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patocyte-like cells (HLCs) derived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have received extensive attention in the development of drug screening and toxicity testing.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stem cell-derived HLCs showed hepatic functions that were too limited to be of use in drug screening and toxicity testing, possibly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intercellular communication under conventional two-dimensional (2D) culture conditions. Therefore, a 3D differentiation system may overcome the in vitro limitation of 2D culture to produce stem cell-derived hepatocytes with mature metabolic functions.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using a silicone-based spherofilm, specifically designed to produce spherical cell clusters, to generate uniformly sized 3D hepatic spheroids from hESCs was investigated. Hepatic spheroids generated on the spherofilm showed more homogenous size and shape than those generated in conventional low-attachment suspension culture dishes.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expression of the mature hepatic marker albumin (ALB) increased over time during the hepatic maturation process. Furthermore, the 3D culture system mimicked the in vivo 3D microenvironment. Laminin,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hepatic ECM, was expressed in hepatic spheroids. The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3D culture environment is capable of generating an in vivo-like microenvironment. In addition, quantitative PCR analysis showed that the mature hepatic marker ALB and cytochrome P450 (CYP) enzymes CYP3A4 and CYP3A7 were expressed at higher levels in 3D culture than in 2D culture. This indicates that the 3D culture system is suitable for hepatic maturation and that our size-controlled 3D culture conditions might accelerate hepatic fu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3D hepatic spheroids significantly enhance metabolic maturation of hepatocytes derived from hESCs
이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주저, 『인간의 조건』을 중심으로, 아렌트 사상의 주요 논제를 통해 한 국 교육 전반에서 다문화교육이 차지하는 위치와 그 교육적 의의를 규명할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다음의 세 측면에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간은 ‘다원성(plurality)’과 ‘탄생성(natality)’을 전제로, 누구나 타인의 현존을 전제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며, 인간 주체의 정체성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누구나 이 세계(지구)의 이주자라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근원적 차원에서 한국의 다문화교 육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둘째,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인간 활동인 ‘행위(action)’ 개념에 내재된 ‘용서(power of forgiving)’를 교육원리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셋째, 아렌트의 ‘평범한 악(banal evil)’의 개념으로 한국 다문화사회의 편견과 차별문제를 조명할 수 있으며, 현재 한 국적 다문화교육의 장애가 무엇인지를 밝혀주는 중요한 개념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historical deaths, nowadays being mummified, memorialized or even denied, and to discuss what kind of mourning is needed for such deaths. To this end, the novella Sun-i Samch’on is used as a text, to analyze the meaning of historical deaths as depicted in the story from the viewpoint of the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of those living, and also to see what possibilities there are in healing those who are in pain because of a tragic history. The article then goes onto pointing out, through the novella, a problematic way of approaching historical deaths and their mourning. Mourning for certain deaths is still impossible even though certain amount of historical justice have been attained and truths about historical deaths revealed, thanks to democratization - an important landmark in Korean modern history. The reason behind this impossibility is ‘selective mourning’, and the article proposes, as a way to overcome this problem, mourning as politics of human rights.
본 연구는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활용한 실내 주거공간의 심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심리상태측정은 주의회복척도, 단축판 기분상태검사(POMS), 어의구별척도법(SD법)으로 조사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그리고 Pearson’s 상관분석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그린인테리어 조성시 경관디자인과 식물의 종류를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설치 투자비용은 200만원 미만이 80.93%, 유지관리비 10~50만원이 81% 이상이었다. 또한 3가지 심리적 지표를 분석한 결과, 주의회복척도는 전체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고 답변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군별로 비교한 결과, 회사원보다 주부들의 주의회복력이 더 높았으며 두 직업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분상태검사는 긴장-불안, 우울, 분노, 피로, 그리고 혼란은 낮게, 활력은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그린인테리어 실내 주거공간에 대한 감성을 SD법으로 알아본 결과,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 분포를 나타냈다. 3가지 감성어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린인테리어 주거공간에 대해 모든 감정간에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린인테리어가 주는 효과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기정화효과, 거주자의 작업 능률 향상 효과, 심리적 안정 효과, 그리고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효과에 대해 94% 이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린인테리어효과의 문항간 상관분석 결과, ‘그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와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효과를 높여준다’는 0.818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활용함으로써 거주자들의 심리적 안정과 부정적 정서완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 vitro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ity on human lung epithelial A549 cell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tuber. The EtOH extract contained amounts of phenolics (22.20 tannic acid equivalent ㎎/ɡ) and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Several methods were employed for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y: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 206.79 ㎍/㎖), reducing power activity (21.26 ascorbic acid equivalent ㎎/ɡ)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19.05 ascorbic acid equivalent ㎎/ɡ). Meantime, the EtOH extract inhibited the NO production completely with a concentration of 800 ㎍/㎖. Besides, the H2O extract exhibited more potent effect on human lung epithelial A549 cells. This study suggested that Jerusalem artichoke tuber had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ity on human lung epithelial A549 cells.
