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5

        61.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창조 경제와 공유경제의 패러다임이 국가경제의 혁신 및 발전의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식재산의 관점에서 창조경제는, 이미 인류가 축적해 온 유 ⋅무형의 자원에 터잡아 새로운 진보성과 창작성 을 부여함으로써 실현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 유경제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창조경제와 공유경제가 선순환 구조를 이루면서 지식재산의 창출을 장려하기 위 한 방안으로서, 지식재산권의 보유자들이 배타적 으로 보유하고 있는 그 지식재산을 라이선싱 하여 새로운 지식재산 창조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공유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근대민법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적 기초 인 계약자유의 원칙을 고려할 때 지식재산권 보유 자에게 위와 같은 공익을 강조하면서 지식재산의 라이선싱을 강제하는 것은, 오히려 경제혁신의 유 인을 저하시키는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과 EU에서는 경쟁법과 지식재산권 관련법률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적용 하면서 지식재산권의 라이선싱에 관한 쟁점들을 규율해 왔다. 기본적으로 대륙법계 전통을 계수하 였으면서도 저작권법에서는 미국의 입법을 일부 반영한 우리나라에서 저작물의 라이선싱을 규율 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관하여 위 미국 및 EU와 비교하여 살펴본다. 또한 경쟁법과 저작권법은 각각 저작권에 대한 외부적인 제한과 내재적인 제한으로서도 의미가 있는 바, 각 법률에 고유한 법리들이 저작물의 라 이선싱을 규율함에 있어서 적용되는 방식을 살펴 봄으로써, 창조경제와 공유경제가 균형있게 발전 할 수 있는 개괄적인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4,900원
        6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월동기간 동안 월동조류의 생리 및 영양학적 상태는 이후 번식지로의 이동성공과 번식성공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환경적 요인들이 월동기간 동안 어떻게 몸 상태에 영향을 주어 장기적으로 이동과 번식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월동기간 동안 온도변화와 월동지에서의 인간 활동에 따른 방해가 개체수준에서의 월동하는 조류의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과 번식지로의 이동 및 잠재적 번식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적상태의존 월동 생활사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에 사용된 지수는 월동개체군에 대한 연구가 잘 수행되어 있는 철원의 두루미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델은 온도 변화나 인간의 방해요인의 영향이 생존과 번식지로의 이동을 위한 에너지 축적 그리고 누적된 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한 자원 분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특히 월동지에 도래한 두루미 몸무게의 회복률은 기온변화가 적고 방해요인의 영향이 낮을수록 빨랐으며, 체내의 누적 스트레스는 기온변화가 크고 방해요인의 영향이 높을수록 회복속도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월동지의 취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의 밀도가 높을수록 두루미의 몸무게 회복률이 낮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끝으로 모델의 예측된 결과를 통해 월동지에서의 월동조류 보전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4,300원
        6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arroa destructor and Tropilaelaps mercedesae mites are ectoparasitic to honey bee having similar life cycle and damage symptoms. Both invade into the last instar larval cell and reproduce during capped brood period of honey bee development. Female adult mites escape from the comb cell on the back of the emerging adult bee (phoretic period) and invade another cell for reproductio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 of competitive interaction on each parasitic mite species population. We assessed population monitoring of host and parasitic mites. Honey bee population was monitored by approximating sealed brood and adult bees based on the coverage of the combs. Parasitic mites were monitored by detection technique like sugar shake, stick board, and sealed brood. This monitoring continued at weekly interval during 2008, 2014, and 2015. Additionally Invasion distribution of each species was checked. We calculated carrying capacity, population growth rate, and competition parameter from population monitoring data. Single parasitic mite, Varroa occurred and infestation increas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year in 2008. Co-occurrence of Varroa and Tropilaelaps in honey bee colonies was studied in 2014 and 2015. Carrying capacity was higher in single parasite infesting honeybee than parasites in co-occurrence. While using sugar method, carrying capacity of Varroa alone was found higher than in its co-occurrence with Tropilaelaps. Population growth rate of Varroa when tested alone was higher than its co-occurrence with Tropilaelaps in sugar method. Population growth rate of Varroa and Tropilaepas was higher in sticky method than sugar methods when they were tested in co-occurrence. Population growth rate is higher in Tropilaelaps (0.09) than Varroa (0.05) when both are tested in co-occurrence. We calculated competition parameter of Varroa and Tropilaelaps which was 1.9 and 0.53, respectively. Negative effect on regulation of carrying capacity and population growth rate is due to interspecies competition. Varroa population was higher than Tropilaelaps because there was high intraspecies competition among Tropilaelaps. Single Varroa or its co-occurrence with Tropilaelaps both can destroy honeybee colonies.
