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

        6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워샵의 활성화에 대한 기초 자료 확보 측면에서 소비자 남성 58명과 여성 155명을 대상으로 플라워샵 상품의 가격, 포장, 선물용 및 판매자의 태도에 대한 만족 도와 재구매 의사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플라워샵의 상품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은 남성과 여성 각각 8.62% 및 14.21%를 나타냈다. 그리고 꽃 상 품의 포장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은 남성과 여성각각 6.88% 및 12.91%를 나타냈다. 꽃상품에 대해 선물 로서 ‘만족한다’는 응답은 남성과 여성 각각 8.61% 및 1.95%를 나타냈다. 플라워샵의 상품 판매자의 태도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남성과 여성 각각 6.89% 및 6.46% 를 나타냈으며, 플라워샵 상품의 재구매 의사가 있다고 응답은 남성과 여성은 각각 5.16% 및 9.05%에 불과 하였다. 이와 같이 플라워샵에 대한 소비자들의 만족도 가 낮게 나타난 만큼 플라워샵 경영주의 적극적인 대 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2.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학은 그 특성상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세계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자유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 보이지 않는 마음의 세계를 설명할 수 있는 몇 가지를 동원하고자 한다. 깨어있는 마음의 상태를 문제를 푸는 과정과 접목시키고, 무한의 관점에서 마음의 자유성을 도입하며 동치관계, 벡터의 방향성, 차원이동 등의 이론들을 통하여 마음의 성질을 규명하고 실제 삶으로의 접근 방법을 모색한다. 특히 알아차림의 상태가 마음을 조정할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에 주안점을 두고 삶에의 적용방법까지 연구영역으로 한다.
        4,300원
        63.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典故是在詩文中引用的故事和由來歷出處的詞語。用典能够借古明今, 以便更簡潔, 更形象, 更充分地表情達意。劉勰≪文心雕龍≫運用了大量的典故。書典故的運用, 爲表達內容服務, 增强了理論闡述的形象與說服力。 典故采用多種技巧和方法, 顯現了騈儷文語言的精美, 華美, 典雅。≪文心雕龍≫中的用典, 或照錄原文, 或改以用之, 或剪裁融化, 或重新造句, 或用整句, 或用詞語, 都經過劉勰理性思維的縝密過濾和修辭硏究的慘淡用心。全書的用典, 形式多樣, 異彩紛呈。旣携帶着原典本身的精思巧義, 更顯出作者再創作的妙見卓識。旣保留了原典語言的叡智和哲理, 又凹顯出騈文語言的華美典雅。這種仰山鑄銅, 煮海爲鹽的創造功夫, 這些巧妙用典形成的佳構透句, 充分顯示了劉勰創作騈文的高超技巧和用典自如的傑出才華。典故是包含豊富思想內涵的歷史遺産, 也是溝通古今人心文心的精神橋梁。運用典故寄託着作者的願望和感情。劉勰在<序志>篇中深情地慨歎, “文果載心, 余心有寄。” 他是寄心于≪文心雕龍≫的。他在闡述“爲文之用心”的過程中, 也把自己的人生追求表達得明確而充分。從用典中可以淸楚地了解到他的思想, 抱負和心境, 用典展示了劉勰的文化心態和人生追求。
        5,500원
        6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1학년 지구과학 수업에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김해시에 소재한 공립 K고등학교 11학년 2개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주에 2시간씩 10주 동안, 실험집단에는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집단은 3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대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후에 사후검사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검증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t-검증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4,000원
        6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searches and analyzes the image of Iseult Gonne in some of Yeats's poems. It is not difficult to locate Iseut's images in most of the poems that contain her image, except the poem, "Long-legged Fly." In this poem the young girl at puberty practicing a tinker shuffle picked up on a street is said to be Maud Gonne, as definitely noted by Jeffares. But this paper claims that she is Iseult Gonne on the basis of Yeats's recording what he has witnessed, the young girl barefoot dancing and singing, thinking that nobody is looking at the edge of the water and sand at Normandy. And one of the important poems that immortalizes Iseult is "To a Child Dancing in the Wind," singing what's permanent in the present Iseult, against the passing of life and time. This concern deeply permeates most of Yeats's Iseult poems, as one of them being "Two Years Later" and another is a poem, "Why Should Not Old Men Be Mad?" (written in 1936, three years before he died in 1939) in which the poet calls Iseult's husband a dunce, because Yeats loves and pities Iseult so much. To Yeats and in his poems, Iseult Gonne symbolizes eternal beauty or something that should remain for good. Not only that, but also the most beautiful and strongest of Iseult Gonne poems is "Owen Aherne and his Dancers" written immediately after Yeats's marriage to Georgie, with two sections, once the first being called "The Lover Speaks" and the second "The Heart Replies." As the image of dance indicates, it is about Iseult Gonne, with Yeats in disguise. It signals a new beginning for Yeats in relation to his poetry and to his life-long love Iseult.
