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파래의 포자가 부착한 Agar와 Agarose코팅필름은 agar, agarose 또는 메탄놀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표면의 성질을 나타냈다. Sigma agarose 코팅필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포자 부착이 일어났다. Bacto agar과 그외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에 부착한 포자는 Sigma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보다 12∼36배나 적었다. 2.5%와 5% 의 SeaKem agarose와 Bacto agar 코팅필름의 비교에서 두 개의
The storage stability from powdered anchovy and its preparation cooperated with three additives (water extract from green tea and boxthorn and BHT) was stud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the additives were added to powdered anchovy, the storage stability was improv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 from green tea and boxthorn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BHT.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decreased in the rank order boxthorn $gt; green tea $gt; BHT. 2. The more the concentration of natural additives was increased, the more the storage stability was improved. The rank order was 60° $gt; 40° $gt; 20° Bx. 3. The AV and POV of powdered anchovy were increased in the rank order to 6 $lt; 12 $lt; 18 $lt; 24 $lt; 30 months by storage term. 4. This clearly suggested that water extract at 20° Bx level from boxthorn was possible utilization as a new natural antioxidant for storage stability of powdered anchovy.
Autographa californica 핵다각체병 바이러스(AcNPV)의 다각체 단백질과 초록색 형광 단백질의 융합단백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초록색 형광 단백질 유전자는 AcNPV의 완전한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앞쪽과 뒤쪽에 융합하여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프로모터 조절하에 도입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재조합 바이러스를 각각 Ac-GFPPOL 또는 Ac-POLGFP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들 재조합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곤충세포주에서는 56kDa의 융합단백질이 발현되었다. 한편, 흥미롭게도 재조합 바이러스 Ac-POLGFP에 의해 감염된 세포주에서는 초록색 형광이 핵내에서만 다각체 유사 granular particle 형태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Ac-GFPPOP에 의해 감염된 세포도주에서는 대부분 핵내에 존재하였지만, 세포질과 핵 모두에서 초록색 형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발현된 융합단백질은 분명히 다각체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다각체는 형성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융합단백질에서 다각체단백질의 위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The efficiency of transgenic livestock animal production may be improved by early selection of transgenci preimplantation embryo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GFP gene as a non-invasive marker for the early screening of transgenic embryo, the GFP gene was microinjected into rabbit zygotes and the later stages of preimplantation embryos were examined for the expression of GFP. The presence of injected DNA was detected by PCR analysis and the expression of GFP was detected by observing green fluorescence in embryos under a fluorescent microscope. Out of 108 GFP gene-injected rabbit zygotes, seventy three(67.6%) were fluorescence-positive. When 11 fluroresecence-positive blastocyst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GFP gene by PCR, 6(54.5%) were positive, and all of the 8 flrouescence-negative blastocysts were also negative by PC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creening of transgene in rabbit embryos by PCR analysis and GFP detection could be a promising method for the preselection of transgenic embryos.