        64.
        201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유형의 부정경쟁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2014년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차목 (이하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이 도입되었다.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은 “상당한 투자나 노력으 로 만들어진 성과”이기만 하면 모두 보호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 결과, 일정한 매장의 분위기와 같은 트레이드 드레스, 기존 지식재산권법률로 보호되기 어려웠던 일정한 아이디어, 퍼블리시티권, 일정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거래상 지위도 부정경쟁방지법으로 보호될 여지가 있게 되었다.다만,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의 추상성과 모호함으로 인해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은 법적 안정 성을 저해하고 타인의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과도하게 제약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이 적용되기 위한 요건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그리고 기존 법질서와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먼저,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이 대법원의 부정한 경쟁행위로 인한 불법행위 법리에 근거한 것 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 이 규제하는 무단 사용행위가 되기 위해서는 무단 사용에 대한 고의 또는 과실 그리고 위법성이 인정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법성의 경우, 결국 다양한 이해관계 및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법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다른 지식 재산권 법률로 해결하기 어려운 분쟁에 한해 부정 경쟁행위 일반조항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특정한 성과가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으로 보호할 수 있는 시간적 한계를 설정하여 부정 경쟁행위 일반조항이 적용될 수 있는 시간적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200원
        65.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unveils the strong competition in container cargo between Hong Kong Port which has been emerging as an international maritime center since the 1970s and Shenzhen Port which has recently gain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Pearl River Delta region. Among various competing strategies, the study focuses on the long-term one in which two ports will decide to compete by investing in capac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o suggest future strategic ac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Within its scope, only economic profit brought back from the investment is considered. For this reason, an uncertain payoff two-person game model is developed where an uncertain factor of demand is involved. In applying Uncertainty theory (Liu, 2013), the two methods to solve the game are introduced, including uncertain statistics and the expected Nash Equilibrium strateg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generate meaningful suggestions for future competition plan for the two selected ports, which conclude that Shenzhen is the dominant port in this long-term strategy. Compared to existing works on the same topic, the paper shows its distinctiveness by studying the latest competitive situation with regard to the uncertain demand in the game model.
        4,300원
        6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germlings of Ascophyllum nodosum (L) Le Jolis and Fucus vesiculosus L. were cultured in monocultures and mixtures of the two species under two different exposure and nutrient levels. Both intra-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were examined in comparison of the mortality and growth of germlings in monocultures and mixtures of the two species. The mortality of germlings increased with increasing density and emergence periods both in the monoculture and mixtures of the two species, and the mortality of Ascophyllu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ucus both in submerged and emerged treatments. The growth of germlings of both species reduced with increasing density but F. vesiculosus always grew faster than Ascophyllum. The values of log output ratio were more than 0.1, indicating that Fucus 'won' in the competitive battles with Ascophyllum under two nutrient- and air-exposure levels. Log output ratio was greater in high than in low nutrients, indicating that the growth of Fucus is more enhanced than that of Ascophyllum in high nutrients. In the present study, the outcome of inter specific competition between germlings of Fucus vesiculosus and Ascophyllum nodosum was slightly altered by duration of emergence and nutrient concentration, but not to such an extent as to change the outcome.
        4,000원
        6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ctoparasitic honey bee mites was originally confined to the Asian honey bee(Apis cerana etc.), mites had become widely established in the world and have continued to cause extensive bee colony deaths. Mites attach to adults and developing brood, where they feed on their blood. If left untreated, mites can deform bees and eventually kill the colony. Varroa destructor and Tropilaelaps clareae has plagued European honey bees, Apis mellifera. Differences in mite tolerance are reported between two honey bee species A. mellifera and A. cerana. We were counted number of mites(V. destructor and T. clareae) form 20 colonies. V. destructor and T. clareae has very similar behavior in honeybee colony. When behaviorally close, two competing species may populational interfere, and thereby affect their population dynamics. We tested for populational interference (PI) between two populational competing honeybee mites, V. destructor and T. clareae, by investigating their population dynamics when they competed on the same colony.