The flower buds of Sophora japonica L (SF), as a well-known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 have been used to treat bleeding-related disorders such as hematochezia, hemorrhoidal bleeding,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and diarrhea. However, no specific anti-cancer effect and its molecular mechanism of SF have been described. Thus, we performed in vitro study to investigate if treatment of SF affects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ATF3) expression and ATF3-mediated apoptosis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The effects of SF on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were measured by MTT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against cleave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TF3 activation induced by SF was evaluat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RT-PCR and ATF3 promoter assay. SF treatment caused decrease of cell viability and increase of apopto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CT116 and SW480 cells. Exposure of SF activated the levels of ATF3 protein and mRNA via transcriptional regulation in HCT116 and SW480 cells. Inhibi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 1/2 by PD98059 and p38 by SB203580 attenuated SF-induced ATF3 expression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Ectopic ATF3 overexpression accelerated SF-induced cleavage of PAR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F-mediated apoptosis may be the result of ATF3 expression through ERK1/2 and p38-mediat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화장품 및 화장품 함유 방부제에 대한 병원미생물과 사람의 피부서식세균들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파라벤, 1,2-헥산디올, 페녹시 에탄올과 같은 방부제를 함유한 토너, 에멀젼, 크림, 유아용크림은 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에 대해 강한 방부효과를 보였으며, 파라벤, 1,2-헥산디올, 페녹시 에탄올과 같은 방부제들은 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과 같은 병원균 및 Staphilococcus epidermidis, Shigella flexneri, Enterobacter aerogenes 등과 같은 일부 피부서식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사람의 피부에 페녹시 에탄올 함유 크림을 도포하였을 때, 피부서식 미생물들의 구성이 바뀌었다. 문 수준에서는 Proteobacteria가 증가하였고, 종 수준에서는 4P004125_s가 증가하였고, Propionibacterium humerusii 감소하였다. 이 결과들로부터 파라벤, 1,2-헥산디올, 페녹시 에탄올과 같은 방부제는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페녹시 에탄올을 함유한 화장품은 피부세균군집에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세포 노쇠화(cell senescence)는 나이 듦에 따른 내인성 노화 및 질병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세포의 노화인자 발현, 세포분열 정지 등의 현상으로 일컬어진다. 피부세포의 경우, 노화 및 외부요인으로 인한 세포 노쇠화가 일어나 세포분열의 정지 및 기능 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cordycepin을 이용하여 노화된 피부세포의 세포 노쇠화 억제 및 기능 향상을 유도하여 피부노화 개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사람에서 유래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의 β-galactosidase 활성 세포염색 결과, 많은 계대의 세포에서 발현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알려진 cordycepin을 많은 계대의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β-galactosidase 활성이 확연히 떨어짐을 확인하였고 무혈청 배지 조건에서 많은 계대 세포의 증식 및 생존율을 높이는 결과를 보였으며 세포 노쇠화와 많은 연관성이 대두되고 있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관련 실험을 진행한 결과, 높은 ROS억제능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화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cordycepin의 세포 노화 개선능을 알 수 있었으며, 피부 항노화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재미와 행복은 인간이 추구하는 본질적 가치이다. 게임은 그러한 본질적 가치를 만족시키는 매우 편리한 수단 중 하나이다. 그 수단을 교육에 접목하여, 재미있는 교육을 추구하는 시도들이 활성화되고 있다. 기업과 학교의 인력교육 현장에서 게임의 활용도가 증가하면서, 게임을 접목한 교육방식의 한계와 역효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생기고 있다. 역효과와 한계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이에 대한 극복방안을 모색하여 교육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력교육 현장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교육에 게임을 접목할 경우에 발생하는 역효과와 한계점을 관찰연구를 통해 정리하고, 이에 대한 피교육자의 의견을 인터뷰 형식으로 추가하였다.
