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시화호내 11개 정점에서 배수갑문 개·폐에 따른 용존산소와 pH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해수유입이 없었던 1997년 3월부터 1997년 5월까지의 용존산소 분포는 대부분의 수층에서 10mg/l이상을 보이고 l1m 이하의 수심에서 5mg/l 이하를 나타냈다. 1997년 6월에 수심 6m 이하에서 무산소층이 나타났다. 강우기동안 배수만 실시했을 경우, 무산소층이 수심 8m에서 6m 이하로 증가하였다. 또한 해수유입 직후의 시화호 내에 잔존하는 무산소층이 해수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급격히 소모시키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러한 현상은 pH7.8∼8.2의 해수와 pH7.4이하의 저층수가 만나게 되어 산화작용을 촉진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해수유입이 크게 증가된 1998년 1월에는 전 수층의 용존산소가 10mg/l 이상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시화호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여름철에는 염분약층이 생성되지 않도록 해수의 유출량과 유입량을 늘리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제휴의 궁극적 목적인 기업가치 향상에 전략적 제휴가 과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체적,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략적 제휴를 도입하려는 기업과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보다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회계 및 재무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건연구방법(event study approach)을 이용하여 기업의 전략적 제휴 공시가 주가에 근거한 기업의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분류하고 있는 여러 가지 전략적 제휴의 형태 및 특성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추가로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본시장은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전략적 제휴의 공시에 대해서는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지만(가설 1), 기술제휴와 시장제휴로 구분한 경우에는 시장제휴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재료로 작용하는 반면 기술제휴는 좋은 재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가설 2), 전략적 제휴에 있어서 파트너 기업보다 규모가 작은 기업의 초과수익률이 파트너 기업보다 규모가 큰 기업의 초과수익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3). 그러나 전략적 제휴 파트너기업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관련기업과의 제휴이든 비관련기업과의 제휴이든 자본시장의 반응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4).
Because of the inherent flexibility in their design for improved material properties, composites have wide applications in aerospace vehicles and automobi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CFR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tubes on static and impact tests. Static compression test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the static testing machine(Shin-gang buckling testing machine) and impact compression test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the vertical crushing testing machine. When such tubes were subjected to crushing loads, the response is complex and depend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ifferent mechanisms that control the crushing process. The collapse characteristics and energy absorption were examined. Trigger and interlaminar number affect the energy absorption capability of CFRP tubes.
1997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시화호내 11개 정점에서 장기간 관측한 수온, 염분 자료를 이용하여 배수갑문운용에 따른 시화호의 물성변화를 파악하였다.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통이 없었던 1997년 3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시화호내의 염분은 15psu 이하로 나타났으며, 약 11m 수심을 경계로 염분에 의한 강한 성층이 관측되었다.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입이 시작된 1997년 7월에는 태양복사열의 증가로 표층수온이 급격히 상승하여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가 약 10˚C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1997년 10월∼12월에는 표층에 비해 저층 수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온역전현상이 발생하였다. 1997년7월 배수갑문 개폐시기를 전 · 후로 배수갑문 내측에 위치한 정점에서 장기간 수온, 염분, 유속 및 유향을 조사한 결과, 해수유입시 수온과 염분이 대칭적인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외해로부터 해수 유입시마다 저온, 고염의 해수가 시화호 내로 유입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1998년 1월 이후에는 지속적인 배수갑문 개폐의 영향으로 시화호의 염분이 30psu 이상으로 해수화되었으며, 배수갑문 개폐 이전에 비해 성층이 크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샤피 V-노치 충격 하중-변위 곡선으로부터 얻은 균열정지하중을 이용하여 원자로압력용기강의 균열정지파괴인성(KIa)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그 타당성을 고찰하였다. 샤피충격 하중-변위 곡선으로부터 얻은 균열정지하중값의 변화는 특성온도로 보정된 지수함수의 형태로 잘 표현될 수 있었다. 특성온도 TPa=2kN은 실험적인 무연성천이온도(TNDT) 및 T41 J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원자로압력용기강의 균열정지파괴인성을 표현하는 새로운 특성온도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균열정지하중값의 변화는 파면으로부터 측정된 안정균열길이의 변화와 매우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무딘 노치를 갖는 시편에 대한 계장화샤피충격시험을 통하여 균열정지하중 및 안정균열길이를 측정하믈써 비교적 정확하게 원자로압력용기강에 대한 하한값의 파괴인성치(KIa)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critical fracture energy and failure mechanisms of GF/PP composites are investigated in the temperatures range of the ambient temperature to -50℃ The critical fracture energy increase as fiber volume fraction ratio increased The critical fracture energy shows a maximum at ambient temperature and it tends to decrease as temperature goes up. Major failure mechanisms can be classfied such as fiber matrix debonding, fiber pull-out and/or delamination and matrix deformation.