        6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쟁법의 목적에 관한 논쟁은 주로 미국과 EU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특히 미국에서 전통적인 하버드 학파(Harvard School)의 이론체계를 반박하면서 1970년대에 등장한 시카고 학파(Chicago School)는 효율성이 경쟁법을 비롯한 모든 경제 관련 법의 유일한(exclusive) 목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한 영향 하에, 오늘날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주요 경쟁법제에서 ‘효율성’은 법의 목적을 응축해 놓은 개념이자 주요 금지규제의 위법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경쟁법의 목적으로서 유력하게 논의되고 있는 효율성이 과연 법 목적으로서 적절한 개념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효율성 개념의 정의와 전제, 그리고 그것이 갖는 함의에 대해서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효율성 개념이 법 목적으로 수용된다고 할 때 제기되는 문제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효율성 개념은 ‘경제적 인간’과 ‘완전경쟁’이라는 추상적이고 불완전한 전제에 기반한 것으로서, 일정한 행위 혹은 의사결정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게 되는 자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건에 놓여 있는지, 구체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관철할 수 있는 정신적 혹은 경제적 능력이 있는지 등과 같은 사실관계는 전적으로 사상(捨象)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논증은 현실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타당하게’ 해결한다는 법적 논증의 목적이 맞지 않을 뿐 아니라 복잡한 현실에 단독으로 또한 직접적으로 적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Pareto 효율성, Kaldor-Hicks 효율성, 부의 극대화 모두 자원이나 권리의 배분 문제에 대해서 중립적이지 않다. 최초의 자원배분이 여하하든지 간에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지만, 문제는 최초의 자원배분 상태에 따라서 효율성 도달 이후의 자원배분 상태가 결정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자원배분의 불평등 정도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효율성 혹은 부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쟁법의 집행은, 경쟁에 참여하는 사업자들간에 존재하는 경쟁조건에 있어서의 차이가 경쟁과정을 통하여 더욱 심화되도록 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결과는 법정책적으로도 납득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윤리적·도덕적으로도 납득하기 어려운 것이다. 오히려 경쟁법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실제로 부의 극대화와 같은 효율성 이외에 공정성이나 분배적 정의와 같은 목적들이 중요한 지침이 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69.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paper we explore competition as a firm process, rather than as a background economic variable. We contribute by refining firm competition as a process of goal seeking within a context of many actors. First we consider past research on structural and socially constructed competition. We develop a research framework inside relational time, based on the priority of a firm’s line of action, the direction of a firm’s activities, whether primarily towards the customer or first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another firm. We explore the theoretical distinctions between non-competitive, competitive and rivalry firm activity through an analysis of exporters and importers of fine wine to Denmark from South Australia. We distinguish firm competition from other more complex interactions in a network context. We conclude with managerial implications and the opportunities for future research. The concept of competition in the business-to-business literature shifts meaning depending on the context. The meaning seems to extend along a continuum from rivalry (Porac, Thomas, Wilson, Paton & Kanfer 1995) to coopetition (Bengtsson & Kock 2000). According to McNulty (1968, 639) “There is probably no concept in all of economics that is at once more fundamental and pervasive, yet less satisfactorily developed, than the concept of competition.” In the business-to-business literature competition is defined as structural, where firms seek the same customer or goal (Macdonald & Ryall 2004), or competition is regarded as socially constructed (Porac et al. 1995). Competition is also considered as an interaction process undertaken over time between firms (cf Easton & Araujo 1994; Turnbull, Ford & Cunningham 1996). We pursue only an understanding of the competition process based on a single firm’s activities. Our approach is to focus on this simple form and develop a process based framework to understand competition. We see this as a single step, the first advance towards a framework for analyzing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ogether (Jarillo 1988).
