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6

        201.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rt Deco, a style of luxury, opulence and modernity in the 20th century, was popular from 1909 to 1930s.The definition of Art Deco tends to be either over simplistic or bafflingly complex (Hillier &Escritt, 1997) because Art Deco covers such a wide range of design.Consequently, it creates some confusion in regard to the history of art, industrial design and fashion because this era was a transition period between handcraft-work and machine-work.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a complex definition of Art Deco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Art Deco style that were shown in Chanel designs which reflected the suitable imagery of machine age and Paul Poiret designs which had both modern imagery and simplified traditional ornamental characteristics. Chanel designs have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sample of modernism fashion(De La Haye & Tobin, 1994). However, Chanel applied the principles of Art Deco style as well as modernism because the golden age of Art Deco overlapped with modernism. Yet, Chanel designs have never been studied from the view point of Art Deco style. Meanwhile, Paul Poiret was well known as the first designer who translated the spirit of the modern times into revolutionary garments. His interest in the simplicity of traditional garments led him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Art Deco fashion(Lussier, 2003).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oretical studies abou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rt Deco period, characteristics of Art Deco fashion and Poiret & Chanel design analysis were preceded. Art Deco wa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Orientalism, Ballets Russes, Fauvism, Cubism, Futurism Constructivism, Purism, Bauhaus and De Stijl(Robinson & Ormiston, 2008). The characteristics of Art Decostyle can be summarized as simplified shapes &silhouettes, bold, strong& practical colours, motives and patterns of simplified forms of nature& geometric forms, various details& trimmings, and flashy& artificial jewelries(Cho & Park, 1991; Klein, McClelland, & Haslam, 1986; Lussier, 2003).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Poiret and Chanel designs were examined by five elements; silhouette, colour, pattern & motif, decoration and jewel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ces in silhouette: narrow-long shapes with high waists and streamline silhouettes by hobble skirts were mostly shown in Poiret designs while straight box and tubular silhouettes with law waists were mostly used in Chanel designs. 2. Differences in colour: strong& rich colours, glittering metallic colours and sharp colour contrast were shown frequently in Poiret designs, while black and neutral colours such as brown, beige were often used in Chanel designs. Poiret’s clothings introduced a riot of bold colours into fashion and Chanel made the black as a popular working outfit colour. 3. Differences in pattern & motif: simplified motives and patterns adapted from nature were used more than geometric patterns in Poiret designs while geometric patterns made with various lines and shapes were mostly used in Chanel designs. 4. Differences in decoration: Poiret still used various details and trimmings such as decorating gems, furs, tassels, flounces, frill, drapes, beads and embroidery which made costumes luxurious and exclusive. However, Chanel tried not to use any decorations which are at risk for transforming straight silhouette to curvy silhouette, but she decorated surface of the clothing by tucks, pleats, beads, fringes, embroideries, frills, pockets and ribbons of various sizes. 5. Differences in jewelries: precious genuine jewelries and were used to make Poiret's garments look more gorgeous, while Chanel created artificial jewelry to decorate simple and straight clot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can be made by adapting different design elements under the same style. Both Chanel and Poiret applied principles of Art Deco style but they created quite different fashion designs because one tried more of modernistic approach and the other still made frequent use of traditional decorative characteristics.
        202.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arly 70% of the Swiss luxury watch market is represented by major groups, bringing together worldwide well-known brands. In order to stand out from concurrence and to get a place in this highly competitive market of reference, independent (often unknown) companies have to find other vectors of marketing differentiation.
        4,000원
        20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consumers’ awareness, preference levels, and effect expectations in relation to fashion art marke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uch marketing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and art in fashion products, called product collaboration; sponsorship for art foundation; artist sponsorship; collaboration for the design of a space/store/display; ad/promotional film collabora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nsumers’ attitudes toward fashion art marketing with respect to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342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45.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s’ awareness and effect expectations in relation to fashion art marke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fashion art marketing activities. While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ference levels according to the type of fashion art marketing, all the types of art marketing showed overall high levels of preference. The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and art in fashion products, which had the highest awareness, also showed the highest expected effect. In all the types of fashion art marketing, consumers’ attitud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cases of sponsorship for an art foundation, artist sponsorship, collaboration for the design of a space/store/display, and ad/promotional films, consumers’ effect expectations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followed by preference and awareness level.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provide appropriate proposals to fashion brands when they plan to set up an art marketing strategy.