An attempt was made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for in-flight catering service. The custo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impact 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were examined for a group of customer. 474 customers who have been used the airplane within 1 year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software program (version 6.01) for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ervice Quality in In-flight catering was assessed on the basis of 18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5 dimensions derived from a factor analysis. After comparing customers' perception to customers' expectation regarding in-flight service quality, the quality of dimensions for 'meals', and 'sanitation' were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 expectation for dimensions of 'diversity of menu', 'providing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concern to the customers' were ra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ception for those. 2.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gender had highly influences on the customers' expectation and perception regarding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3. The korean food that the customers wanted to have for in-flight meals was investigated. Among the kinds of gruel(jook), abalone gruel(jeonbok-jook), pumpkin gruel(hobak-jook), and pine-nut gruel(jat-jook) were chosen to have for in-flight korean meals. It was rated that the preferences for beef soup(sogogikook), hot spicy beef soup(youkgaejang), brown sea-weed soup(miyoukkook) were higher than others in soup group. The preferences for boiled rice with assorted mixture(bibimbab) showed the highest and beef and rice soup(seoleongtang), boiled rice with four the staple cereals(ogogbab) were preferred higher than the others in main dish group. Bulgogi was rated the most popular dish. Korean style punch with omiza(whachae), sweet rice dish(yaksik) and fried glutinous rice cake(gangjeong)showed high preferences in dissert.
본 연구는 등방탄성체에 고속충격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에 관한 것으로 대상구조는 여러 가지 모양의 2차원 평면구조를 택하였다. Galerkin 방법을 이용하여 유한요소 정식화하였으며 직접시간적분법에 의해 수치해를 구하였다. 본 해석에서는 균열이 없는 평판으로 수치해와 이론해를 비교하여 수치해의 신뢰성을 확인하였으며, 0°, 30°, 45°경사 균열이 없는 평판에 적용한 3가지 예를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는 이론해의 결과와 상호 잘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 충격흡수의 효율적인 기하형상이 연구되었다. 일반적으로 충격흡수재는 골판지, 스폰지, 종이, 고무등으로 제작된다. 에너지 흡수거동에 대한 종이 충격 흡수재의 보강형태, 크기., 재료 특성에 대한 영향이 ABAQUS/Explicit5.5에 의한 유한요소 해석과 미끄럼 충격시험을 통해 연구되었다. 종이 충격 흡수재의 최대 변위는 충격속도에 따라 증가하며, 내부단수에 따라 감소하였다. 충격이력 특성은 내부단수가 7단일 때 5 msee까지 급속히 변형되며, 그 이후에는 영구변형으로 존재한다.
본 연구는 1985년부터 1995년 사이에 주식 관련 해외증권 발행을 한 127개의 한국 기업을 중심으로, 해외증권 발행 공시가 주가의 시장 조정 초과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해외증권의 발행 공시는 공시 바로 전 주의 초과수익률에 유의적으로 (+)의 형태로, 공시 직후에는 (-)의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분석 기간에서도 공시전 주가 상승, 공시 후 주가 하락의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 또한, CB보다는 BW나 DR의 발행이 보통주보다는 우선주에 연계된 증권 발행이, 소기업보다는 대기업의 해외증권 발행이 주주의 부에 보다 정(+)의 효과를 가져다 준다는 점도 발견되었다. 연구 제안으로서, 한국증시의 공시제도의 문제, 정보의 사전 유출 가능성 문제, 그리고 특히 소형주의 경우에 많이 나타나는 내부자의 사전 거래 가능성 문제들은 우리 주식시장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향후 정책 마련에 참고가 될 문제점으로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