        6,900원
        66.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는 이집트의 象形文字, 메소포타미아의 楔形文字와 더불어 문자의 3대 起源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두 문자와 달리 오직 漢字만이 原始文字 형태인 회화성을 유지하면서 통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한자의 특성인 회화성을 살려 漢字 敎授-學習의 초기 단계인 부수를 익히게 하여, 학습자에게 관심과 興味를 유발시키고, 보다 科學的이고 體系的인 敎授-學習 方法을 구안하였다. 또한, 부수의 의미를 파악하고 익힘으로 말미암아 한자 교육에 도움을 주려는 目的으로 제작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서 영상세대에 맞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授業媒體를 계발하고 漢文·漢字에 대해 어렵고 고루하다는 인상을 가지고 있는 많은 학습자들에게, 이 수업은 認識을 轉換 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리라 본다. 또한 그림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親密感을 가질 수 있는 情意的 領域과 부수를 논리적으로 익힐 수 있는 知的 領域도 고려한 것이므로 一石二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VTR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그림을 통하여 部首字의 構造와 字源을 視覺的·直觀的으로 이해하여 字義를 파악하게 하였다. 둘째, 쓰기 敎材는 독특한 교수 -학습 方法으로 그림 위에 글씨를 쓰게 함으로서 학습자들에게 신중성과 성적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자원 설명만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보충하는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마인드 맵에 의한 部首 指導는 漢字의 뜻을 槪略的으로 이해하고, 字典을 찾는데 도움을 주었다. 교수-학습 교재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아쉬움이 있으나,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硏究를 하여 보완해 보려고 한다. 본 硏究가 漢文授業에 다소 나마 긍정적 영향을 주고, 성적향상에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6,400원
        6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인드 맵의 채점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평택시 소재 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마인드 맵 작성 기초 훈련을 받고, 과학 단원 2개를 배우는 동안 마인드 맵 4개를 작성하였다. 마인드 맵을 채점하기 위해서 채점기준을 개발하였다. 채점기준의 채점자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표집한 마인드 맵을 초등 현직 교사 3인이 채점하고, 채점자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중심원, 가지, 표현의 세 영역으로 구성된 마인드 맵 채점 기준을 개발하였다. 채점 기준의 신뢰도는 높음에서 매우 높음의 범위를 보였다.
        4,000원
        68.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의 적응적인 마음상태는 긍정적/부정적 사고의 상호작용에서 자기 고양적인 방향으로 편향된 비대칭성을 가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긍정적/부정적 인지, 정서의 균형에 대한 심리 수학적 모형인 SOM 모형을 감성판단 영역에 적용하여 보았다. ,iOM 모형은 개인이 긍정적, 부정적 감성의 이분법적 판단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6B의 비율을 유지한다고 제안하며, 이러한 비율은 고대수학의 .6)0 ,.182의 황금분할비와 일치하는 것이다. 32명의 일반성인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긍정적/부정적 감성단어에 대한 자기 관련성 평정의 SOM 비율은 .62(SD=.On)로 나타났으며, 우연회상 과제수행의 SOM 비율은 .18(SD=.34)로 이론적 기준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상관분석에서 개인의 10M 비율은 긍정적/부정적 감성단어에 대한 평정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적 균형비의 의미와 감성과학 분야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4,000원
        6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Yeats의 Autobiographies에 나타난 시정신의 성장 과정을 추적한다. 시와 시인을 별개로 볼 수 없다는 전제로, 그의 자서전을 면밀히 검토한다. 논문의 앞쪽은 자서전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추적한다. Yeats의 자서전은 다른 자서전과는 많이 다른 것으로 이해된다. 즉, 여러 권의 자서전적인 글들로 구성되어 있다. Reveries에서는 자신의 어린 시절은 대체적으로는 연대순으로 런던, 더브린, 슬라이고, 등을 오가면서 체험했던 것들을 기록했고, 가장 긴 부분인 The Trembling of the Veil에서는 journal형식의 글을 다듬어서 자전적인 글로 다듬은 것이고, Dramatis Personae 역시 journal을 다룬 것이나 주로 극작 및 극운동과 관련 된 글로 되어있고, 1908년 이후에 쓰여진 journal entry들에서 선정하여 Estrangement와 The Death of Synge을 쓴다. 