of attempts to reinterpret operas of the past in a modern light. This has resulted in a dramatic change in the production of musical style and stage ar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odernize and streamline opera costumes by extending the scope of existing stage costume design,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ecorative elements in the Middle Age of Rococo, such as ruffles, frills, shirring, embroidery, buttons, etc., in such a way as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moods of an opera to a modern audience. The costumes of the Rococo period we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is work, the male main character was played by a bass to express the image of an older, lazy, rich man. A key element in modernizing the stage costume was selection of the costume color in such a way as to visually represent the voice tones sung by the major characters in the opera. Second, the maid hat and aprons were decorated with frills by applying the curves of Rocaille decoration from the Rococo period symbolize the role of the maids. This represented the distinction between occupation according to class and status at that time, while also expressing the ideals of modern feminine beauty. This makes for more comfortably-worn costumes, and is economical for production expenses. In the future, the stage costume design for classical opera will need to be revised consideration of a modern viewpoint.
Opera is the most comprehensive musical art. In recent years, contemporary opera worlds has seen a variety of attempts to reinterpret operas of the past in a modern light. This has resulted in a dramatic change in the production of musical style and stage ar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odernize and streamline opera costumes by extending the scope of existing stage costume design,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decorative elements in the Middle Age of Rococo, such as ruffles, frills, shirring, embroidery, buttons, etc., in such a way as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moods of an opera to a modern audience. The costumes of the Rococo period we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is work, the male main character was played by a bass to express the image of an older, lazy, rich man. A key element in modernizing the stage costume was selection of the costume color in such a way as to visually represent the voice tones sung by the major characters in the opera. Second, the maid hat and aprons were decorated with frills by applying the curves of Rocaille decoration from the Rococo period symbolize the role of the maids. This represented the distinction between occupation according to class and status at that time, while also expressing the ideals of modern feminine beauty. This makes for more comfortably-worn costumes, and is economical for production expenses. In the future, the stage costume design for classical opera will need to be revised consideration of a modern viewpoint.
이 글은 근ㆍ현대 한국불교 예송의례의 아우라에 대해 전승과 변용을 변 증법적으로 고찰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의례서적의 편찬 방식 등을 기준으로, 대각교의식과 석문의범 등이 편찬된 20세기 초중반을 근대 로, 불교의식을 현대와 같은 방식으로 편찬하기 시작한 20세기 중후반을 현 대로 상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현행 조석의 7정례는 대웅전에 모신 존상과 큰 관련이 없는, 주전에서의 전통 예참의식 형태로서, 사찰의 전 대중이 참여하는 일상의례인데, 근대불 교시기에 유사한 양태로 성립되기 시작하여 점차 변형을 겪으며 현대불교시 기에 이르러 현행 양태로 변용되었다. 7정례가 한국불교사찰에 널리 보급된 것은 사실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국의 모든 사찰에서 동일하게 설행되는 의 식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사찰의 새벽을 알리는 도량석이 현재와 같 이 활용된 시기와 의미 등을 단정할 수는 없으나, 야간에 행해지는 시식(施 食) 의식의 결계(結界)에 대(對)되는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우연의 일치 일지 모르지만 현재 법성게가 ‘도량석’에서 주로 염송되는데, 이는 시식의식 에 초대된 존재들이[諸法] 본래의 붓다[名爲佛]이고 그곳으로 돌아가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으므로, 그 의미와 역할이 묘하게 부합된다. 범종각의 사 물인 법기들은 식당에서 출가 승려들이 음식을 먹을 때 울리던 것으로, 사 찰에 재승(齋僧: 승려공양)이 들어왔을 때 야외에서 식당을 차리고 음식을 먹는 행위를 지휘하는 지휘소와 같은 역할을 하는 유나소인 종루(鐘樓)에서 활용되게 되어 종각에 모이게 되었다. 이 같은 역사 속에 예경과 송주의 도 량석이나 종각의 사물은 본래 의미를 잃어버렸으나 각 의식과 사물은 탄생 의 연기를 환기하여 깨달음을 되새기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인다.