        4,800원
        20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청대 왕부지(王夫之)의 문집을 바탕으로 하여 그의 예술론을 구성하기 위하여 시도되는 두 번째 논의로, 왕부지의 문집을 통해 정감의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할 것이다. 이는 실제적으로 왕부지 이전의 문학예술창작상의 문제가 야기하고 있는 진정성의 맥락을 결여한 형식적이기만한 정감에 대한 논의와 양명 좌파인 이지의 정감의 지나친 관념화의 양상이 야기하고 있는 문제들에 관한 논의이다, 송대와 명대에 드러난 정감의 두 양상을 반성하며 왕부지가 제시하고 있는 정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것이 도덕과 정감의 조율을 통한 인간적 가치의 회복이라는 측면에 대한 왕부지의 고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율이 모두 경물(景)과의 연관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즉 경물에 대한 직접 경험을 통한 작가 자신의 고유성의 발로와 다양한 일(事)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 예술적 세련화와 형상화에 관한 논의로 드러나고 있다.
        6,100원
        20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 프랑스에서 새로운 예술운동이 태동하던 1980년대에 활동했던 한국의 두렁과 프랑스의 아르 크로쉬는 예술의 발생과 소통의 장소가 기존의 예술제도와는 다른 점을 보여준다. 이 상이한 지점이 새로운 예술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그것들은 2000년대 이후 양국의 제도예술현장에서도 더러 발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예술 그 자체를 고정된 형식과 내용을 바라보지 않고 그 범주와 존재방식에 대해 문제제기했던 두 집단의 노력은 후대의 예술가들에게 예술개념 자체에 대한 도전적 질문으로서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80년대 한국과 유럽에서 대두된 새로운 예술운동이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예술현장과 어떠한 연관성을 맺고 있는 가를 한국의 ‘두렁’, 프랑스의 예술스쾃 ‘아르 크로쉬’를 비교분석하면서,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오아시스프로젝트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예술 그 자체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했었던 양국의 예술가들에 의한 운동이 현재는 어떠한 모습으로 예술계와 사회에 현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노정이 될 것이다.
        7,000원
        20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plored the effects of mandala art therapy game for attention deficit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day care center for children. We found 17 ADD children through questionnaire DSM-Ⅳ. For 2 Months, from 1st of April to 20th of May, experiments of art therapy program and Mandala art therapy games were carried out twice a week. After analysis of experimental results, Mandala art therapy game is effective for ADD children.
        4,000원
        20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의 부대행사로 열린 《세계현대미술제》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의 맥락을 살펴본다. 1980년대 국제전시의 확산과 함께 대두된 《세계현대미술제》는 냉전시대의 이념갈등에도 불구하고 문화 교류와 소통의 공간 창출을 목표로 했으나 한국 미술계의 이념적 차이가 노출되면서 여러 진영간 대립의 궁극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갈등은 한국이라는 특수한 지형에서 ‘세계’를 인지하고 ‘세계 문화’ 속으로 편입되는 과정이 서구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전개과정과 다르게 1945년 이전 식민지 시대의 불편한 과거, 역사적 트라우마와의 타협과 화해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으며, 개인적, 집단적인 차원에서 내부/외부, 피식민지/식민주의, 지역성/세계성, 추상/구상, 전통/현대 등 20세기 구축된 여러 대립구도가 작용했기 때문임을 밝힌다.
        8,000원
        208.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과 일본은 지리적인 위치로 인하여 예로부터 문화의 교 류가 빈번하였다. 그 중 옻칠예술은 현재 전해지는 역사자료를 통하여 일본이 중국의 영향을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양국은 당대부터 본격적인 교류를 하였으며, 미술품의 종류와 재료의 쓰임면에서 양국은 밀접한 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영향은 일본 옻칠예술의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일본 옻칠예술의 고유 양식인 ‘시 회’는 중국 한대이후 발달된 금을 이용한 기법을 토대로 발달 된 일본의 대표적인 장르인데 일본 무로마찌시대 이후, 그 정 교함이 최고조에 달할 때 중국의 옻칠장인들은 일본에 건너가 이를 학습하였고, 본국으로 돌아와 명청시대 발달된 금을 이용 한 많은 칠기들에 응용 하였다. 이는 중ㆍ일 양국간의 상호 영 향으로 옻칠예술의 발달관계를 알 수 있는 좋은 예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발달관계를 문헌과 유물을 통하여 밝 히었다.
