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초반부터 연안준설 사업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고, 기타 연안개발 사업과도 중첩되어 준설토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변해역에 대한 환경 영향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2011년 제출된 해역이용협의서 중 준설이 포함된 사업의 해수 및 해저 퇴적물에 대한 해양환경영향평가 현황을 파악하였다. 해양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일반 항목들의 조사 비율은 대체로 높은 반면,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의 경우에는 세부항목들 간 조사 비율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중금속 분석 시 협의서 작성 지침에 따른 전처리 과정(완전 분해)과 분석 방법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 또한 작성 지침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결과값에 대해 신뢰도 확보를 위한 검증(회수율 및 검출한계 산정) 수행 현황도 매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 인해 연안 준설 및 개발에 따른 주변 해양환경영향평가가 부실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해양 수질 및 퇴적물 환경에 대해 보다 엄정한 평가와 진단을 위해서는 협의서 작성에 관한 세부 지침의 보완이 요구되며, 해역이용협의 제도의 개선을 통해 정확한 해양환경영향평가가 수행되도록 협의서 작성지침의 준수 의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해안 항만 및 어항 개발 사업에 따른 해양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동해안의 항만 및 어항 개발 사업에 따른 일반해역이용협의서 33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해안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해류, 파랑, 수심측량 자료의 경우 각각 3건, 12건, 16건 만이 조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동해안에서 시행되는 항만 및 어항 개발사업의 경우 서해, 남해와는 다른 동해안의 해역특성이 고려된 해양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동해안은 조석의 영향이 약하고 해류, 취송류, 파랑의 영향이 우세한 해역으로 동해안의 해수유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류의 영향을 고려해야하고 항내 정온도 및 방파제 기능성 및 안정성 등 협의대상사업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파랑을 평가항목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해안에 발생되는 항내매몰 및 해안침식의 문제점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해빈류를 표사이동의 기본외력으로 설정해야 하고 인근 하천에서의 토사유입과 해당 해역의 정확한 수심자료를 수치모델링의 검증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덕유산 국립공원의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식생의 구조를 정량화하는 지수로 널리 이용되고 있 는 LAI에 대한 지형적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식생의 분포와 구조에 영향을 주는 해발고도, 지 형경사, 사면향, 그리고 토양 수분조건을 설명변수로 하 고 엽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를 반응변수로 하 는 회귀분석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 체적으로 LAI와 지형요소의 상관관계는 0.5 미만으로 비 교적 낮고 지형고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와의 상관성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상관 성 방향성을 보면 주로 고도가 높고 경사가 급하고 토양 의 수분상태가 낮은 지역일수록 LAI 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특성에 따른 LAI 분포에 대한 영향을 평가 하기 위해 지형요소의 조합에 따른 회귀분석 결과 지형 고도가 모든 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로 나 타났다. 지형고도의 변수만을 고려한 경우보다 경사와 사 면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경우 LAI 변화량을 설명하는 데 보다 더 잘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지형습윤지수(Topographic Wetness Index, TWI)는 LAI 분포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에서 유도된 결과는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덕유산 국 립공원 산림식생 LAI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영상자료의 분광 반사율과 지형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면 보다 높은 정확도를 갖는 LAI 분포를 예측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n the ado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ix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the Daegu-Kyungbuk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552 families and teacher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Identification of eating habits began with a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 five-factor solution. Among the five patterns, factors 1 and 2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behavior problems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Further, food preferences of th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adoptive behavior probl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indicate that eating habits as well as food preferences are important factors in identifying adoptive behavior problems in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children are provided.
