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in develop stages of forage breeding in China was reviewed. The achievements in forage germplasm collection, preservation and evaluation were briefed. Registration varieties were classified. The improvement of forage breeding methods and techniques were summarized. Finally, make prospects on forage breeding of China.
39 accessions of sickle alfalfa (Medicago falcata L.)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of China were evaluated for their tolerance to drough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accessions in their reactions to drought and 8 good tolerant accessions at populations level and 18 excellent tolerant accessions at individual level were identified based on drought response index (DRI).
Genetic variation within and among 12 populations of whip grass in south China were investigated using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and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High genetic diversity was found in whipgrass by two molecular makers (PPB=86.21%, I=0.357 based on ISSR; PPB=82.21%, I=0.352 based on SRAP). However, there was relatively low genetic diversity at population levels. A high degree of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was detected based on different measures and different molecular markers. We also found that SRAP markers were more efficient than ISSR markers in this species. Based on these findings, sampling strategy was proposed for successfully utilizing the genetic resource of this spec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a degraded steppe in Saibei Adiministrative Region of ZhangJiakou in Hebei province. Four patches dominated by fringed sagebrush (Artemisia frigida), narrowleaf stellera (Stellera chamaejasme), shining speargrass (Achnatherum splendens), white swordflag (Iris lactea), respectively, were sampled. Phosphorus (P) was applied at four levels (0, 5, 10 and 15㎎ ㎏?¹ soil) in each patch. The mycorrhizal infection rate in Stellera chamaejasme species and Achnatherum splendens species was low, differed from other two patches of Artemisia frigid and Iris lactea.
The response mechanism of Leymus chinensis communities to different habitats in the Songnen grassland of China was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ty-level energy accumulation and allocation, by measuring calorific values at every 10 ㎝ above and belowground. Patterns of energy allocation differed in the three habitats: sown, mown, and grazed plots. The energy production of the three habitats was highest in sown plots, followed by mown and grazed plots in declining order. The varying patterns of energy allocation may reflect strategies of long-term adaptation to the varying conditions in the three communities. The results provided evidence t㏊t different habitat conditions, induced by different intensities of anthropogenic influences, have profound impacts on energy accumulation and proportional allocation in L. chinensis communities.
In lowland areas of south-west China, especially in late winter and early spring, animal nutrition is so poor t㏊t some animals die because of shortages of forage. Farmers in these areas are finding it difficult to conserve sufficient forage. It is a big challenge to find a new strategy to solve the problem, so tillage systems and overseeding of a perennial pasture can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winter annual forage production in the future.
중국에 있어서 형벌의 집행은 각 국가기관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형사집행의 다원화로 말미암아 각 기관과의 업무마찰, 업무소홀, 불협화음의 정도가 심하다. 현재의 감옥법으로서는 형사법 전체에서 운행되고 있는 감옥관련 업무를 조화롭게 그리고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 중국에서 감옥법은 형법, 형사소송법과 더불어 형사법체제의 3대 지주(支柱)라고 일컬어 진다. 그러나 현행 중국감옥법은 총칙과 각칙 그리고 부칙 모두 7장 78개 조문에 불과하다. 따라서 입법상 그리고 시행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입법에 있어서는 형법, 형사소송법과 충돌하는 현상, 입법내용의 공백(空白)과 미흡, 규정이 모호하고 명확성이 떨어지는 문제 등이 있다. 법시행 과정중에서는 형벌집행 대상범위가 적은 것, 수형자의 감형‧가석방에 대한 법규 범의 결여, 수감중 사망한 자의 처리문제, 법적 구속력의 미약, 법규정과 실무와의 괴리(乖離)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중국의 형사집행 상황은 공안기관에 상당한 업무와 재량이 주어진 형세를 이룬다. 현재 인민법원은 주로 사형‧ 벌금‧재산몰수에 처한 자들을 다루고 있고, 공안기관은 주로 유예형‧구역‧가석 방 후 나머지 형의 집행‧잠시 감외집행‧외국인에 대한 추방‧정치권리박탈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감옥기관이 마땅히 다루어야 할 본연의 업무를 공안기관이 다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만약 <감옥법>을 <형 사집행법>으로 대체 할 수 있다면 감옥이 주체적으로 감옥관련 업무를 확장시 킬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 때 비로소 형벌집행과 관련된 국가기관과의 갈등과 마찰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며, 형벌집행을 감옥이 자주적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은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정체성 확립과 동질성 회복을 위한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살펴보았다. 중국의 이촌향도 현상으로 조선족들도 도시로 흩어지고 있으며, 점차 민족의 정체성을 상실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흩어져있는 조선족간의 활발한 정보교류를 통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이들 간에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인터넷미디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조선족 사회의 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하여 미디어 활용기반을 조성하고, 나아가서 인터넷을 활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조선족의 인터넷 기반구축과 이용활성화를 위해서는 조선족 자체의 노력이 있어야 하지만 동시에 인터넷이 발전한 한국의 다양한 지원과 제도적 후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The genus Alucita Linnaeus, 1758 belongs to the family Alucitidae, which is well known as the many- or multi-plumed moths. Up to date, 186 species have been recorded from the world (Gielis 2003). In East Asia, the genus Alucita L. has been investigated by various researchers to date: 5 species from Japan (Hashimoto 1984); 3 species from Russian Far East (Ustjuzhanin 1999). Recently Byun (2006) reviewed the Korean Alucitidae with a new species and two new records from Korea. However, it has been poorly known from China, including only one species, Alucita niveodactyla Pagenstechen from Guangdong, southern part of China (Hua 2005).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a new species of the genus Alucita L. from the Northern part of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new species, Alucita baihuashanensis sp. nov.