그리고 마지막의 The Bounty of Sweden의 글은 1923년 Sweden에서 노벨문학상 수상 때의 그 나라에 대한 인상을 적은 글이며, “The Irish Dramatic Movement"는 Yeats가 수상당시의 수상연설문이다. Autobiographies는 젊은 작가들에게 많은 영감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Yeats가 추가하고 있는 것은 인생 그 자체를 어떻게 예술로 표현할 것인가를 온 몸과 마음으로 고뇌한 작가로 드러나 있다. 그의 자서전은 진솔한고 진지한 자기모색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우리에게 가깝게 다가온다. 또한, 그의 자서전이 쓰여지는 과정은 인생의 모든 향기와 땀과 고뇌와 이상과 꿈이 뒤엉켜있다. 그의 자선전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다양하다. 저명한 인물들의 이름도 많이 오르내리고 있으나, 정작 상당한 양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들은 거의 무명이다. 이들은 그의 자서전 속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이것은 바로 Yeats의 인생을 대하는 태도 때문이다. 그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Yeats의 본 모습이 들추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Yeats의 자서전의 특징은 수없이 굽고 휘감긴 오솔길과 같다. 인생이란 그런 것 아닌가. 그가 항시 염두에 두고 추구한 것들은 Life, art, imagination, speech, tradition이었다. 문학에서 이 요소들 중 어느 하나가 부족해도 온전할 수 없다.
        5,400원
        71.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eats thought that man is an imperfect being and tried to achieve self- perfection all his life. Unlike the romantics, however, who tried to achieve Godlike perfection through abstract imagination while ignoring the world of sense, Yeats tried to achieve a secular perfection of mankind through realistic imagination that recognizes the world of sense. He aimed to create a style in literature as well as re-create himself in a style which would harmonize with this literary style. Therefore, his individual development is associated with his artistic development, and his perfection as a human being is reflected in his art of perfect style. His poems can be said to reflect the transformation of his maturing self respectively. This study aims to pursue the development of his self through the images and symbols in his poetry. In his early period, images such as fairies and the legendary hero reflect his weak and feeble self which escaped into an unrealistic world from the actual world. On the other hand, the images of the middle and late periods, such as the hollow moon, Lady Gregory, the chestnut tree and old men reflect his mature self which accepted the actual world. His self and art were transformed and developed from a weak state to a mature and hard state. It was the dynamic imagination and will of the poet that drove the development of his self and art. Therefore, W. B. Yeats can be called a creative poet.
        6,600원
        73.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이탈리아의 ‘FCL(Future Concept Lab)’의 12 마인드 스타일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키덜트 (Kidult)’라는 문화에 대한 아이콘 그래픽 디자인을 제시한다. 12 마인드 스타일의 이론은 기업이나 단체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필요한 요소이다. 12 마인드 스타일은 인간의 마음과 행동 양식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향후 기업이나 단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이 마인드 스타일을 바탕으로 기억성, 흥미성, 독립성, 대중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아이콘은 단순 이미지의 아이콘이 아닌 ‘모듈(module)’이라는 방법으로 이미지를 나타냈다. 이 아이콘디자인을 통해 12 마인드 스타일을 이해하여 향후 트렌드와 문화를 보는 시각을 넓히고자 한다. 모든 것을 만족하면서도 동시에 다양한 영역에 걸쳐 공통적인 요소를 확립하고 반복되는 방법으로도 트렌드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시각 언어인 아이콘은 커뮤니케이션 그래픽 기호라고 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단순화된 아이콘 디자인은 특정한 의미 전달의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어 향후 환경, 실내, 건축, 시각 등 다양한 분야 분야에서 이용 가치가 있다.
