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 수변공원에 서식하는 생물상 및 생태현황 조사를 통해 수변공원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고, 2)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한 생태교육 및 홍보를 통해 수변공원에 대한 이용 및 비이용객의 생태적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변공원 92개소를 대상으로 생물상 조사를 수행한 결과, 수변공원에서는 멸종위기종 9종(벌매, 붉은배새매, 새호리기, 흰목물 떼새, 삵, 수달, 맹꽁이, 수염풍뎅이, 은줄팔랑나비)을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수변공원은 비록 인간의 이용을 위한 친수적인 성향으로 조성되었지만, 일부 자연성이 높은 지역은 생물서식처로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변공원에 대한 인식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금강유역 내 5개 지역(대전, 세종, 청주, 공주, 부여)에서 이용객 현황을 조사하고, 생태교육 및 홍보를 실시하였다. 총 200명을 대상으로 이용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생태공원에 대한 이용객이 비이용객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연령별로는 40대가 가장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다. 대전이나 청주 등의 지역에서 수변공원의 이용 빈도는 다른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전이나 청주는 도심구간으로 수변공원 외에도 체육시설이나 카페 등의 여가시설이 상대적으로 많아 수변공원에 대한 의존도가 타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용객은 이용대상 수변공원과 실제 거주지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용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객 대부분이 수변공원을 ‘생활체육공간’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도보가 가능한 거리가 아니면 활용 빈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변공원에 대한 인식은 생태교육 및 홍보 후 ‘보전’적인 측면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이용객(80%)이 비이용객(38%)보다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볼 때, 생태교육 및 홍보는 수변공원을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특성이나 제원 등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이용객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1) 수변공원은 비록 친수적인 성향을 가지고 조성되었으나, 일부 지역은 멸종위기종의 서식하는 등 생물서식처로서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2) 이를 볼 때, 수변공원에 대한 인식은 친수적인 성향만이 강조된 부분에서 보전적인 측면으로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추후 수변공원에 대한 관리나 정비계획 수립 시 친수와 보전적인 측면이 공존하는 수변공원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규모 유한요소 모델을 빠르게 해석하기는 위해서 병렬 희소 솔버를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이논문에서는 미세하게 변화하는 시스템 행렬을 대상으로 연속적으로 해를 구해야 하는 문제에서 효율적으로 적용가능한 반복-직접 희소 솔버 조합 기법을 소개한다. 반복-직접 희소 솔버 조합 기법은 병렬 희소 솔버 패키지인 PARDISO에 제안 및 구현된 기법으로 새롭게 행렬값이 갱신된 선형 시스템의 해를 구할 때 이전 선형 시스템에 적용된 직접 희소 솔버의 행렬 분해(factorization) 결과를 Krylov 반복 희소 솔버의 preconditioner로 활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PARDISO에서는 미리 설정된 반복 회수까지 해가 수렴하지 않으면 직접 희소 솔버로 해를 구하며, 이후 이어지는 갱신된 선형 시스템의 해를 구할 때는 최종적으로 사용 된 직법 희소 솔버의 행렬 분해 결과를 preconditioner로 사용한다. 이 연구에서는 첫 번째 Krylov 반복 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동적으로 계산하여 최대 반복 회수를 설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주파수 영역 해석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 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particulate matter removal efficiency of domestic air cleaner products in a field condition. The assessment also included air cleaners with different air removal mechanisms. The particulate matter (PM2.5) removal test with a different air removal mechanism using air cleaners showed that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technique showed better performance compared with HEPA filters and other types of systems. Its removal efficiency was almost 95% in one of our operation times in the given test condition. It was assumed that not only the type of removal system but also the individual design, supply and exhaust system, and the automatically controlled air volume are involved in the removal efficiency. With respect to the area of application, tests with air cleaners for 40 m2, 60 m2, and 80 m2 areas revealed that particulate matter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air cleaner that had a broad area of application. However, particulate matter removal efficiency by air cleaners did not correspondingly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area of application. Moreover, the installation location did not influence particulate matter removal efficiency. Our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and prediction using air cleaners.
주입구멍의 크기와 수관 상태에 따른 약액의 수간주입 속도를 알아보고자 주입구멍의 지름을 5mm와 10mm로 하고 수관을 온전, 절반 제거, 1/4씩 두 곳 제거 등 세 수준으로 구분하여 식용색소 적색3호 수용액을 수간주입하고 일정 시간별로 주입량을 측정하였다. 수간주입 4시간 뒤에 대부분의 느티나무에서 약액이 30% 이상 흡수된 상태였으며, 7시간 후에서는 7그루에서 모든 약액이 흡수된 것을 확인하였다. 48시간 후에는 처리 조건과 방법에 관계없이 한 그루를 제외한 모든 개체에서 주입액이 완전흡수되었다. 주입구멍의 크기나 수관의 상태 등은 수간주입 속도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주간에서 움트는 잔가지의 잎들은 수간주입 후 24시간에 붉은색을 나타내기 시작하였으며, 48시간 후에는 수관의 잎들도 엽육조직이 붉게 변하여 수관도 붉은 색을 보였다. 수관이 변색된 나무의 수도 처리 내용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줄기 단면 관찰에서도 주입구멍의 크기나 수관 상태 간에 적색주입액의 분포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주입구멍의 크기나 수관의 엽량은 수간주입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큰 상처를 남기는 지름 10mm 주입구멍보다는 지름 5mm 주입구멍을 사용 하는 것이 나무의 자가치유를 도와주는 올바른 수간주입법이라고 할 수 있다.