한국은 냉전기에는 친미일변도 원칙아래 미국을 주요대상으로 외교정책을 수립 추진하였다. 최근에 와서 한국은 탈냉전시대의 분위기에 젖어 한반도의 안보현안을 해결하려는 목적에서 자신의 독자외교보다는 중국에 편승하는 형식에 기대감을 보여 왔다. 강대국을 상대하는 입장에서 약소국의 선택은 자국의 의지만으로는 역부족이다. 한국은 약소국으로서 그간 나름대로의 교훈을 얻었다. 그것은 독자적 안보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외부의 협조 없이는 안보유지가 불가하다는 현실주의 생존논리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 분단 현실을 인정하고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추구하려 노력해 왔으나, 독자적으로는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질서를 실현할 수 없는 현실을 인정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가 절대 절명의 외교과제인 만큼 4강 외교 강화가 불가피하게 제기되었다. 한국은 지정학적 측면에서, 어느 한 국가와만 결정적인 동맹을 맺거나 그에 안주하는 외교행태는 지양해야만 한다. 한국이 특정 국가와만 영원한 동맹관계에 의존한다는 것은 매우 비자주적 선택이다. 한국의 안보외교와 경제발전은 다자주의적 차원에서 그리고 전방위 각도에서 모색하고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자에 와서 한ㆍ미관계의 전면적 재검토를 둘러싼 논쟁과 한ㆍ중관계의 재정립을 주장했던 것 등은 이런 의미에서 하나의 계기가 되고 있다. 중국의 강대국화 여정은 당분간 제어되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열망은 다분히 팽창적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국이 우려해야 할 상황은 강대국을 지향하는 중국이 점차 배타적 민족주의와 신중화사상에 천착하는 현실이다. 많은 국가들이 2008년 북경올림픽 성화 봉송에서 나타난 민족주의 선동에 대하여 우려를 보였던 이유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중국의 강한 민족주의 감정 표출을 경계해야 할 이유는 북한과도 관계가 있다. 만일 중국이 강대국화에 집착하여 정치ㆍ군사적 영향력을 극대화하려는 유혹에 끊임없이 빠져든다면 이는 필연코 북한을 자극할 소지가 매우 크다. 이는 북한의 핵 위주의 선군정치세력을 고무해 주는 현실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사태로의 진전은 한국 안보에 중요한 위기 국면을 조성하게 된다. 그러나 다행히 최근의 중국이 기존 국제질서에 대한 도전자로서의 이미지를 벗어던지고 국제질서의 옹호자로서의 변모를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현실이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전략적 협력외교가 작동되어 영향을 줄 수 있는 범위가 그 만큼 확대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현재 완전한 현상유지국도 아니고, 현상타파세력도 아니다. 한국은 외교적 대응에 있어 중국이 기본적으로 적대적이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일종의 유화정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중국의 외교적 지향이 다소 불확실성을 띠고 있으므로 명분과 실리가 없는 견제보다는 편승과 유화가 양국 관계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은 중·북 간의 이해상충을 예의주시하고 활용해야 한다.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북한 핵 위기를 극복하여 안보를 확립하고, 중국과 동반 번영하는 기회를 공유하는데 필요한 ‘중국기회론’에 편승하여 경제실리를 도모해 나가는 양방정책도 재고해야 한다. 대중 우호협력관계를 효과적으로 유지해 나가는 데 있어 전략적 협력관계의 확대와 외교현안의 성실한 추진은 한반도의 미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남북한 평화정착과 평화통일의 초석을 자체적으로 마련하는데 있어 필히 요청되는 외교과제이기도 하다.