        6,100원
        20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9년 USC 게임개발연구소(Game Innovation Lab)와의 협업을 통하여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패드와 함께 3D 1인칭 게임으로 선보인 빌 비올라의 <밤의 여행>을 인간의 존재론적 깨달음을 향한 수행 텍스트로 상론한다. 이를 위하여 작가가 기존 매체와의 지속적인 변증법적 관계에서 자신의 예술적 내러티브를 가상공간으로 연장하여 구축한 실시간 ‘탐사 가능한 비디오 아트’를 원형적 공간과 지각적 시간, 반성적 수행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비올라의 <밤의 여행>을 주체에게 로고스의 빛으로부터 해방된 무의식의 어둠 가운데 자기 자신의 지각을 수행하는 작품으로 조명하였다.
        8,600원
        21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디지털 시대의 참여 미술에서 달라진 매체, 주체, 소통의 조건을 분석한다. 1990년대 이후의 미술은 관계 미학과 사회적 작업으로 특징지어진다. 미술은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 사회 문제에 대한 개입과 참여를 유도하는 보다 민주적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21세기 들어 디지털 미디어가 미술의 영역에서 더 큰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미술작품이 관객들과 맺는 관계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디지털 시대에 참여 미술을 둘러싼 변화와 조건들을 살펴본다. 20세기 초 역사적 아방가르드 이래로 참여미술은 장소와 의미화의 문제에 개입해 왔다. 21세기 디지털화된 미디어 환경으로 매체특정성의 개념이 해체된 이후 제시된 포스트미디엄 조건이 전환을 보인다. 다시 말해, 다양한 미디어를 디지털로 재매개하여 다층적인 감각 경험과 소통을 야기한다. 그 결과 참여 미술이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의 미학을 포함하게 되었다.
        7,700원
        21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공공예술이 도시문화에 끼치는 영향과 역할은 점점 두 드러지고 있다. 도시의 건설과 발전에 대한 역사적 발자취에서 보면, 공공예술은 총체적이며 부분적이고, 체계적이면서도 요소 적이고, 사회과학적이면서 인문과학적이다. 본 논문은 “시스템 이론”의 특징을 “공공예술 시스템이론”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으로서, 도시가 현대화 되는 과정에 서 공공예술의 형태를 통하여 도시의 모습과 내용을 설명하고, 객관적인 “시스템 이론”의 특징을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일반시스템론”의 창시자인 Ludwig Von Bertalanffy (미국 국 적의 오스트리아 출신)이론의 장점(전체성, 관련성, 동태성, 시 서성, 목적성)을 도시공공예술 영역에 대입하여 본 논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초로 하였다. 시스템 이론의 특징을 응용한 취지는, 공공예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외 도시 건설 중에 건축과 공공시 설에 속하는 공공예술을 분석을 해보면 방대하고 복잡한 도시 시스템은 크게 두 부분으로 귀납 되었다 하나는 ‘건축 시스템’ 이고, 다른 하나는 ‘공공예술 시스템’이다. 건축물을 제외한 공공시설은, 예술의 개발과 창작 행위를 통 해 이루어지며 이는 공공예술 시스템 중의 일부분이다. “도시건설순환시스템”의 생태환경, 인조환경, 인문환경 및 정 서환경을 “도시건설공공예술시스템이론”에 응용하여 더욱 전면 적이고 더욱 완전하게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도시 건설이 되고 자 한다.
        5,200원
        214.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affin kinds of organic PCM has generally been used concerning for instability of phase change and corrosion of materials in concrete containing PCM. Even though paraffin kinds of organic PCM have various kinds and rule considering mix proportions. This study shows a review of paraffin kinds of organic PCM about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 to PCM materials and mix proportions. The paper will help to get the basis of information considering compressive reduction ratio.
        3,000원
        21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자는 자신의 작업을 중심으로 수학과 미술의 연결고리, 즉 정상분배의 수행성을 탐구하는 수단으로서 수학적 모델의 원리를 고찰한다. 본 논문은 자신의 작업과 제작과정 에 대한 기술과 작업과 제작과정 모두에 작용하는 수학적 측면에 대한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의 부분은 작가 자신과 가상의 질의자 간의 문답 형식으로 제시되고, 작가의 동기와 수학이 작업과정에 작용하는 상이한 면들을 포괄하여 진행된다. 행위자 연결망 이론가인 미셀 칼론의 이론에 따라 제작과정은 ‘번역’의 연쇄망으로 기술될 것이며, 예술작품이 점점 수학적 공식의 대변인이 되지만 결국 전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분석 부분은 수학을 사용하는 작가들의 간략한 토론으로 마무리된다.