농축산미생물배양실은 농축산미생물을 지자체에서 안전하게 관리하고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현재 전국에 130개소 이상 분포하고 있다. 주로 배양되는 미생물은 고초균, 광합성균, 유산균, 효모균, 질소고정균 등이다. 농축산미생물배양실의 종균관리, 오염등 품질관리에 대한 조사 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 농축산미생물배양실의 질적, 양적 오염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배양실에서는 공기 중에서 높은 농도의 세균(104CFU/m3)과 진균(104CFU/m3)이 검출되어 오염에 취약하였으며, 또한 배양실에서 보유 중인 종균이 다른 균주로 규명되는 경우도 조사 되었다. 효모 종균이 식중독균으로 동정되는 결과도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농축산미생물배양실에서 미생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혼합하여 배양하였으며, 기업으로부터 납품받은 일부 배지에서는 미생물이 생육하지 못하는 현상도 조사 되었다. 또한, 인체병원균으로 분류되는 황색포도상구균, Bacillus cereus 병원성대장균등이 농민들에게 나누어 주는 미생물배양액에서 검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배양 업무 담당자와 농민, 나아가 국민의 건강 을 해치고, 농업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Indirect oxidation using chlorine species oxidizing agents is often effective in wastewater treatment using an electrochemical oxidation process. When chlorine ions are contained in the wastewater, oxidizing agents of various chlorine species are produced during electrolysis. In a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it is also used to treat ballast water by electrolyzing seawater to produce a chlorine species oxidizer. However, ballast water in the brackish zone and some wastewater has a low chlorine ion concent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lorine generation current efficiency at various chlorine concentration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chlorine generating current efficiency of a boron-doped diamond(BDD) electrode and insoluble electrodes are compared with various chloride ion concent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urrent efficiency of the BDD electrode is better than that of the insoluble electrodes. The chlorine generation current efficiency is better in the order of BDD, MMO(mixed metal oxide), Ti/RuO2, and Ti/IrO2 electrodes. In particular, when the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is 10 g/L or less, the current efficiency of the BDD electrode is excellent.
Molding is the root industry of the manufacturing as a means to mass-produce developed prototypes. Molds are typically divided into injection molds and press mold industries. Injection molds produce the products by injection of molten plastic into a mold, and press molds are molded and bended plate. The ejection system, such as eject pins, is used to separate the manufactured products from the mold, which involves a number of hole operations. Location, diameter and depth of holes are often tabulated and managed collectively when designing 2D drawings. The design efficiency was realized by applying CATIA Automation to the 3D model and bringing in the data of the holes in the Excel data.
The odor substances generated in a feed manufactory operating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nimal-vegetable materials were analyzed and the odor reduction efficiency by a chemical scrubber was evaluated. The major causative substances in the feed manufactory comprised about 45.4% of ketone compounds and about 13.3% of aldehyde compounds. On the other han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diacetyl and acetoin as ketone compounds were 77.3% and 78.1%, respectively, by a chemical scrubber. Additionall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acetaldehyde, butyraldehyde, valeraldehyde, 2-furancarboxaldehyde, and nonanal were 86.0%, 78.9%, 67.4%, 52.8%, and 71.9%, respectively. These rates were higher than the odor generation substance contribution rate as a result of treating the exhaust gas generated from the feed manufactory by the chemical scrubber using 5% of C3. It was also found that xylene, methylcyclopentane, benzene, ethylbenzene, 1,3,5-trimethylbenzene, and decane were almost not removed.
Modern investment theory has empirically proved that stock returns can be explain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market risk, firm size, and book-to-market ratio. Other unknown factors affecting stock returns are also believed to still exist yet to be found. We believe that one of such factors i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firms in transforming inputs to outputs, considering the fact that operations is a fundamental and primary function of any type of businesses. To support this belief, this study intends to empirically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efficiency and stock price performance. Firm efficiency is measured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ith inputs and outputs obtained from financial statements. We employ cross-efficiency evaluation to enhanc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DEA with a secondary objective function of aggressive formulation. Using the CAPM-based performance regression model, we test the performance of equally weighted portfolios of different sizes selected based upon DEA cross-efficiency scores along with a buy & hold trading strategy. For the empirical test, we collect financial data of domestic firms listed in KOSPI over the period of 2000~2016 from well-known financial databases.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porfolios with highly efficient firms included outperform the benchmark market portfolio after controlling for the market risk, which indicates that firm efficiency plays a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stock retu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