        74.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끈기(grit)가 높은 초등학교 운동선수들은 역경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발견하여 기술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문화 기술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초기에 211명의 학생이 끈기(grit)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측정하는 테스트에 참여하였고, 이중 상위 16%(SD=+1 이상)에 해당하는 34명이 잠정 연구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연구자는 이들 중 역경을 체험했는가를 알아보는 3개의 문항에서 1개라도 ‘예’라고 답한 19명을 최종 연구참여자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 집단 초 점면담, 그리고 관찰을 시행하여 자료를 모으고 Spradley(1979)의 분류 분석 방법을 채택하여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자료 분석결과 5개의 영역이 발견되었으며 이들 영역은 ‘용기’, ‘성취 지향’, ‘장기 목표와 인내심’, ‘회복력’, 그리고 ‘탁월함 추구’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중요한 교훈은 초등학교 운동선수들이 자신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을 실패했을 때 이들과 그에 관해 무엇을 배울 수 있었는지를 대화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75.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성태영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영남에서 살았던 유학자이다. 나라는 망하고 유학은 몰락하던 시절, 도도하게 밀려오는 신학문의 도전에 맞서 옛 학문의 가치를 부정하지 않고 보수하고자 노력했다. 곽종석을 통해 전수된 위정척사의 학문과 심설은 시대의 흐름을 조망하면서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잃지 않도록 한 힘이었다. 또한 그는 스승을 통해 전통 학문과 신학문의 조화에 대한 관념을 얻었다. 이에 본고는 그가 시대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면우의 가르침이 무엇이었는지를 먼저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격동의 시대를 산 그에게 자기 정립이 중요하였기에 성리학에 토대를 둔 자아 인식의 내용을 살펴보았고, 면우학단에서 배운 심법이 이것에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변절하지 않는 데에는 성리학과 심법이 큰 기여를 하였지만, 그들의 세계 독해에는 한계가 있어 도래하는 새 시대에 대한 대응에는 실패하였음을 논하였다.
        7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선시대 유학자들에게는 일상에서 유학 덕목을 실천하는 기초였던 심신관리는 修身이며 이를 養生, 養心이라 하였다. 종래 남명학 연구에 서 남명이야 말로 자기수양에 철저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남명과 그 문파들의 수신 즉 심신관리의 지혜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다. 본고 는 덕천서원 유생들의 심신관리 지혜의 모태를 남명이 찬술한 성리학 요약서인 學記類編, 또 남명과 그의 제자들의 행적에서 찾고자 하였 다. 조선시대 성리학적 질서에서 의학은 도덕적인 수양을 방해하는 잡학 이자 자기 몸을 보존하고 부모님께 효를 다하기 위한 일상적인 기술로 취급되었고 이는 유학이 시작된 중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유 학과 의학은 태동과 발전의 역사에서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특히 송 대 신유학에서 신체원리와 병리현상의 개념이 적극 수용되면서 의 학의 생명적 세계관이 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었다. 이러한 송 대 신유학의 생명적 세계관이 반영된 글이 성리대전과 당대 유학자 들의 言表들인데 학기유편에서는 주로 이들의 글이 인용되어 있다. 