진딧물류의 천적인 칠성풀잠자리붙이(Chrysopa pallens Ramber)를 계란의 난황, 효모가 수분해물, 맥주효모 또는 Vanderzant의 비타민 혼합물, 설탕과 벌꿀 또는 설탕, 카세인가수분해물, 콜레스테롤로 구성된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하였다. 인공사료의 조성에 따라 1령유충부터 사육한 결과 20~70%가 정상적인 성충으로 자랐으며, 사육성적이 가장 뛰어났던 인공사료를 성충에 먹였을 때 230개의 수정란을 36일간에 걸쳐 산란하였다. 복숭아진딧물의 비지질성분이 지질성분보다 칠성풀잠자리붙이의 발육에 영양원면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액상반응법에 의해 Zn2-xMnxSiO4 녹색 형광체를 합성한 후 소성온도(900˚C-1200˚C) 및 Mn 활성제 농도(x=0.01~0.20)에 따른 발광특성과 결정특성을 조사하였다. 147nm와 254nm 여기원을 사용한 경우 형광체의 소성온도가 900˚C에서 1200˚C로 증가함에 따라 상대발광피크강도는 약 4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XRD 분석결과 1100˚C이상의 소성온도에서 Zn2SiO4:Mn 녹색 형광체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willemite 결정구조를 보여주었다. 1200˚C의 온도로 소성된 Zn2-xMnxSiO4형광체 시료의 경우 147nm 여기원에서 Mn 활성제 농도가 x=0.02에서 최대 발광강도를 나타내었으며 x=0.10 이상에서 발광강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농도 칭 현상이 나타났다. SEM 분석결과 형광체 입자는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보여주었으며 1200˚C에서 소성된 형광체 입자크기는 약 2~3μm이었다.EX>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ash, crude fat, total amino acid, with amino acid composition, vitamin C, β-carotene, vitamin E, total catechins, EGCG, EGC, ECG, EC, GA, caffeine, theobromine and theophylline of the green tea I, II, III, oolong, and black tea. The content of crude fat of green tea I, II, III, oolong, and black teas was 1.1, 2.5, 4.9, 0.8 and 1.2%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0.87, 0.78, 0.60, 0.63 and 1.05% respectively, and theanine content was 0.52, 0.48, 0.31, 0.41 and 0.61%,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content of green tea increased in the order of green tea I $gt; green tea II $gt; green tea III, and among the teas, the content of theanine was the highest in the amino acids present. The content of vitamin C of green teal, II, III, oolong, and black tea was 101.6, 87.5, 95.9, 99.1 and 108.0 mg%, respectively, β-carotene content was 270, 268, 481, 80 and 181 ppm, respectively. Among the α-, β-, γ- and δ-tocopherol, the content of α-tocopherol was the highest in vitamin E present, and β- and δ-tocopherol were not detected in the samples of green teal, II, III, oolong, and black teas. The total catechins of green teal, II, III, oolong, and black teas was 10.5, 10.4, 7.2, 8.4 and 1.8% respectively, and among them, EGCG content was the highest. The content of EGC increased in the order of green tea I $gt; green tea III $gt; green tea II $gt; oolong tea $gt; black tea. The contents EGCG and ECG increased in the order of oolong tea $gt; green tea I $gt; green tea II $gt; green tea III $gt; black tea, and the highest contents of EGCG and ECG were observed in the samples of oolong tea. The content of GA was 0.01, 0.02, 0.05, 0.13 and 0.31%,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contents of GA, caffeine and theobromine were observed in the sample of black tea. The highest content of theophylline, however, was observed in the sample of green tea I.
The extraction yield of MeOH extract of green teas, oolong tea and black tea were 3 to 5, 4 to 5, and 5 to 7 fold higher than those of EtOH and EtAC extract, respectively. The amount of total catechins of EtAC extract of the black tea, and of the green teas and oolong tea were three- and two-fold higher than that of EtOH or MeOH extract of the corresponding teas,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OH, MeOH and EtAc extract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BHT and dl-α-tocopherol at 200 ppm level.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OH and MeOH extract at 200 and 500 ppm level, and of EtAc extract at 200 ppm level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ea as follows : green tea I $gt; green tea II $gt; green tea III $gt; oolong tea $gt; black tea. The antioxidative activity increased as the content of EGC increased. But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MeOH extract at 1000 ppm level, and of EtAc extract at 500 and 1000 ppm level were not affected by the content of EGC and EGCG.
