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52

        1501.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skin temperature over the exercised muscle and corresponding non-exercised muscle after unilateral isokinetic exercise using digital thermography. Thirty-two young healthy volunteers with no history of knee injury were tested. After isokinetic exercise at 60 degree per second angular velocity using the right leg in a climatic chamber at ambient temperature of , skin temperature of the anterior thigh was tested. After exercise, the skin temperature of both the right and left leg had fallen significantly. The skin temperature of the exercised leg fell less than that of the non-exercised leg. The fall in skin temperature after work was not due to increased evaporative cooling, but was the result of segmental vasoconstriction probably caused reflexly in the spinal cord by non-thermal afferents from exercising muscle or moving tissues. The effect of thermoregulatory vasodilation was reduced by reflex vasoconstriction caused by non-thermal factors such as catecholamine.
        4,000원
        1503.
        199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ercise physiology of fish was studied by means of Electro-cardio-gram(ECG) technique with wired electrode system. Effects of swimming activity on the heart rate change for carp Cyprinus carpio was observed and analysed under swimming speeds among 1~3 Body Length/s and swimming durations of 10 and 60 minutes in the flume tank. The heart rate increase during swimming activity was observed in higher speed and longer duration conditions. The exercise effect on the heart rate continued even after fish stopped swimming. The time for recovery after exercise was tended to be elongated with the higher exercise condition
        4,000원
        1512.
        199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입계의 성질을 이용한 PTCR 재료에 입계 modifier로서 Bi2O3와 BN을 첨가하고 입계의 미세구조와 결함농도를 변화시켜 이에 따른 소결 및 전기적 특성변화를 TMA, XRD, 복합 임피던스방법 등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실험 결과 Y이 도우핑된 BaTiO3 PTCR 재료에 Bi2O3를 첨가하였을때 약 0.1mol%까지 고용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Bi2O3를 고용한계 이하로 첨가시에는 생성되는 vacancy등의 결함으로 말미암아 Y-BaTiO3의 치밀화가 촉진되었으나, 그 이상 첨가하면 치밀화 뿐만 아니라 결정립 성장도 억제되었다.Bi2O3 결정립 내부에 Ba와 Ti vacancy가 동시에 생길 수 있어 고온저항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BN은 BaTiO3에 고용이 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B2O/wub/3를 주성분으로한 액상형성으로 인하여 저온에서의 급격한 치밀화가 관찰되었다. 또 Ba-Y-Ti-B-O의 비정질 상이 tripie junction에 존재함으로서 상온저항이 크게 변화하였으며, PTCR jump도 높아졌다.
        4,000원
        1513.
        199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과중한 이용압력과 대기오염 및 산성우에 의한 만성적 피해로 날로 훼손되어 가는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기왕에 조사된 기초자료(박 등, 1987)와 비교하여 천이의 발달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 26군데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식물군집구조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해 TWINSPAN에 의한classification 및 ordination기법중 RA, DCA, CCA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북한산 국립공원은 해발고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각각의 군집은 아까시나무-참나무류군집, 혼효림군집, 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이었다.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해발고 500m이상의 교목상층에서 소나무→신갈나무, 해발고 500m이하 교목상층에서 아까시나무→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졸참나무 순이었으며, 교목하층과 관목층에서는 산초나무, 참싸리나무→개옻나무, 진달래, 철쭉→당단풍 순이었다. 2. 1987년도의 식물군집구조조사와 비교하여 천이가 진행된 자료는 얻을 수 없었고, 인간의 간섭과 대기오염 등에 의해 천이가 진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4,600원
        1514.
        199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래도록 生産性向上曲線(또는 學習曲線), 生産函數, 그리고 代替曲線 등은, 서로 관련이 없는 別個의, 그리고 순전히 經驗的인 (empirical) 現象들인 것들로서 이해 되어 왔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에 발표된 Muth 敎授의 探索理論 (Search Theory)이 생산성향상곡선에서 관찰된 諸般현상들을 모두 설명함으로써 이들 현상 온 하나의 통합이론체계에 의하여 일관되게 설명되게 되었다. 이 理論의 초기형태는 그 普遍性을 구속하는 네가지 假說위에 설립되었었으나 점차적으로 이들 가설들이 완화되면서 (relaxed) 이 理論은 또한 解釋力에서 뿐만 아니라-般性에 있어서도 계속 강화되어 왔다. 본 論文외 目的은, 이들 네가지 가설들 중 유일하게 아직 綬和되지 못하고 있는, 實際 현상과 다분히 遊離된, 두번째 假說, 즉 『생산성향상을 위한 탐색과정에서 새로이 발견된 개량 新技術(또는 생산방식) 온 卽刻的으로 採澤될 것』이라는 가설을 綏和함으로써, 보다 현실에 대한 해석력과 일반성 면에서 개선된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시된 모델은 Muth 교수의 탐색이론모델에 두가지 변수를 더함으로써 擴張하여 만든 모델이다. 이 두 변수는 신기술의 채택(또는 획득)을 위하여 지불하여야 하는 投資費변수와 탐색과정을 통하여 발견은 되었으나 아직 채택은 되지 않은, 留保상태 신기술의 運營費用변수 (또는 收益性변수) 등이다. 이 모델의 內容은, 생산성향상은 신기술이 具現된 (embodied) 裝備 (equipment)를 使用함으로써 실현되며, 따라서 創意的 活動의 利得은 이들 裝備에 대한 投資행위로서 실현된다는 것이다. 이 모델은 보다 나온 신기술이 또 발견될 것이라는 期待下에, 현재 발견된 最新技術을 채택하지 않는 投資遲延현상을 예측·설명해 주며 따라서 이로 인한 技銜的 非效率性의 존재이유를 제시한다. 또한 이 모델은 생산성향상곡선의 初期屈曲현상, 停滯현상, 그리고 跳躍현상 등을 모두 설명해 준다.
        4,900원
        1518.
        199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즈마 아크 용해에 의해 0.31-1.14at%Hf과 0.08-1.00at%C의 조성을 갖는 Mo시편을 제조하여,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를 광학현미경,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및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조사하였다. 산소함량이 약 830ppm인 초기분말을 압분체로 성형하여 용해한 결과, 산소함량 약 40-130ppm의 시편으로 제조할 수 있었으며, 이때 Hf및 C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시편의 결정립은 미세화되었다. Mo-1.14at% Hf-1.00at % C 조성의 시편을 열처리한 결과 1300˚C에서 결정립내의 편상의 β-Mo 탄화물(molybdenum carbide)이 열역학적으로 더욱 안정한 α-Mo 탄화물로 변태되기 시작하고, 1400-1500˚C온도 구간에서는 급내에 의해 고용되어 있던 Hf과 C이 반응하여 미량의 Hf탄화물이 석출되었으며, 1500˚C에서는 결정립계에 Hf 탄화물이 편석되었다. 1500-1700˚C에서는 결정립계에 편석된 Hf탄화물이 분해되고 열역학적으로 더욱 안정한 Hf 산화물(Hafnium oxide)이 석출되었으며, 결정립내에도 미세한 Hf 산화물이 석출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