학기유편에 근거한 생명적・역동적・실천적 세계관은 곽재우, 정인 홍, 김우옹, 정구 등의 예와 같이 행동하는 삶의 바탕이자 보이지 않는 계율로 작동하였을 것이다. 남명의 심신관리와 치병에 관한 행적은 주로 남명집에서 확인되었 다. 남명은 몸을 다스리기 이전에 마음 수양을 기초로 보고 ‘좌우명’, ‘패검명’, ‘혁대명’ 등을 지니고 '‘神明舍圖’를 붙여놓고 평생 ‘銘’으로 삼아 실천하였다. 또 남명은 정신을 한 군데에 집중하고자 항상 정좌수 행과 猩猩子의 쇠방울 소리, 敬義劍의 날카로운 형태를 통해 수시로 의식을 각성시키는 등 특별한 무언가를 갖추고 행하는 심신수양의 방 법을 보여주었다. 남명이 일생동안 겪은 질병에 대해서는 9세 때 사망 직전에 이를 정도로 심한 질병을 앓았다는 것이 연보의 기록이고 문집에서는 거의 40대 이후의 질병과 치료에 관한 내용이 있을 뿐이다. 다만 20년 가까 이 반복적으로 기록된 내용을 통해서 남명의 현기증과 두통이 고질적 지병으로 확인되었다. 남명의 성정은 자신은 물론 일상다반사에 대해 지극히 엄정했다. 이와 같은 그의 성정이 만성적인 피로감과 두통으로 이어진 것은 아닐지 추측해 보았다. 남명은 약재를 구하거나 약을 짓는 등 본인과 가족의 질병에 대해 직접 치료를 행했던 것으로 나타나 그의 행장 등에 기록된 다양한 분야 에 관한 능통하고 의약도 섭렵했다는 구절과 다르지 않았다. 남명과는 동시대를 살면서 서로 다른 학문관과 출사관을 가졌던 퇴계와 심신관 리, 의료행적을 비교해 보았다. 퇴계 본인은 물론 지인들에 대해 행한 다양한 의료 행적이 전하지만 오늘날 유학자의 양생서로서 가장 널리 알려진 활인심방의 편저하기도 하였다. 퇴계 뿐 아니라 16세기 이후 에는 유학자들의 다양한 양생서가 저술되었다. 그러나 남명 문하에서 는 망우당 곽재우의 양심요결이라는 제목만 전하고 있을 뿐 이렇다 할 양생서는 전하지 않는다. 남명의 문인 중 한강 정구는 의서저술과 대민의료시설 재건 등을 통해 修己와 安人의 실천의지를 보여주었다. 한강은 의서 외에도 대민 구제를 위해 성주의국을 설치하였다. 성주의국은 임진왜란 후에 피폐 해진 의료시설로 한강은 이를 재건해 대민의료의 기반을 갖추고자 하 였다. 한강은 60대에 이르러 개인적으로 내우외환을 겪고 73세에 중풍으 로 오른쪽이 마비되기에 이른다. 한강은 중풍 발병 이듬해인 1616년부 터 중풍 치료를 위해 온천기행을 시작하여 이후 3년간 지속하였다. 한 강의 온천치료를 위한 기행은 제자 이윤우가 기록한 「봉산욕행록」에 자세하다. 봉산욕행록은 1617년 7월부터 9월의 기록으로, 45일 동안 의 여정, 한강이 매일 반복적으로 목욕요법을 행하고 제자와 관료를 접대하는 등의 내용이 쓰여있다. 남명의 또 다른 문인 망우당 곽재우 역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 으로 나서는 등 남명의 충군애민 실천 의지를 본받고자 하였다. 그러나 망우당은 개인적으로 불우했고 관료생활도 평탄하지 않았다. 이 과정 에서 망우당은 불로장생과 신선의 세계에 심취하였고 일반적인 유학자 들의 양생이 아닌 수련 양생의 길을 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망우당이 50대에 이르러 벽곡조식을 본격화하기 시작하였다. 망우당의 벽곡조 식에 대해 허균과 성여신은 한나라 장량에 버금가는 처세술이었다고 변호하였다. 한국도교사에서 망우당에 대한 평가는 조선단학파의 맥을 잇는 한 사람이고 민간에서는 의병과 신선을 넘나드는 전설적인 인물 로, 덕천서원의 유생들에게는 남다른 기개의 선배로 남았을 것이다. 남명을 비롯한 문우, 제자의 박학풍은 남명문파들의 공통된 특징으 로 나타나고 있다. 덕천서원 건립에 참여했던 각재 하항, 남명의 문인 내암 정인홍의 제자인 함양 선비 고대 정경운 등의 예와 같이 의약으로 자신과 가족을 치료하고, 대민구휼을 위해 사우들과 의론을 펼치는 등 남명의 충군애민 실천사상이 재전제자에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7.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대를 향한 엘리엇의 희구는 1927년 그가 영국국교회교도로 개종하 기 훨씬 전부터 존재해 왔다. 엘리엇이 철학자에서 시인-비평가로 ‘돌아 선 것,’ 시의 몰개성 이론을 주창한 것, 그리고 의식 대(對) 무의식을 뛰어넘는 ‘비(非)의식’ 논쟁을 펼친 것 등은 모두 이처럼 절대에 대한 갈망의 결과이다. 그리고 이 갈망은 본질적으로 낭만적이며, 이상주의적이 고, 궁극적으로는 시인 단테가 의미한 바와 같이 종교적이다. 재의 수요일 은 종교적 구원에 대해 긍정적인 암시로 인해 이전의 시와는 구분 된다. 그러나, 평자들이 주장한 바처럼 절대를 노래한 시가 아니라, 이 시의 1인칭대명사 ‘I’와 접속사가 충실하게 기록하듯이 회의주의와 종교 사이에서 여전히 고민하는 정신에 관한 시이다.