고상 반응법에 의해 제조된 Zn1.98Mn0.02SiO4 녹색 형광체에 Ga 원소를 치환시켜 소성온도 및 Ga의 첨가량에 따른 발광특성과 결정특성을 조사하였으나, Zn1.98Mn0.02(Si1-xGax)O4 형광체에 있어서 Ga을 첨가했을 경우가 첨가하지 않은 샘플에 비해 발광특성이 개선되었으며, 8mol%(x=0.08) Ga을 첨가했을 때 발광세기와 색순도에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Zn1.98Mn0.02(Si1-xGax)O4 형광체(x=0.08)에 대해서 소성온도를 1100˚C에서 1400˚C로 증가함에 따라 결정성이 개선되었으며 발광강도 역시 약 7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잔광시간은 Ga 첨가량에 관계없이 약 24 ms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입도분석 결과 1-3μm의 작은 입자가 주로 관찰되었으며 10μm이상의 큰 응집입자도 소량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의 산지형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관리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면적 11,331ha에 대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식물군집은 19개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중 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 2차림이 전체의 92.32%(10,461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아까시나무림 등 인공식재림은 전체의 5.40%(612ha)로서 수도권지역 다른 도시들 보다 적은 면적을 나타내었다. 총 5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 결과 총 7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는데 그것은 리기다소나무(군집 A), 상수리나무(군집 B),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C), 상수리나무-소나무 (군집 D),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 E),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 F), 느티나무-고로쇠나무 (군집 G)이었다. 강화도 지역은 온대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천이진행단계인 소나무림에서 상수리나무림을 거쳐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토양 pH는 평균 4.17의 강산성 토양으로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산림식생 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5개 신도시 공동주택단지의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형태와 식재기법,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조성시 배식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 완충녹지의 형태는 마운딩형, 사면형, 펴연형이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는 교목은 상록수 10종, 낙엽수 20종의 총 30종이었고 관목은 총 13종 이었으며 도시공원 등의 관상용수종과 차이가 없었고 식재는 단층적으로 한 상태였다. 완충녹지에 의해 소음완화 효과는 인정되었으나 7개 조사유형중 4유형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소음 기준치(65dB) 이하의 완충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소음완화효과는 마운드형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식재밀도, 녹지용적계수는 완충녹지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림과 비교했을 때 식재밀도가 매우 적었고 녹지용적계수도 기준 녹지에 비해 션격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완충녹지는 높이를 2m 이상으로 한 마운딩형으로 조성지역 인근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하는 복층적 식재기법을 이요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온도조건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발육과 벼멸구 및 애멸구의 알에 대한 성충의 포식량을 조사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난부화율은 , , 및 에서 각각 약 96%, 88%, 및 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난기간은 , , 및 에서 각각 약 11.0일 10.0일 6.7일 및 5.6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졌다. 약충기간은 , , 및 에서 각각 약 13.7일 12.7일, 10.2일 및 9.1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약충기간이 짧았으며, 영기별 발육기간은 4령충에서 가장 짧았고, 1령충에서 가장 길었으나, 식이곤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성충수명은 , , 및 에서 각각 약 22-23.5일, 19-20일, 16-17일 및 11-12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짧았으나, 식이곤충 및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벼멸구 및 애멸구 알에 대한 암컷과 수컷성충의 포식량은 , , 및 에서 각각 약 56-61개 및 26-57개, 56-60개 및 47-49개, 43-46개 및 40-42개 그리고 28-30개 및 26-27개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식량이 적었으며, 성별간에는 대체로 수컷보다 암컷에서, 식이곤충간에는 애멸구보다 벼멸구의 알을 약간 많이 포식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마리당 일간 포식량은 2.0-3.0개 였다.
The symmetric naphthothiazolo carbocyanine is of industrial importance as green-sensitizing dye in the spectral sensitization of emulsion microcrystals in negative film-making. In this study, green-sensitizing dye wa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2-methyl-3-sulfopropyl-5-phenyl-benzoxazolium(inner salt) with triethyl orthoacetate in the presence of triethylamine. The product was identified by using various analytical tools such as Elemental analyzer, IR spectrophotometer, UV-Vis spectrophotometer, 1H-NMR spectrometer, TGA and DSC. The maximum absorption peak in methanol solvent was 502nm.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benzoxazolo carbocyanine dye can be used as green-sensitizing dye for the spectral sensitization of photographic emulsion.
