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62

        1782.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양식어종으로 매우 부가가치가 높은 철갑상어의 영양성분 분석과 중간수분식품 개발을 위해 건조시 온도와 당 및 염 침지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철갑상어의 일반성분은 수분 73.2%, 단백질 19.9%, 지방 5.7%, 회분 1.1% 및 가용성 무질소물 0.1%였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K, P 및 Mg 으로 그 함량은 각각 317.70 mg/100 g, 259.88 mg/100 g 및 29.78 mg/100 g 순이었다.
        1786.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부 소비자들의 유기농산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유기농산물 소비생활을 유도하고 나아가 유기농산물 구매행동 연구에 필요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지역 거주 20세 이상 주부 36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유기농산물에 대한 인지도는 3.40으로 그다지 높지 않았고, 유기농산물에 대해 '건강에 좋은 것'(4.05), '가격이 비싼 것'(3.92), '화학비료를
        1789.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PME 처리가 미생물의 생리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PME의 항균작용을 규명하기 위해서 소수성 분획과 친수성 분획으로 분리하고, 공시균주를 사용하여 미생물의 성장 및 에너지대사 관련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매실추출물 분획별 항균활성은 변패미 생물인 C. fragariae를 대상으로 paper disk법으로 관찰하였다. 총 추출물(PME)의 소수성 분획은 C. fragariae의 성장을 저해하기는 하나 그 효과가 총
        179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충남 S시 방사선학과, 식품생물학과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208명(남자 93명, 여자 115명) 을 대상으로 방사선 식품조사에 대한 인지도 및 수용도를 설문지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사선 식품조사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변한 대상자는 전체 208명 중 81명(38.9%)으로 나타났으며, 학과, 학년별 분포에서는 방사선학과의 3학년 32명(15.4%)이 가장 많이 알고 있었고, 식품생물공학과 학 생들은 대부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방사선 조사식품에 대해 가장 신뢰하는 기관이나 단체에서 식품의 안정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한다 면 이를 “전적으로 구입하겠다”고 답변한 대상자는 전체 208명 중 방사선학과 50명(24%), 식품생물공학 과 12명(5.77%) 총 62명(29.8%)으로 나타났으며, 132명(63.5%)은 “모르겠다”라고 답하였는데 이는 방사 선 조사식품에 대해 정확한 정보부족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 조사식품의 수용도 와 성별과 학년별간의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최근 정부에서는 학교급식 식중독사고에 대처하기 위하여 급식식품에 방사선 조사를 하겠다고 하 는 방침에 학생들의 생각을 분석한 것으로 학교급식의 식중독 사고 방지를 위하여 급식식품에 방사선 을 조사한다는 정부 방침에 총 204명 중 “매우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18명(8.8%), “대체로 필요하 다”는 87명(42.6%)으로 총 105명(51.5%)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르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87명(42.6%), “필요하지 않다”는 12명(5.9%)으로 총 99명(48.5%)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사선 조사 식품의 필요성과 정부의 대처방안에 대한 일원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유 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92.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박 메탄을 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광역의 변패성 미생물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매실박 메탄올추출물의 항균물질은 높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안정하였으며, 넓은 범위의 pH(3-11)에서 안정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매실박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물질은 항균활성이 높고, 항균s spectrum이 광범위할 뿐 아니라, 높은 온도 및 넓은 범위의 pH에 안정하여 이상적인 천연 항균제로
        1793.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분의 발아조건에 따른 식품유해균에 대한 항균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10%(w/v)설탕용액에 화분 8%(w/v)를 첨가하여 에서 4일간 발아시켰을 때 식품유해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분발아액의 최소저해농도를 그람양성세균은 , 그람음성세균은 에서 균생육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발아액의 유기산을 조사한 결과 acetic acid와 lact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발아액의 열과 pH 안정성
        1795.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for effective acid fermentation according to OLR(organic loading rate) in the mesophilic and thermophilic acid fermentation proces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obtain reasonable acid fermentation efficiency in performing acid fermentation of food wastes in thermophilic condition, organic loading rate was required below 20 gVS/L.d. As SCODCr/TKN, SCODCr/T-P of thermophilic acid fermented food wastes in organic loading rate 20 gVS/L.d were 18.9, 73.4 respectively, it was possible to utilize as external carbon source for denitrification in sewage treatment plant after solid-liquid separation as well as co-digestion of fermented food wastes and sewage sludge.
        1796.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패는 콩나물 재배에서 극복하여야 할 문제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나물 재배에서 부패완화용으로 식품첨가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은하콩, 풍산나물콩 및 오리알태를 공시품종으로 식품첨가물의 종류(acetic acid, propionic acid)와 농도(0, 0.1, 0.2%)가 콩나물의 생장과 형태, 병반 형성, 처리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품화가 가능한 하배축 길이가 4cm 이상의 비율은 오리알태에서 가장 높고 은하콩에서 가장 낮았고, 식품첨가물 종류간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 하배축은 은하콩과 오리알태에 비하여 풍산나물콩에서 길었으며, 하배축 중간부분은 풍산나물콩과 오리알태에 비하여 은하콩에서 굵었다. 그러나 이들 하배축 길이와 직경은 식품첨가물 종류와 처리농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생산수율과 관련된 개체당 전체 생체중은 은하콩과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오리알태에서 많았던 반면, 식품첨가물 종류와 처리농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자엽에 형성된 병반수는 식품첨가물 종류간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이들을 처리하지 않는 것보다는 처리할 경우 감소하였다. 5. 처리비용을 고려할 경우 acetic acid보다는 propionic acid를 이용하여 종자소독을 실시하는 것이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1797.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optimum mixing ratio for co-digestion with thermophilic acid-fermented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using batch anaerobic digester. As the basis operating conditions for anaerobic digestion,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controlled 35±1℃ and stirrer was set 70rpm. Thermophilic acid-fermented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were mixed at the ratio of 10:0, 7:3, 5:5, 3:7, 0:10 and 5;5(food waste : sewage sludge) as the influent substrates. In results of co-digestion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thermophilic fermented food wastes and sewage sludge in batch mesophilic anaerobic digestion reactor, 385mL CH4/g VSadded of methane production rate at 1:1 mixing ratio was more than that of any other mixing ratios. Compared with 293mL CH4/g VSadded of methane production rate at 1:1 mixing ratio of food wastes and sewage sludge, pretreatment of food wastes by thermophilic acid fermentation was more effective in co-digestion with sewage sludge.
        1798.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omi is a new sweetpotato variety developed from Mokpo Eeperiment Station, National Honam Agricultura iment Station (NHAES), RDA in 2003, which was for the utilization as feed and food for storage root ofhigh moisture content andfast fleshed up. This var
        1799.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il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1,429 germplasms including 1,121 cultivated soybeans for sprout production and 308wild soybeans were analyzed by the NIRS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method at Yeongnam AgriculturalResearch Institute, M
        180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 식중독균성 수건 및 행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질풀 추출액 1%로 50-60에서 60분간 염색한 면직물의 염색성과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면직물의 표면색은 무매염, 명반 매염, 수산화칼슘 매염시는 그레이-옐로우로 황색계열을 나타냈으며, 황산구리 매염시는 그레이-브라운, 황산제1철 매염시는 그레이드-그린으로 나타났다. 이질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의 hue 값은 20회 세탁까지는 Y계열을 나타내었으며, 30회와 40회 세탁시는 YR계열을 나타내었다. 이질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해 무세탁시 모두 99.99%의 항균성을 보였다 세탁 30회 후의 항균성은 52.91%이상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