기계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같은 인공물은 단순히 도구일 뿐인가? 이미 많은 프로그램들이 인간사용자들을 안내하거나 도와주는 일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행위자(agents) 개념을 사용하여, 인간플레이어와 게임봇의 행위성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게임봇은 상호작용성과 자율성은 물론이고 적응성의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게임수행 동안, 게임봇과 인간플레이어는 서로를 구성하는 사이보그 동료이다. 그런 점에서 게임봇은 정치사회적 존재가 되고 있다. 컴퓨터 환경에서 인간행위자는 인공행위자와의 관계에서 구성되는 사이보그적 존재가 되므로, 그들은 전통적인 인간행위자와는 다르다.
The 21st century belongs to biotechnology as it made profound impact in the field of health, food, agricultur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dia's biotechnology industry is poised to record substantial growth, perhaps even overtake the robust IT industry.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determine the existing HR practices in Biotech Industry and to understand the need for the up gradation in existing HR Policies. Conclusive and descriptive research design has been used. Data is collected from 122 employees in 23 companies of Biotech Industry. It was found that Biotechnology companies require managers with unique qualities. The lack of solid managerial training and the associated risk of failure often have long-term consequences for the careers of research professionals. The efforts to achieve excellence through a focus on learning, quality, teamwork, and reengineering are driven by the way organizations get things done and how they treat people. Biotech industry is trying to establish itself in India for last one decade but is not showing any phenomenal growth because they still do not valuing their human resource as much they should be.
This research is aimed the furthest development of the conception of Human capital formation. The study made on the base of methods of scientific clas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dialectical method and the method of scientific abstraction, systematic and comparative analysis; expert assessment and ratings. Formation of the competitive human capita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modern development of Kazakhstan in condition of the innovative economy construction. In this context the necessity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human capital considerably increases. Realization of this requires definition of a technique of measurement of its cost as well. The authors attempt to calculate the value of human capital for Kazakhstan during independency time. In order to determine the methods of i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different methodological ways for human capital research are studied. On the basi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formation of the competitive human capital can't be considered in a separation from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of system of quality education,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sphere, worthy payment for work.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주변의 작은 생물과 인간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작은 규모의 생물과 미생물에 관한 연상 용어 및 이미지, 이로움과 해로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교육대학 재학생 215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작은 생물을 대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와 연상 단어를 선택하고 서술하도록 구성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초등교사들이 선택한 연상 용어와 이미지의 빈도 및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선택 이유 및 작은 생물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답변하였는가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대상 예비 초등교사들은 우리 생활에서 활용되는 미생물보다 작은 규모의 동식물을 작은 생물의 이미지로 생각하는 빈도가 높았다. 연상 용어는 특정한 생물명과 포괄적인 명칭이 많았으며,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서술하지는 못하였다. 작은 생물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변의 생물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맥락적인 상황을 활용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Purpose – This work aims to study the existing management process and methods of statistical evaluation of personnel mobility management,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in today's market economy because proper organization of personnel movement affects the availability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in enterprises. Hence, it influences the volume, timely execution of work, equipment efficiency, and consequently the volume of production, its cost, profit, and other economic indicato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investigate the indicators that measure staff mobility, and their dependent consequences. Further, it analyses the factors influencing high staff turnover, which is a main indicator of staff mobility.
Results – Measures for staff mobility development and prevention of turnover are proposed. Micom Systems is a sample case that has developed special programs to reduce staff turnover.