        5,500원
        21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가 정보를 수집하고, 서로 상호작용하고, 우리의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방식은 점점 현재 인터넷상의 많은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개인전용화 알고리듬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개인전용화 알고리듬은 우리 자신의 관심사를 우리에게 공급해 줌으로서 각각의 개인에게 가장 연관되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것이 개인전용화 알고리듬이 가진 문제이다. 이것이 만드는 피드백 루프는 개인의 정체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도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은 톰슨 앤 크레이그헤드(Thomson & Craighead), 라파엘 로자노-헤머(Rafael Lozano-Hemmer), 마닉스 드 나이스(Marnix de Nijs), 다니엘 로진(Daniel Rozin) 의 예술작품을 살펴보고 알고리듬 피드백 루프가 개인적, 집단적 행동, 자아에 대한 이미지와 세계관, 그리고 집단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순환적인 과정의 구조와 특성을 재구성함으로써 개발될 수 대안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5,500원
        21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술사에서 소위 이성적인 예술이라 일컬어지는 솔 르윗의 작품은 수학에 연관되어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역사적 정황은 모호하다. 즉 르윗은 1960년대 초 이래 수학에 의거하여 기하학적 외견을 보이는 작품을 제작하면서도, 동시에 수학의 중요성에 반론을 제기한다. 이 논문은 솔 르윗의 작품 <벽면구성(Wall Structure)> (1963), <연속작업 #1 (Serial Project #1) (ABCD)> (1966), <미완 입방체의 모든 변형체 (All Variations of Incomplete Cubes)> (1974) 를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미술사적인 담론을 재구성함으로써 그가 “예술적-수학적” 작업을 변경한 방식을 고찰한다. 그리고 그 작품에서 보여지는 수학적인 내용, 특히 그가 사용한 법칙이 어떻게 차별화되며 작가의 의도에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살펴본다. 따라서 이 논문은 자신의 작품이 수학적이고 이성적인 작품이라고 이해되는 것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르윗이 예술과 수학 간의 상호관계를 규정하는 것을 고찰하고자 한다.
        6,100원
        21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미술비평계가 2000년대 이후 끊임없이 반성과 성찰을 요구하는 ‘미술비평의 위기’의 실상을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우리 사회 일각에서도 미술비평 무용론이 60년대 이후 간간히 있어왔지만, 미술비평의 위기가 문제의식으로 전면적으로 부각된 것은 2005년 한국미술평론가협회가 『미술평단』에서 비평의 위기를 그 해의 특집으로 다루면서 부터이다. 『미술평단』의 많은 논문들은 미술비평 위기의 원인을 큐레이터의 영역확장에서 찾았다. 본 논문은 『미술평단』의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미술비평이 무엇이며, 미술비평의 위기가 무엇인지 과연 그러한 현상이란 있는 것인지 되물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기실 미술비평 위기에 관한 이러한 논의의 대부분은 미술비평 자체의 위기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미술비평가’의 위기에 관한 것들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사회가 비평의 위기를 이해하는 방식을 비평해 봄으로써 비평의 영역과 역할 그리고 비평 본연의 가치를 재고해 보고자 한다.
        6,600원
        21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 건축과 조각에 남겨진 색상에 관한 역사를 다루고, 고대 채색 전통에 관한 연구에서 도출된 최근의 고고학적, 미술사학적 결과를 조명하고 그 미술사적 의의를 다루고자 한다. 고대 조형물에서 채색은 사실적인 표현을 구현하고 입체감을 강화해 조형물의 가시성을 높여 관람자에게 편의를 도모하도록 기능했다. 지난 몇 세기 간 백색의 그리스와 로마의 조형물은 서유럽의 문화적 우월성의 상징이자, 고전미의 정수로 간주되어 왔었다. 하지만, 이제 고전 미술의 채색 연구는 이러한 패러다임에 도전하고 있다. 이 도전은 국내 연구자들에게 유럽적 미술사관의 한계를 넘어서 고전 미술을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100원
        220.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 K구 D중학교 상담실에서 학교부적응 청 소년과 개별미술치료 12회기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 감 및 문제해결 대 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를 통하여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향상 되었는가? 둘째, 미술치료를 통하여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해결 대처능력이 향상 되었는가? 연구기간은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로 매회기 1시간30분 씩 매주 1회 총 12회기 에 걸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 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측정을 위해 Coopersmith (1987)와 Pope, Mchale과 Chaighead(1988)등의 문항을 최보 가와 전귀연(1993)이 재구성하여 만든 자아존중감 척도를 권 영미(1999)가 수정, 보완한 자아존중감 척도와 Caver등 (1989)이 개발한 다차원 척도인 COPE를 연구목적에 맞게 일 부 수정한 청소년 문제해결 대처기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KHTP. KFD. KSD 그림 투사를 사전사후 진행하여 대상자의 행동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미술 치료를 통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으 며, 문제해결 대처능력이 증진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해결능력 증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1,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