미소갑각류 군집과 이화학적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 기 위해 우포늪에서 2001년부터 2010년 동안 2주 간격 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시간 동안, 총 10속의 지 각류가 동정되었으며, 서식 형태에 따라 구분된 부착성 지각류(Alona, Camptocercus, Simocephalus, Diaphanosoma, Sida)와 부유성 지각류(Bosmina, Ceriodaphnia, Daphnia, Moina, Scapholeberis)의 연 출현이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유성 지각류는 봄과 가을 시기에 높은 밀도로 나타났으며, 부착성 지각류는 여름 시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였다. 요각류 성체와 유생 또 한 부착성 지각류와 유사한 계절적 분포 경향을 나타내 었다. 부유성 지각류는 강우량과 이화학적 요인과 상관성 을 보이지 않았으나, 부착성 지각류는 이화학적 요인 중 수온과 뚜렷한 상관성을 보였다(n=120, p⁄0.01). 특히 부착성 지각류 중 Chydoridae는 강우량 및 수온과 양의 상관관계를(n=120, p⁄0.01), 용존산소와 전기전도도와 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n=120, p⁄0.05). 요각류 군집은 강우량(n=120, p⁄0.01) 및 수온(n=120, p⁄0.05) 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우포에서 강 우량은 미소갑각류 군집 분포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낙하하는 직사각형 해양구조물(800×250×50mm3)의 슬래밍 충격압력 및 유동특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동장의 계측은 2-프레임 그레이레벨 상호상관 PIV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자유낙하하는 모델의 충격압력은 압력계측장비(Dewatron)를 이용하였다. 모델과 자유수면간 이루는 각은 10˚와 20˚를 적용하였다. 속도장은 접수보다 이수에서 빠른 유동특성을 나타냈다. 모델 하부에서 충격압력이 가장 높은 지점인 P2 지점에서 10˚보다 경사각이 큰 20˚에서 약 6 % 상승하였다.
연안 해상 바람 자원 평가에 적용되는 해상풍 위성자료 동화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위성자료는 미항공우주국의 QuikSCAT과 유럽우주국의 ASCAT이다. 해상풍 위성자료 동화과정은 연안지역 바람 자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주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QuikSCAT의 관측 가능한 빔폭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QuikSCAT 해상풍 자료를 동화하여 제시된 연안 바람장이 ASCAT를 사용한 바람장보다 약간 높은 정확도를 제시한다. 그러나 센서의 직하 부근의 바람장은 상대적으로 ASCAT의 예측 정확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해상풍 위성자료의 동화효과는 6시간 정도 지속되기 때문에 정확한 연안지역 바람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공간해상도뿐 아니라 시간해상도가 높은 해상풍 위성자료 동화 과정이 필요하다.
Traditionally Chinese educators have held the view that the repeated writing of characters and the detailed memorisation of the shape and strokes of each character is the most effective way for children to learn Chinese. The danger is that there is often insufficient emphasis on using the characters in a meaningful context, with many students forgetting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and losing interest in learning. The study looked at the effect on learning of encountering Chinese characters within semantic networks that emphasise the meaning of the words and the acquisition of a Chinese lexicon of clusters of related words. 181 students aged 3-6 years in Kindergarten 1,2 and 3 took part in the study, evidence about the impact of the new approach and lesson activities on learning being gathere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Quantitative analyses involved comparing pre-and post test scores using dependent t-testing to examine prior and after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The qualitative evidence was assembled from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through the systematic observation of lessons. Students in all three age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mental lexicon of groups of associated words. Qualitative analyses indicated that all of the students had improved their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had become more active learners. They were more efficient language learners and knew much more about the semantics, phonology and graphics of Chinese characters.
In this study, we randomly select two urban primary schoolsin Beijing, Zhejiang, Jiangxi and Shanxi, and two classes of students fromeach of the 1-6th grade from each school. We test the students ’recogniz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y on their major languagetextbooks and extra reading materials and also give them relatedquestionnaires, aiming to search the impact of network towards Chineseprimary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Chinese characters.