연구자는 표절논란이 진행 중인 손몽주와 박정현의 사례를 미술과 저작권이란 양자적 관점 에서 분석한다. 손몽주는 박정현의 작품이 자신의 작품과 재료와 표현형태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2014년 대구지방법원에 전시금지가처분을 신청하였다. 법원의 결정에 따라 대구미술관에서 박 정현의 작품은 전시가 금지되었다. 이후 진행된 법적 분쟁에서 부산지방법원은 박정현에게 법원이 정한 일정한 표현 형식을 사용하지 말라고 판단하였다. 연구자의 주장은 미술표절 논란에 대해 법 적분쟁보다 미술계의 논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과 미술표절의 판단 주체는 법원이 아닌 미술계가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서, 현대미술에 대한 활발한 표절 담론 형성 필요성을 지적한다.
중국현대미술은 1993년 제45회 베니스비엔날레에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국제미술계에서 두 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 가운데 가장 늦게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현대미술은 베니스비엔날레를 중심으로 점점 더 폭넓은 위치를 점유해 나갔다. 진출 초기에는 중국정부차원의 지원이 아닌 작가 개개인의 활발한 제작 활동으로 스스로의 입지를 다졌으며, 1999년 차이궈창(蔡國强, 1957-) 이 중국작가로서는 처음으로 대회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여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중국 정부는 문화예술이 국가의 위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경험했고, 본격적으로 정부차원의 지원을 시작한 결과 2005년에는 베니스비엔날레 본전시장에 중국의 국가관을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발전을 거듭한 중국현대 미술은 2013년 베니스비엔날레 진출 20주년을 맞이하며 더 이상 서구미술의 흐름을 따라가는 후식민적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 스스로가 지닌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해 논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중국현대미술의 베 니스비엔날레 참여과정에 대한 연구는 중국현대미술이 국제화를 이루어 낸 맥락과 가치를 보여준다.
이 논문은 중국 현대소설, 특히 신감각파(新感覺派)의 작품에 나오는 상품과 광고를 추출 하여 그 표상과 브랜드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작가의 작품엔 수많은 시각 매체와 도시 매체가 출현한다. 그 가운데 현대 상품은 현대인이 갖고 싶어 하는 욕망의 리스트이자 오마주(Hommage)다. 자동차, 보석 등과 같은 고급 사치품에서부터 일상 생활용품에 이르기 까지 현대 상품은 각종 매체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선전한다. 위의 작 품들을 토대로 현대 상품 목록을 뽑은 결과 크게 몇 가지 범주, 즉 영화나 배우 광고, 담배 광고, 양주 광고, 자동차 광고, 일상용품 광고 등으로 나눌 수 있겠다. 본 연구자는 상품 매체 와 공간 매체를 모두 상품 광고의 범주 속에 넣을 수 있다고 보고 다시 이를 도시 경관 광고, 공인 광고, 기호품 광고, 사치품 광고, 일상용품 광고 등으로 분류하여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뮤지컬의 창작과 공연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현대무용을 중심으 로 한 대학교과과정을 위한 효과적인 무용교수법을 연구하여 노래와 연기, 그리고 춤까지 병행해 야하는 학생들을 위해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무용교육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따라 뮤지컬 에서의 연극 및 음악적 관점에서 무용을 우선 살펴보고 현대무용과 발레 테크닉, 라반의 에포트 (Effort)움직임, 머스 커닝햄의 안무특징 중 우연기법을 적용한 사례, 그리고 TES즉흥프로그램 훈 련법을 검토한다. 연구자들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bar)를 이용한 발레의 기본훈련 및 점 프와 스트레칭훈련은 현대무용으로도 뮤지컬을 위한 훈련으로 충족 가능한 부분이다. 둘째, 연극 및 음악적인 측면에서 에쮸드(Etude)를 이용한 안정된 움직임과 목소리 그리고 음정과 리듬감은 현대무용훈련으로 향상 될 수 있다. 셋째, 라반의 시간, 공간, 무게, 흐름의 8가지 에포트(Effort) 훈련을 통해 더욱 섬세하게 신체로 표현 할 수 있다. 넷째, 머스커닝햄 우연기법의 움직임 훈련 사례를 통하여 현대무용의 테크닉과 느낌(표현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다섯째, 현대무용을 기반 으로 TES즉흥프로그램을 이용한 움직임 훈련은 보다 창조적인 캐릭터 형성에 기여한다. 특히 현 대무용을 이용한 교수법은 즉흥과 상상력 그리고 신체접촉으로 무대와의 시공간적인 캐릭터를 적극적으로 창조하고 연기와 움직임, 움직임과 노래의 융합적 훈련을 함으로써 뮤지컬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통합된 예술로 정립 시키는데 효율적인 무용교수법이라고 사료된다.