본 문에서는 중국의 1956년 최초로 자연보호구 설치이후 자연보호구사업의 변화과정, IUCN과 중국의 자연보호구 정의를 비교한 토대 위에서 중국의 자연보호구 지정 목적과 의의를 설명하고 자연보호구의 현황을 소 하였다. 또한 중국의 50여년간의 자연보존과 자연보호구사업 변화과정에서 자연보호구사업과 연관성이 있는 법률과 규정의 제정 과정을 분석하고 자연보존과 자연보호구사업에서 이러한 여러가지 법률과 법규의 역할을 검토하였 며 이를 토대로 중국에서 자연보존 및 자연보호구사업 추진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전반적인 자연보호구 지정과 설치 련 절차 및 자연보호구의 3개 종류, 9가지 유형에 대한 분류체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중국 실정에 부합되는 자 보호구 관리체제 와 특성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자연보호구 중장기사업계획을 소개하고 현재 중 의 자연보호구 관리사업과정에서 존재하는 문제점과 향후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해결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은 매년 봄철 중국의 서부지역 및 몽골로부터 불어오는 황사 피해를 받고 있다. 황사발생은 현재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멀리 아메리카 대륙에 이르기까지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중국의 서부지역은 장기간의 기후변화와 인간의 훼손행위로 인해 사막화가 급격히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국을 비롯한 각국은 식물식재를 통한 사막의 생태적인 복원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막의 생태적인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중국 서북부의 대표적인 건조지인 빠이청(白城)지역의 식생을 조사하였다. 건조지에 1차적으로 침입한 강아지풀은 건조에 따른 토양의 염분농도 상승과 알칼리화와 더불어 Artemisia mongolica-강아지풀군락을 비롯하여 강아지풀-Cannabis sativa var. fruderalis 군락으로 천이하였다. 환경조건의 지속적인 악화와 더불어 강한 바람에 의한 증발량 상승으로 건조가 극심한 평지에서는 최종적으로 Artemisia mongolica 군락이 일부 잔존하였다. 시간변화에 따라 간헐적인 그늘이 생길 수 있는 구릉지는 상대적으로 공중습도가 확보될 수 있어 다른 유형의 식생이 나타났다. 조사대상지의 전 지역에 흔히 분포하는 남가새군락은 토양환경 악화와 더불어 남가새-Cleisrogenes squarrosa 군락으로 천이하였고 낮은 구릉지 지형조건에서 환경악화와 더불어 건조와 토양염분 및 강알칼 토양에 강한 Cleisrogenes squarrosa 군락이 최종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본 조사지 일대에서 건조에 강한 27과 49속 58종 4변종의 총 62분류군의 고등식물이 나타났다. 이 가운데 환경내성이 뛰어난 국화과식물이 27.4%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중국은 감옥 수감자가 해마다 늘어나 기존의 시설내 처우로는 감당하기 어렵게 되었다. 1990년대부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내 처우에 관한 관심이 많아졌고, 2002년에는 북경과 상해에 시범지역을 지정하여 지역사회교정(Community Correction)을 실시하였다. 그 후 점차 시범지역을 확대하였고, 기대했던 성과가 나타났다. 2006년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관대함과 엄격함이 서로 보완되는(寬嚴相濟) 형사사법정책을 실시하여 적극적으로 지역사회교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2007년에는 전국 24개 성ㆍ시에, 그리고 2008년에는 25개 성ㆍ시에 지역사회교정을 실시하여 비감금형 교정이 정착되어가고 있다. 중국은 지역사회교정을 실시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들어났다. 근거법 제정이 미흡하고, 각 관련기관과의 업무분담이 명확하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일선 실무자가 많이 부족하고 전문성도 미흡한 실정이다. 지역 사회교정 대상범위가 적은 편이다. 예산도 적어 실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련법제의 정비가 급하다. 관제형, 유예형, 가석방 등의 적용율을 높여 지역사회 교정 대상자를 확대하여야 한다. 각 관련기관의 업무범위를 명확히 정해 일사분란한 협력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실무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부단한 연수교육이 이루어지고, 지역사회 실정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향후 중국은 관련법을 제정하여 보다 완비된 지역사회교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비단가리비 치패의 수온(24, 27, 30℃)과 염분(24, 27, 30%o)에 따른 먹이 섭취 활동(여수율과 소화율)및 체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수온과 염분 변화에 의하여 일간 먹이량, 여수율, 소화율 및 체성분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과 염분에 따른 비단가리비의 여수율과 소화율은 수온 24℃의 30%o실험구에서 각각 8.88 L h-1 g-1과 25.42×107
중국 학계에서도 포은은 한국의 주자학 연구 과정에서 비껴갈 수 없는 학문적 대상으로 일정한 무게를 가지고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일차적인 자료의 부족 등 객관적인 연구 여건으로 말미암아 연구과정의 논리적 비약 역시 문제로 되고 있다. 포은의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四書, 五經, 程朱學은 물론 비교문학 등의 정밀한 지식과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그의 시, 문등의 텍스트를 읽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