얼굴 자극의 성별 및 종족과 라인업 절차에 따른 얼굴 인식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 사용된 자극은 동남아시아인 및 동북아시아인 남성의 정면 얼굴 이미지였으며 얼굴 자극의 종족과 실험참가자의 종족이 동일할 때 얼굴 인식이 향상될 수 있는지(동종족 우세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2에서는 동북아시아인 남성 및 여성의 정면 얼굴을 자극으로 사용하여 참가자와 얼굴 자극의 성별이 같을 때 얼굴 인식이 더 정확한지(동성별 우세효과) 알아보았다. 두 실험에서 실험참가자는 모두 동북아시아인이었으며 라인업 절차의 동시제시 조건과 순차제시 조건을 사용하여 얼굴 자극 제시 방법에 따른 차이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동종족 우세 효과와 라인업 절차에 따른 얼굴 인식 정확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표적이 동남아시아인 자극일 때 얼굴 인식 정확률이 높았다. 흥미롭게도, 동성별 우세 효과는 여성 실험참가자에 한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얼굴 인식이 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dvancement in technology and availability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 technology and the Internet made meaningful interaction possible in both on and offline environments, which is referred to as blended learning. Blended learning has recently begun to gain popularity in ELT, and appropriate models of blended learning need to be developed for EFL classroom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attempts to investigate its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blended learning in the field of ELT, especially in relation to English language skills and subskill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spectives and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in English pronunciation skills, and to explore gender differences in blend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173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quantitative data including questionnaire and pre-experiment were collec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erspectives in blended learning, its components, and tools were very positive. Second, blended learn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pronunciation skills. Third, there were few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found regarding social aspects of online interac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are provided.
Restaurant managers seeking to maximize revenue should look carefully at how long their tables are occupied and how much the average diner spend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ustomer's party size on restaurant revenue. The dining periods were divided into 2 types (lunch vs. dinner/weekdays vs. weekends), which were combined to show the average spending per minute (SPM), to determine if the dining periods have measurable effects on the dining duration and average bill. The results show that the dining duration for dinner was much longer than that for lunc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ning duration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On the other hand, customers in larger parties at lunch time had a higher SPM than those in smaller parties. A larger customer party size was associated with a longer dining duration for dinner and on weekdays. During all operating periods (lunch, dinner, weekdays, weekends), the party siz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mean spending per minute. For restaurant managers, these findings suggest opportunities to increase revenue and adopt revenue management strategies.
Voltage-dependent anion channel (VDAC) is mitochondrial protein of all eukaryotes. It has been reported that VDAC is a large voltage-dependent channel, regulation of ion (including Ca2+), and transportation of various metabolites. Ca2+ is an important factor in sperm function. In our previous study, we found high frequency of VDAC2 expression in spermatozoa from low-fertility bulls. However, to date,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on its effects on male fertility.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DAC and Ca2+ on sperm function in vitro. To achieve this, four treatment conditions were established with or without Ca2+ and VDAC inhibitor, namely, 4’-diisothiocyano-2,2’-disulfonic acid stilbene (DIDS). Spermatozoa from adult ICR were collected and released into modified Tyrode’s salt media. And then, they were incubated in the different media with or without Ca2+and DIDS for 90 min at 37℃ in 5% CO2. Intracellular pH ([pH]i) and Ca2+ ([Ca2+]i) were measured by their fluorescent indicators, 2,7-bicarboxyethyl-5,6-carboxy- fluorescein acetoxymethyl ester (BCECF- AM) and fura-2 AM, respectively. Western blot of extracted sperm proteins with an anti-phosphotyrosine antibody (pY20)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yrosine phosphorylation after sperm incubation in different treatments. To evaluate the fertilizing ability after treatments, in vitro fertilization was performed. DIDS significantly decreased [Ca2+]i regardless of Ca2+. [pH]i was efficient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Ca2+ and/or DIDS. However, the highest decrease of pH level was observed under the presence of DIDS and the absence of Ca2+ in culture condition. Tyrosine phosphorylated protein 1 was significantly different under all treatments. However, tyrosine phosphorylated protein 2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nder the presence of DIDS. Fertilization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under the presence of DIDS. Blastocyst formation was significantly altered different to compare to control and each treatment group. Therefore it suggests that a voltage-dependent anion channel may involved paramount importance in regulation of male fertility.
This study presents how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PD) of K-12 teachers affects participants' use of the earth system approach and their perceptions of using the urban environment for their science teaching and lesson unit development. This study utilized mixed methods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Eleven urban teachers' pre-post lessons (45 lesson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a lesson plan analysis tool, modified by the author, and their lesson reflection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D program influences the teachers to choose more topics and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earth system approach and to assess the topics and content knowledge with more appropriate methods. Specifically, the teachers use more urban environmental factors/topics in their post lesson to teach the environmental topics of urban area. However,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pre-and postlesson plan scores, the accuracy of the earth system knowledge that participants used in their lesson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p〈0.05) (Table 4), which means that the PD program did not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s content knowledge in earth system scienc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