Chinese often use some pronouns as Exclamatives tone markers, such as "zhe" "Na" "zheme" "name" "Shenme", and they can be noun phrases, adjective and verb phrases constitute a minority of some commonly used exclamation structure, these exclamation structure have different features. The author intends to syntactic structure, semantic features and pragmatic aspects of a preliminary study on them.
The adverb marked exclamatory sentence features: first, if the adverb in the exclamatory sentences, then the sentence is generally exclamation exclamatory center adjectives, state adjectives cannot be used in exclamatory sentence; second, adverb as a marker of exclamatory sentence semantics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speaker's subjective standard, objectivity weak. This kind of Exclamatives objective level is relatively low, the subjective color is very obvious, this type of exclamatory sentence is judged from the speaker's subjective standard, objective understanding and others are not consistent. The characteristics of exclamatory sentences marked by pronoun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Ni" "zhe" and the noun predicate constitute an exclamatory sentence, the way of expressing feelings is negative. General ellipsis. "Ni" "zhe" after the addition of nominal predicate exclamatory sentences can only use the second person pronouns. But behind the plus noun predicate, second person or third person can use; second, "Shenme" "hedeng" "zenme" "Zenyang" "duoshao" interrogative pronouns in exclamatory sentences are used to represent the exclamatory mood, then you no longer have the pronoun itself with the interrogative mood.
본 연구는 현대 성서번역의 핵심적 인물인 유진 나이다와 윌리엄 카메론 타운트의 비교 연구를 통해 현대 성서번역의 중요성을 조사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지를 펴고 있다. 첫째, 교회의 선교 역사에서 하나님은 각 시대별로 촉매적 역할을 하는 인물들을 사용하시며, 둘째, 그들의 선교 방법론은 고정되어 있기 보다는 역동적으로 시대와 상황에 맞게 새로운 형태의 조직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몇 가지 사실은 타운젠트는 성서 번역의 선교학적인 면에 공을 들인 반면에, 나이다는 성서 번역의 학문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들의 성서 번역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들은 식민주의에서 민족주의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하나님의 선교는 그 시대의 상황과 필요에 적합한 창의적인 사고와 새로운 형태의 모임들을 통해 활성화 된다는 것을 이 연구는 말해준다.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emale fashion designs by reviewing the genderless styles in androgynous trends that have loomed large in women's fashion, as well as through analyzing and organizing the changes in women's fashion that were required in a society in which various values coexi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derless concepts, through which a total of 1,273 materials were selected from 10 brands of the S/S collections, during the period of 2006~201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out the juxtaposition of incongruous objects or images and a fixed type of color arrangements, the compromise shown in women's fashion were mostly expressed through various tones and diverse colors, and with the mixed use of heterogeneous patterns and materials. Second, the enjoyment of genderless styles was expressed with the unexpectedness that occur through symmetry/asymmetry and harmony/disharmony, as well as through the deviation from conventional notions regarding clothing structures. Third, the exaggeration expressed in women’s clothing collections perfectly covered up a woman’s body shape with the silhouette of exorbitantly expanded bulk and dimensions. These were done with extended lengths, expanded adornments, and modified clothing design types or structures. Fourth, the sensuality of genderless styles analyzed in women’s fashion was expressed with mannish clothing that accentuates the beauty of the female body. Lastly, the historicity shown in genderless styles was expressed through clothing that represented traditional styles of the past, the symbolic meanings expressed in the clothes’ colors and patterns, and the methods in which the decorative factors were utilized.
This study proposes that Malevich's 1913 performance “Victory Over the Sun” was not just Cubo Futurism, but that it produced Supremat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Victory Over the Sun” did away with traditional set and costume design and a call to the Russian avant gard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et and the costume design in “Victory Over the Sun”, and considers how it impacted twenty-first century fashion designers like Margiel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rgiela re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featured on “Victory Over the Sun” from a cubist perspective and represented geometric spatial structures and mechanical human images through changes in methods and materials. second, he designed costumes by applying to the set and costumes expressed black & white images on “Victory Over the Sun”. and third, Margiela reinterpreted the warrior image using geometric forms and colors in a creative way.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s, including Margiela, express their artistic creativity through various representational and materials choices. They want to convey their subjec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sensibility to the public by mixing and deforming existing arts like painting, sculpture, and crafts to create new images. Thus, the creative intentions of the latest fashion designers have expanded art of costume design, exemplifying the process by which art is evolves and is made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