        70.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stomer loyalty programs have been widely adopted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ll over the world. The proliferation of loyalty programs causes program competition which weakens the effectiveness of loyalty programs at the end of customers. In general, existed research suggests that the increasing competition among rival programs in a single industry may cancel out the expected roles of loyalty programs (Mägi, 2003). For example, program competition is a substantial threat to customer lifetime value and share of wallet (Leenheer, van Heerde, Bijmolt, & Smidts, 2007; Meyer-Waarden, 2007). Liu and Yang (2009) find the sales impact of a single loyalty program diminishes as program competition increases. Their study also shows this negative effect is weaker in a highly expandable product category.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suppressive effect of program competition on financial outcomes of loyalty programs, little research has explored its role on attitudinal customer loyalty formation proces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tial roles of program competition on two formation processes of customer loyalty. It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loyalty programs literature in two aspects. First, this study examines two routines of customer loyalty formation in the context of loyalty programs. That is, a company can leverage program offerings to build customer loyalty through increased customer satisfaction or strengthened customer identification with the company.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roles of program competition on those two loyalty-generating routines. Specifically, it finds customer identification is more important for building customer loyalty at the presence of program loyalty.
        71.
        201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키워드 광고에서 상표권 침해 또는 퍼블리시티 권 침해 여부와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그러나 키워드 광고 는 광고주가 설정한 키워드를 검색어로 입력하면, 해당 광고주가 지정한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 를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만을 할 뿐이다. 따라서 키 워드 광고에 검색어로 타인의 상표를 지정한 행위 가 상표법상 상표적 사용에 해당된다고 보기는 어 렵고 부정경쟁방지법상 출처표시 기능이나 영업표 지 기능을 가진다고 보기도 어렵다. 또한 대부분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검색 결과에 자신이 찾고자 하 는 결과 이외의 결과도 함께 표시된다는 사실을 이 미 알고 있으므로, 타인의 상표를 키워드로 사용하 였다고 하여 영미에서 논의되는 최초관심혼동이론 에 따라 상표권 침해를 인정하거나 해당 상표에 대 한 희석화가 발생하였다고 보기도 어렵다. 키워드 광고는 광고주의 홈페이지를 연결시켜주는 다리 역할만을 할 뿐이어서 키워드 광고를 통 해 연결된 홈페이지에서 상표권 침해 또는 부정경 쟁방지법위반행위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키워 드 광고는 해당 행위를 위한 도구로 사용된 것에 불 과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그 자체로 곧바로 상표권 침해나 부정경쟁방지법위반으로 인정되기는 어려 울 것이다. 퍼블리시티권은 아직 국내에서는 그 인정 여부 에 대한 논의조차 정리되지 아니하여 키워드 광고 가 퍼블리시티권 침해로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제한적인 측면이 있으나, 키워드 광고 자체 만으로 퍼블리시티권 침해로 곧바로 연결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퍼블리시티권 자체의 인정여부가 논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키워드 광고를 퍼블리시티권의 측면에서 보기보 다,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이나 형사상 명예훼손 책 임 등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으 로 보인다. 키워드 광고에 타인의 상표를 무단으로 사용하 는 행위는 타인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여 쌓은 상 표 또는 표지가 가지는 신용이나 명성에 무임승차 하여 부당하게 이익을 얻는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향후에는 키워드 광고가 가지는 권리 침해의 요소 등을 보다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키워드 광고에 관한 법률상 근거와 타인의 권리 침해에 대한 구제수 단 마련이 필요할 것이
        4,900원
        72.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장경제에서 기술경쟁은 기업이 시장 내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필수요소이자 기술혁신 분야의 한 축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기술경쟁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어 왔으며, 점점 세분화 되어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기술경쟁의 현상을 분석하고, 신기술이 구기술을 대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구기술의 혁신을 설명한 범선효과에 대해 주목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범선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이 기술의 경쟁을 시장과 기술의 관점, 혹은 기업과 기술의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기 때문에 현상을 분석하고 전략을 수립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시장 환경, 특히 경쟁기업을 고려한 새로운 기술경쟁 분석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기술경쟁의 결과를 1)신기술로의 대체, 2)구기술의 유지, 3)신/구기술의 공존, 그리고 4)범선효과 이렇게 네 가지로 나누어 기술 경쟁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분석 모형이 적절한지 판단하기 위해 세 가지 대표 사례에 대해 제안된 기술경쟁 분석 모형을 적용했으며, 분석 모형이 구기술의 퇴출 지연 현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경우를 잘 설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보다 일반화된다면, 기술경쟁의 결과를 예측하거나 관련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6,900원
        73.
