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63

        48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existing urban system centered on urban areas began to change, the biggest factors causing urban structural changes in urban areas are construction of railroad and urban dismantling. The change process of Eupseong, in the microscopic viewpoint,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change in the course of dismantlement of town's demarcation,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and urban expans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process of urban expansion following the crumbling boundaries and structural changes. This study aimed to look a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Eupseong in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demolition of the castle and the railway construction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of city.
        4,000원
        483.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rmer administration office building of Kyeong-seong-bu(京城府) was a building converted from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s of Kyeong-seong(京城理事廳) which was originally built as the Japanese consulate in J oseon(日本領事館). It was too worn and too small as a Kyeong-seong-bu administration office even with several annexes. Kyeong-seong-bu tried to build a new big administration office building at the vacant north side of the same site, which was closely faced to the rotary in front of the Bank of J oseon(朝鮮銀行前廣場). But this trial was ended in vain due to insufficient budget. Therefore Kyeong-seong-bu built a new administration office building in another site and moved to it in 1926 with debts. For paying for the debts Kyeong-seong-bu sold the former site after partitioning with new roads through it. As a result the nature of the former site and its surroundings was changed. This study traces the changes and inquires how the authorities in the colonial J oseon and various commercial powers of Kyeong-seong-bu behaved for their own interests in the meantime. It makes use of the historical records and documentary literatures between early 1910s and early 1930s.
        4,300원
        49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긴노린재류(Nysius species)는 세계에 널리 퍼져 있는 해충으로 기주범위는 매우 넓으며 특히 국화과의 주요해충으 로 알려져 있다. 최근 종실 들깨에서 피해가 보고되고 있으며, 들깨를 수확할 때 종실과 같이 다량의 애긴노린재류가 함께 혼입되어 그 발생밀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애긴노린재류가 들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들깨 종실의 무게변화와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건전한 들깨(들샘) 종실에 애긴노린재류 성충 0, 5, 10, 15, 20, 25마리를 인위적으로 접종하여 3일과 5일 후 들깨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접종한 노린재 밀도가 5, 10, 15, 20, 25마리로 높아질수록 0마리일 때 보다 들깨 무게가 3일 접종 시에는 각각 2.6, 5.5, 9.0, 10.5, 11.0% 감소하였고, 5일 접종 시에는 각각 2.9, 9.9, 12.0, 17.6, 18.1% 감소하였다. 애긴노린재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종실의 무게가 감소폭은 컸으며, 3일 접종 때보다 5일 접종 때가 들깨의 무게는 더욱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들깨무게가 감소함에 따라 발아율도 함께 떨어졌다. 노린재 흡즙에 의한 피해로 들깨 종실의 무게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들깨의 발아율이 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49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atistical modeling to predict community change for large geographical scale is difficult when community responses to similar climate changes differ among region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solution for this problem by predicting species responses to local environment. Our model for predicting community change consisted of species response models to local environmet parameters, in which the estimated abundance of each species was used to reconstruct the community composition. Our method was verified by data from continuous surveys at Hyangrobong, Odaessan and Taebaeksan in Gangwon-do, in which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und beetle community at each site were continuously recorded. We show our method performes better than an ordinary model that predicts directly a change in the community.
        49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espa velutina is a predatory hornet distributing in SouthEastern part of Asia and became invasive in early 2000s; invading into Korea in 2003 and France in 2004. Its distribution pattern showed typical species-invasion curve type with slow progress in the beginning and rapid expansion on ward. We determined the geographic spread of V. velutina with CLIMEX modeling. The model analysis indicates that the ecoclimatic indices (EI) increased as the projection year increased based on RCP8.5 scenario. Then the predicted EI values were further regressed with the field collected data from 2018. Vespa velutina population sizes were estimated from 230 points of sampling over the country and the sampling data were correlated with predicted EI valu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al contribution of the climate factors for its abundance. Also this could be an usual biological indicator of climate change in agroecosystem in Korea. Given the important risk and impact on beekeeping, socio-biological as well as ecosystem and biodiversity levels, careful monitoring of phenology, range expansion and preventive efforts mitigating the impact are further required.