        78.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ence of natural dyeing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health through good exercise, in giving emotional stability based on the functional aromatic components of the dyeing material, and in improving self-esteem and increasing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the behavior of creation. A natural dyeing material easily found around us, artemisia has long been used in food and Oriental medicine and was recently found to contain antioxidative, anticancer, deodorizing, antibacterial, anti-obesity, and anti-diabetes substances through chemical analysis.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group reminiscence therapy using the fragrance of artemisia is effective in relieving pain and depression and in promoting ego integrity in the elderly population. This study aim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dyeability, washing fastness, and deodorization between Artemisia princeps, Artemisia iwayomogi, and Artemisia annua, all of which are considered to be healthful and functional dyeing materials, among about thirty domestic plants in the genus of Artemisia and to provide basic data concerning natural dyeing in mind-peace education for the silver generation. The fabric dyed and post-mordanted at 80℃ for 40 minutes showed the greatest surface color variation; in this condition, artemisia princes (32.29) gave the greatest color difference, followed by artemisia iwayomogi (31.07) and artemisia annua (26.17). While all the types of artemisia were excellent in washing fastness, dry-cleaning fastness, and rubbing fastness at the fourth- or fifth-grade, light fastness was at the third grade for artemisia princes, at the second to third grade for artemisia annua, and at the second grade for artemisia iwayomogi; therefore, artemisia princes was found to give better fastness than the other two types of artemisia. In determining functionality of the fabric dyed with artemisia, deodorization test also found that the fabric dyed with artemisia princes had 20% higher deodorization.
        79.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방박사들의 여정 에 나타난 동방박사들의 육체적·영적 여정은 단순히 아기예수의 탄생을 맞이하기 위한 긴 여정일 뿐만 아니라 이교도로서 영적 죽음을 경험하게 되는 고행이다. T. S. 엘리엇은 복음서의 내용과 렌슬럿 앤드류의 설교를 극적 독백 형식을 통해 병치시킴으로써 화자, 청자, 사건 등이 여정에 잘 녹아 있다. 이 작품에서 시인은 동방박사들이 기독교에 동화되어 이교들의 삶을 정리하기까지의 육체적·영적고통을 여정에 투영시켜 개종의 고통을 알레고리적으로 묘사한다. 화자의 회상에 따르면, 그들이 아기 예수 탄생의 장소에 도착했을 때 탄생의 고통과 죽음의 고통을 구별할 수 없었다고 고백한다. 이 논문에서 는 화자가 느끼는 죽음·탄생의 복합적 고통들을 서로 분리하지 않고 공시적으로 의미를 분석해 그 고통의 순간이 엘리엇의 주장하는 정점의 순간으로 보고자한다. 나아가서 그 고통의 감정 속에는 다층적인 의미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알레고리적 읽기로 영적·육체적 여정이 하나의 정점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음을 입증해 보려한다.
        80.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자주 다루지 못한 대학에 재학중인 지적장애 재활전공 학생그룹을 대상으로 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원예재활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해 대상자의 만족 성향이 원예재활 관련 전문 직업 프로그램의 참여의지와 직업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 향후 직업재활로서 원예재활이 융복합적 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 데 기초자료를 구축한 것에 또 하나의 의미를 둘 수 있다. 또한 원예재활사와 원에재활 보조사로 활동할 수 있는 지적장애 학생그룹과 원예 관련 대학생 그룹간의 차이도 비교분석 하였다. 이것은 일반 프로그램과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재활보조 프로그램의 단계별 차별화가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비교 분석한 것으로 식물심기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두 그룹간의 유의성이 나타남으로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그룹과 일반학생을 나누어 난이도를 차별화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해야 함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또 지적장애이면서 대학에 진학한 본 연구대상자 그룹은 심리적인 특성과 지적 성취 정도가 일반 장애그룹과는 달리 원예를 비롯한 각종 사무직과 사서직, 돌봄 등의 직업에 관심을 다양하게 나타내고 있으나 개인별로 선호와 관심 정도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원예활동에서의 공통된 특성은 지적장애 학생의 경우 이론과 노작을 통한 원예 접근 보다는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만들기, 꾸미기형 원예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집중과 관심도가 나타나므로 이러한 흥미가 직업관련 교육프로그램 접근요소에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본 연구로 분석할 수 있었다. 즉, 지적장애 대학생으로 원예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로 진로모색을 하는 대상자들에게 맞는 원예재활 프로그램은 장식적인 원예 프로그램이 직업에 대한 관심과 접근성을 높이는데 가장 영향을 줌으로 이 점이 프로그램 구성 지침에 반영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후 실제 원예재활 직업프로그램 실행을 위하여는 개인별 적응도와 작업수행 평가 등을 실시하여 원예 재활관련 직업 적합도를 대상자 특성과 연관하여 단계별로 매뉴얼화하고 교육의 전과 후의 적응도의 차이 등을 연구함으로 직업재활분야에 원예재활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정착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