        201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0년대 중반 인터넷의 상용화가 활발해지면 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사업모델들이 개발되고, 기업의 경제활동의 상당부분이 인터넷 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추세가 더욱 심화되고 있 는 상황이다. 그런데 이 같은 인터넷 기반 사업자들 에게 경쟁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흥미로운 논의들 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쟁법적 분석의 출발점인 시 장획정과 관련하여, 가격에 근거한 대체가능성이 라는 전통적인 경쟁법적 전제가 과연 인터넷 기반 사업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 부당한 공동행 위의 경우에 인터넷 기반 사업의 특징으로 인하여 경쟁제한적인 합의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수 있는 지,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에 있어서 시장지배력 을 인정하는 근거나 남용행위의 부당성을 판단함 에 있어서 인터넷 기반 사업의 특징들이 어떻게 평가될 것인지, 기업결합에 있어서도 인터넷 기반 사 업자들 간의 결합에 대한 관련 시장에서의 경쟁제 한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전통적인 사업자들 간의 결합의 경우와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 수 있는지 등 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의 공정거래위원회도 인터넷 기반 사업자들에 대 하여 공정거래법상의 다양한 규제를 한 사례들이 축적되고, 이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받은 사례들도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음악서비스 사업자들의 부 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사건, 오픈마켓 사업자의 시 장지배적 지위 남용사건, 오픈마켓 사업자들의 기 업결합 사건 등에서 이러한 인터넷 기반 사업에 대 한 특징들이 고려되었다. 나아가 공정거래위원회 는 인터넷 기반 사업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파급력 을 고려하여 전자상거래법상 금지되는 기만적인 소비자 유인행위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매우 엄격 한 의무를 인터넷 기반 사업자들에게 부과하였다. 이는 인터넷 기반 사업에서의 소비자보호에 대하 여는 매우 엄정한 법집행을 하겠다는 의지가 반영 된 것으로 보인다.
        4,800원
        7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and Frankliniella intonsa (Trybom) (Thysanoptera: Thripidae) are sympatric thrips species infesting crops including strawberry and pepper. Recently, F. intonsa was found as a dominant species locally even though F. occidentalis has been considered as a major species in Korea. We suggested interspecific competition as a underlying mechanism for the asymmetrical abundance. Effect of the competition on adult reproduction and longevity of the two thrips species was assessed in leaf cage and microtube arena, respectively. The number of reproduced progeny was reduced by 79% for F. occidentalis and only 43% for F. intonsa in competition condition. The mean longevity was also reduced greater in F. occidentalis (by 41%) than in F. intonsa (23%).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bable that interference competition exists between the two species, and F. intonsa is better competitor than F. occidentalis. Therefore, interspecific competition might affect field occurrence pattern of the two thrips species.
        7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ve species of the subfamily Cicadinae are typically found in urban areas of central Korea, including Cryptotympana atrata, Graptopsaltria nigrofuscata, Hyalessa fuscata, Meimuna mongolica, and Meimuna opalifera. These species form multi-species choruses. We hypothesized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ominance of choruses among cicada species. We tested this hypothesis by conducting the 24-h recording experiments in four localities: Gawcheon, Jamsil, Ewha University, and Yangpyeong. Based on the enumeration surveys of exuviae, the results of 24-h recordings showed that choruses of C. atrata and H. fuscata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other in Jamsil and Ewha University, bu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ther in Gawcheon and Yangpyeong. Thus, it seemed unclear cicada species competed with each other negatively over. Males of C. atrata produced calling songs usually during the day at temperatures typically higher than 28 C°. However, males of H. fuscata produced calling songs throughout the day at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As a result, the chorus of C. atrata dominated during the day, but that of H. fuscata in urban areas where the densities of C. atrata were sufficiently high.
        7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지도경연대회들을 탐구하여 지도그리기의 지도학습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지리교육에서 지도그리기의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어린이 지도경연대회들과 국제지도학회의 바버라 페추닉 지도경연대회의 취지와 운영 방식 뿐만 아니라, 수상작품들을 비교했다. 한국의 지도경연대회는 짧은 역사속에서도 주제가 마을을 그리는 그림지도에서 ‘세계속의 대한민국’을 창의적이고 예술적으로 표현한 지도로 변화했다. 이는 지도의 원리와 기호 사용의 이해를 넘어 지도의 상징성과 예술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지도학습이 변화된 것이다. 일본의 지도경연대회가 환경지도 그리기 활동을 지리 탐구와 병행하는 점과 바버라 페추닉 지도경연대회가 주제별로 작품을 모집하고 이의 교육적 활용을 중시하는 점은 향후 한국의 지도경연대회의 운영 방향과 지도학습에서 지도그리기의 활용 방안을 수립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4,600원
        77.