        497.
        201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descriptive case study of the capacity building program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cooperation achieved by UNITAR Jeju Cifal and GTC(Green Technology Center). The study included the GTC's expertise in climate technology and the UNITAR's collaboration program, an international training body in the environment, peace and security. First,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in 2017 were analyzed. Education deman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was shown to be high, and technology demand needed in developing countrie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demand for ecosystem monitoring/restoration. Second, an analysis of the program for 2018 showed that South Korea's Eco-city project case is also worth referring to Asian Pacific countries. It was also found that exchanges and discussion activities among participants were more helpful than simple lectures. Meanwhile, development of city-share programs, including self-evaluation, was found to be necessary. Finally,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the city-share program in UNITAR. Sharing urban information among peers in this program is beneficial. However, it is necessary to plan programs that have a prior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and background of participants. And it is also important for participants to follow up on their own goals by setting up action plans and checking them after training.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it clear to participants that there is an organic connection at each stage of the program. That way, participants will set up and plan problems in the climate technology sector of their own country or city, and the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will be even greater.
        4,000원
        49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보육 전문가인 기혼보육교사들에게 양성 평등한 사회문화를 기반으 로 제도를 개선하여 다중역할갈등에서 오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더불어, 기혼보육교사의 양육 의 경험을 바탕으로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취업기혼여성들이 자녀양육의 도움자의 역할 로 출산율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 천안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기혼보육교사 247명에게 갈등의 유형과 향후의 아이의 임신과 출산 가능성에 관한 의사 또는 출산에 대한 욕구 및 생각의 정도 및 이직의도를 설문하여 SPSS 20.0 Program을 활용하 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출산의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연령층이 낮고, 자녀가 없는 교사가 출산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다중역할갈등과 이직의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긴장갈등이 출산의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중역할갈등이 심할수록 이직 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보육교사의 다중역할갈등과 출산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중역할갈등 하위 요인중 긴장 갈등이 출산의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보육교사의 다중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중역할갈등 변인들 중에서 긴장 갈등과 행동 갈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혼보육교사의 출산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긴장 갈등을 낮추고, 직장 이직율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더불어 개인적인 힐링 방안 등의 모색이 필요 함을 알 수 있다.
        5,400원
        49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에벤에저 하워드가 주창한 가든시티의 철학을 살피고 그가 설립한 최초의 가든시티인 레치워스의 조성과 경관 변화를 살핀 연구이다. 노동자들이 대도시의 빈곤과 열악한 생활을 벗어나 안정된 환경에서 지역공동체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한 하워드는 도시와 농촌의 결합한 형태로 가든시티라는 이상향을 제시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레치워스 가든시티를 조성했다. 당시로써는 혁신적인 저가 주택, 임대주택의 보급, 우수한 근로 환경, 실용적인 진보 교육이 시행되었다. 레치워스의 유지과정에서 자본의 분배에 따른 갈등, 정부의 개입에 의한 위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주민들이 만든 협동조합이 공동체의 지속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현재의 주거는 교외의 전원주택지 성격이 강해졌고, 산업은 경제활동이 우수하지 않은 편이며 수입이 낮은 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레치워스 가든시티는 자체적으로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최초 가든시티의 정신을 유지하고자 뉴가든시티 운동으로 전개하고 있다. 내일의 도시를 지속해서 만들고자하는 노력은 현재 도시의 자족성에 관한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 도시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4,200원
        50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세계 참깨 교역구조를 살펴보면, 전체 교역량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출국 중 에티오피아, 나이지리아, 부르키나파소, 탄자니아 등 아프리카 국가의 비중이 높아진 반면 중국, 미얀마 등의 비중은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수입국 중 중국이 40% 이상의 수입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면서 주요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전락하였다. 2.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생산량이 감소하여 자급률이 하락하면서 최근 전체 소비량의 8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여전히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 3. 장기적으로 세계 참깨 교역구조가 재편되면서 한국의 참깨 수입선도 다변화되고, 세계 수요 증가로 수입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입 증가로 인해 TRQ 제도의 실효성, 국내 참깨산업의 위기 등의 문제가 동시에 제기될 수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