분지각을 기준으로 유인방법을 달리한 시설 고추 재배에서 군락내 수광태세와 초고별 기관분포로 살펴본 군락생산 구조 분석과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여 생육 전반적인 군락생산 구조는 흡광계수, 군락 모식도 측면에서 45˚ 처리후 직립구에서 가장 좋았다. 초장은 직립구에서 가장 컸으며 1차분지 이후의 평균 절간장은 45˚ 처리구가 가장 짧았으나 경경, 엽면적, 식물체 무게는 45˚ 처리후 직립구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수량은 45˚ 처리후 직립구〉45˚ 처리구〉직립구 순이었으나, 수확 과수는 45˚ 처리후 직립구〉직립구〉45˚ 처리구 순이었다.
바이오 그린 기능수는 지하수 순수화→처리 촉매제 첨가→에너지 imprinting→여과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미약 에너지 발생 신소재로서 10년생 사과 쓰가루/M26 품종의 수관하부에 1995년 4월 20일, 5월 20일 및 6월 20일 ‘바이오 그린’ 기능수를 주당 0, 5, l0l씩 관주 처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과원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무처리구의 pH 5.73에 비하여 기능수 처리구는 pH 6.31-6.43이었고, 기능수 처리에 의하여 치환성 Ca 및 Mg 함량이 증가되었다. 한편 P2 O5, K 및 B 함량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기능수 처리에 의하여 수확기 사과 과실의 당함량과 과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되었고, Ca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N, K, Mg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기능수가 처리된 사과의 수체특성에 있어서 뿌리활력과 잎의 광합성 능력이 향상되었다. 과실 저장중 (4℃) 기능수 처리구의 과실은 고두병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호흡과 에틸렌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높은 과실 경도를 나타냄으로써 과실 저장력이 향상되었다.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va. ellipticus Hara)를 기주로 하여 담팔수깍지벌레(Protopulvinaria mangiferae (Green))의 발육속도 및 증식능력을 조사하였다. 본 깍지벌레의 1령약충기부터 산란전성충기까지 발육소요일수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짧았으며, 발육한계온도는 11.7, 유효적산온도는 1000.0일도 이었다. , 항온, 60-70% RH조건하에서 부화율은 각 온도구 모두 99% 이상으로 높았다. 산란전성층까지의 생존율은 에서 82%, 에서 60%이었으며, 1령약충(neonate crawler)기의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성충체로부터 1령약충의 이탈기간은 에서 50일 에서 33일간 이었으며, 이 기간 중 총이탈약충수의 50%이상이 분산기간 초기에 발생되었다. 발육기간 및 영별생존율 및 출생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순번식율(), 평균세대기(T) 및 내적자연증가율은()은 에서 각 132.6, 76.2, 0.064/암컷/일로 구 보다 높았다.
온도가 살충제의 저항성과 감수성계통, 복숭아혹진덧물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핵형이 정상인 감수성 계통(URY-O)과 저항성 계통(ABURABI : 유일) 및 핵형이상(AI, 3 전좌)으로 저항성인 O-RY 계통을 사용하였다. 에서의 약충 기간은 저항성과 감수성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에서는 감수성 인 URY-O 계통은 8.3일간에 성층이 되었었음에 비하여 저항성인 O-RY 계통은 조사기간인 20일까지 약충상태로서 성충으로 발육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감수성인 URY-O 계통과 저항성인 ABURABI 계통의 산자수는 에서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저항성인 O-RY 계통의 산자 수는 에서보다 1/10밖에 자충을 낳지 못하였다. 또한 충체중은 에서 URY-O와 유일은 각각 0.22와 0.27 mg/♀이었으나, O-RY는 0.16 mg/♀로서 차이가 컸다. 가수분해활성(n mol/IS min/female)이 19인 O-RY(-)9t 88인 O-RY(+)는 , sub-strain의 산자수는 각각 3.4마리와 0.8마리로서 에스테라제 활성이 높은 O-RY(+)계통이 에스테라제 활성이 낮은 O-RY(-)계통보다 새끼수를 적게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