        201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35년 전부터 트레이드 드레스의 보호가 실제 사안에서 문제되기 시작했으나, 그 세부적인 법리에 관하여는 논의가 보다 구체화될 필요성이 있다. 현재의 대법원 판례는 상품의 용기나 포장이 상품의 출처표지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대단히 엄격한 요건을 충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디자인적 요소가 가미된 도형상표의 침해 여부가 문제되는 사안에서의 대법원 판례와 상충되는 측면이 있고, 트레이드 드레스의 현대적 기능 및 의의와 실제 거래 현실에 제대로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기능성 원리와 관련하여서는, 어떠한 상품의 형상이 일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물리적으로 필요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 형상이 특정상품이나 영업의 출처표지로서 기능하기에 적정한 수준의 표현으로 구현되었다면 이에 대한 보호를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실용적기능성’이라는 개념이외에 ‘심미적 기능성’이라는 개념을 별도로 인정하는 것은 오히려 논의의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4,300원
        7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algae can grow autotrophically with the supply of light, carbon dioxide and inorganic nutrients in water through photosynthesis. Generally, microalgal growth is limited by the concentrations and relative ratio of nitrogen (N) and phosphorus (P) among the nutrients in the aquatic environment. Each microalga has its specific optimum N : P ratio resulting in dominance in a particular water having similar nutrient composition. Algal bloom is an immense growth of certain microalga commonly cyanobacterium and can be sequestrated by reducing the limiting nutrient, generally P in the freshwater. Moreover, dominance of a less toxic blooming strain can be established by manipulating N : P ratio in the water. On the other hand, microalgal biomass of a certain species can be enhanced by increasing limiting nutrient and adjusting the N : P ratio to the target species. The above-mentioned eco-physiological features of microalgae can be more completely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ir genomic informations. Consequently, microalgal growth regulation which can be achieved on the basis of its eco-physiological and further genomic insights would
        4,000원
        79.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uth China Sea is a semi-enclosed sea with a complex set of territorial claims by a number of Southeast Asian nations and China being the dominant claimant country. The United States is not a party to such claims. However, the US has great concerns pertaining to peace and stability of the region as far as freedom of navigation in the SCS is concerned, which has significant repercussions for its strategic interests. In addition to the utilization of the SCS as an important international trade route, the US is also committed to protect the interests of its allies in the region, as well as those of its companies involved in offshore hydrocarbon activities. In the aftermath of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 the dynamics of a new world order push the US to strengthen its presence in the region in order to combat any security threats against its interests. This article investigates China-US relations in the SCS and highlights the law of the sea prescriptions that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legal nature of the tensions between China and the US.
        6,600원
        80.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지방자치제의 시행으로 변화한 한국 사회의 여러 지형 가운데 특산품의 사회적 생산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방자치제 이후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인물, 역사적 사건, 민속, 경관, 특산품 등을 지역 상징화하며 홀로서기를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간의 이해관계가 발생할 때에는 지역과 친연성을 강조하기 위한 다양한 담론들을 생산했다.이 글에서 관심을 갖는 ‘원조대게’ 논쟁의 경우 영덕과 울진에서 지역의 특산품인 대게를 상징화하는 과정에서 불거졌다. ‘원조대게’ 논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두 지역에서 펼친 전략은 크게 ‘역사만들기’, ‘마을만들기’, ‘축제만들기’로 요약된다. 먼저 역사만들기 과정에서는 문헌, 민속, 구술, 생활사 등을 발굴하거나 재해석하며 대게의 역사성과 정통성을 드러내려 했다. 다음으로 마을만들기 과정에서는 역사만들기를 통해 생산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대게의 고향’을 만들면서 신화적 공간을 구축했다. 이어서 축제만들기의 과정에서는 각종 담론들을 담아내고 새로운 전략을 선보이는 장으로 활용했다. 이처럼 두 지역에서 대게를 품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펼친 행보를 통해 특산품이 사회적 생산과 의미화 과정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8,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