Conclusions – Staff mobility leads to additional costs, significant loss of working time, and increase in defects. However, the advantages of staff mobility outweigh these negative factors. The role of staff mobility in a market economy cannot be overestimated.
이 연구는 남명의 신명사도에 나타난 인간 마음의 특징과 그 작용에 대한 관점을 인간정보처리론적 학습심리 관점에서 학습심리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신명사도의 의미와 인간정보처리론과 정보처리모형을 살펴본 다음, 신명사도의 학습심리적 요소와 정보처리모형을 상호 비교해 볼 것이다. 그럼으로써 신명사도가 지니는 학습심리적 함의를 인간정보처리 론에 기초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신명사도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마음의 작용을 통해서 실천적으로 나타나 는 행동을 표현하는 그림이다. 구조적으로는 원곽, 원곽내, 그리고 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신체적으로 눈·귀·입, 두뇌 및 마음, 몸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능적으로는 정보수집, 인지과정, 몸의 행동으로 작용한다. 또한 신명사도는 인간정보처리론적 학습심리의 관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 점을 밝혀냄으로써 본 연구는 서구의 학습심리 이론보다도 무려 400여년이 나 앞서 교육에 활용되었다는 점을 구명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 아볼 수 있다.
신명사도를 인간정보처리론적 관점에서 고찰해 볼 때, 드러낼 수 있는 학 습심리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내적 인지과정을 이해할 수 있 는 학습심리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 둘째 인간의 학습과정에 있어서 효과 적인 학습방략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 그리고 셋째 학습자를 능동적인 정보 처리자로 간주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말채나무는 한국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던 약재이다. 자외선은 피부의 광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손상된 세포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효소처리 된 말채나무잎추출물(CWE)을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CWE를 처리하여 세포의 회복을 조사하였다. UVB를 조사한 섬유아세포에는 caspase-3 활성, phospho-p53, γH2AX, cyclobutane pyrimidine dimers (CPDs) formation, 그리고 DNA fragmentation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CWE를 UVB가 조사된 섬유아세포에 12 h 처리하였을 때 caspase-3 활성, phospho-p53, γH2AX, CPDs formation, 그리고 DNA fragmentation이 감소하였다. 또한 CWE은 인체첩포시험을 통해 인체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CWE는 자외선에 대한 광보호 효과가 있는 원료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3,3'-diindolylmethane(DIM)이 인간전립선암 세포인 PC3 세포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DIM은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24시간동안 DIM으로 PC3 세포를 전 처리한 후 부착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암세포가 부착 시 DIM의 암세포 부착 억제가 전처리에 의한 부착 억제보다 효과적이었다. DIM 은 인간 전립선암세포의 이동과 침윤도 억제하였으며 24시 간 동안 PC3 세포를 DIM으로 전처리를 했을 때도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IM의 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 PC3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가 DU145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DIM은 150 μ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 DIM은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인간 전립선암 세포인 PC3와 DU145 세포의 부 착, 이동,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립선암 전이 억제 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재난관리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미래 기후변화에 따라 예상되는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인적·경제적 피해에 대비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함으로써 폭염 피해를 경감할 수 있는 새로운 대책 발굴 및 중장기적 추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고, 건강, 보건·의료 분야의 화산재 관리기준 및 대응 매뉴얼 개발과 건강, 보건·의료 분야의 화산재 피해경감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삼풍사고 이후 지난 20년간 재난간호역량을 주제로 한 일차적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도하였고, 세월호 침몰 재난 사례분석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방향을 제시하고 해양재난 발생 시 국민의 생명 보호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의 재난안전 대책이 기술과 공법 중심의 하드웨어 대책과 재난안전의 통합적 관리를 지향하는 시스템화에 치중해온 한계를 넘어 재난안전의 사회가치화 전략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자연재해경감을 위한 방재정보 관리의 효율화 방안으로 내용요소, 과정요소, 상황요소로 구분하여 제안코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기후의 변화가 인류의 문화적 문명사에 미친 영향을 역사적으로 새겨 봄으로써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대응할 수 있는 문화적 지혜를 함양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