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total sugar and sodium in 129 different kinds of bakery products, breads and cookies, sold at bakeshop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bakery products produced by bakeshops on a small scale were not applied by clauses of mandatory nutrition label for children's taste food. All types of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sucrose, lactose and maltose- were detected in breads, but only fructose and sucrose were detected in cookies. The average amount of sucrose per 100 g of breads was 6.24 g, of cookies was 30.03 g. Breads and cookies amounting to 100 g of sample contained total sugar of 11.19 g and 30.38 g, respectively. The average amounts of sodium in breads and cookies were 120.71 mg/100 g, 70.76 mg/100 g, respectively. When the contents of total sugar in breads and cookies per one serving size were compared to WHO guidelines, the percentages were 15.7% and 18.2% about recommended daily intake of total sugar of 50 g. When it come to sodium, the bakery products had range of 1.1~6.5% to 2000 mg of daily intake of sodium recommended by WHO.
본 연구는 서울시 아파트 200가구의 거주자를 대상으 로 실내식물이 거주자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한 조사로서, 그 동안 원예치료와 식물의 기능성 연구 등 여러 연구를 통해 나타난 식물의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에 착안하여, 거주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실내식물이 궁극적인 목표인 거주자의 행복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내식물을 키 우면서 행복감이 가장 컸을 때는 꽃이 피었을 때라고 응 답한 사람이 전체의 57% 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새싹이 돋았을 때가 33% 를, 분갈이 했을 때와 직접 키 운 식물을 분양했을 때가 각각 2%, 기타가 7% 였다. 식 물과 함께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행복지수는 1시간 내 에서 정비례관계를 보였다. 실내식물의 재배관리주체가 누구냐에 따른 행복지수 에서는 본인이 직접 관리하는 경우의 행복지수가 67.90, 가족구성원이 관리하는 경우의 행복지수는 65.09, 기타가 64.79로 분석되었다. 실내식물 선호도와 실내정원의 면 적에 따른 행복지수도 정비례관계를 나타냈으며 실내화분 식물의 개수가 많아지면 행복지수도 증가하였다.
Old Russian Legation(1890) has been attracted public attention in terms of politics and foreign affairs than architectural style because of conditions of location and historical incident. Though it was heavily damaged during the Korean war, and only the tower has been restored, it is very important in architectural history in Korea, because it is the oldest western style brick building which is existing with the old bishop's house in Myeong-Dong. But it has been impossible to reveal exactly the original form as there has been few reliable materials(picture, drawing, document) and it's remains were nearly destroyed owing to development of the surroundings. Recently the decisive document(site outline map) was found, and new research on the architect Sabatine was studied. So I can get into close with the original form by the results. In this study, I tried to conjecture the original form of the old Russian legation(the size, style, plan and indoor space, arrangement of attached facilities) and I checked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the room where King Gojong stayed when he took refuge, and the use of the passage in the bas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naming of beverages and its effect on people's perception by gender.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eoul area from March 10 to May 10, 2010. Approximately 59% of male and 41.8% of the female respon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aged 20 to 29-years. Most (79.8%) of the students responding to the survey showed a preference for beverages. "Long-named beverages with ingredients listed" were considered the most reliable and ranked highest at 3.74,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males and females. "Long-named beverage that were made from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were regarded as the most healthful and ranked highest at 4.01.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as also observed. Long-naming influences a customer's purchasing tendency. In particular, women were more influenced by a sense of wellbeing when they purchase, because they are more interested in losing weight and being healthy.
This study examined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information on nutrition labels based on one serving size among female consumers above the age of 20 in Seoul area. According to the survey, 69.9%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current system of nutrition labeling based on one serving size, and 51.8%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system because the nutrition labels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or appeared unreliable. The nutrition label literacy of the consumers varied with respect to different packaging units. The respondents were likely to be less accurate in calculating the expected caloric intake when only portions of a multi-serving package were used. Initially 69.0%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read the nutrition label before purchasing a product but 91.9%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would check the label after learning how to read the label properly.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consumers aware that the labels are very reliable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A public education campaign on the use of nutrition labels should focus on developing the consumers' ability and skills in using the label information when choosing foods.
Although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introducing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including Web-based learning, to a practice class is effective, studies applying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to subjects who are practicing cooking are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ception of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the degree of computer use, and the use of distance learning by college students with cuisine-related majors to practice cooking.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ents used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and that the method was positively perceived, as it was a great aid in learning. Most of the cooking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edia for practicing cooking was "e-learning" using a computer.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those who were practicing cooking was a "face-to-face learning method", because face-to-face type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most universally recognized. Most of the students surveyed responded that using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was a positive experience, indicating that cyber lectures could be applied at more universities for subjects practicing cooking.
본 논문은 서남권 돔 야구장의 불안정 거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해석 대상 구조물의 설계하중과 이들의 조합 하중에 의한 하중모드에 대하여 구조물의 비선형 Snapping 현상을 조사하며, 초기 불완전성은 접선강성행렬의 고유치해석을 통해 좌굴 모드를 얻고 이를 비선형해석에 이용한다. 단 부재좌굴 또는 국부좌굴 등은 본 연구과제의 연구범위에 고려치 않으며, 전체좌굴 현상에 한정한다.
현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영상 분류이다. 영상 분류는 도시 지역을 추출하는 자동화된 방법으로 단시간에 도시 지역을 추출할 수 있지만 그 정확도는 상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시계열적인 변화를 추출하기에는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 절차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지수 결합에 의한 도시 지역 추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규식생지수와 정규시화지화지수를 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을 추출하였다. 1988년과 2000년 서울지역 위성영상에 영상 분류 방법과 지수결합방법을 사용한 결과, 식생지수결합법에 의해 도시로 추출된 지역이 감독분류기법에 의해서도 도시 지역으로 추출된 확률이 각각 98.1%(1988년), 99.3%(2000년)인 것으로 나타나, 식생지수 결합법을 사용해 도시 지역을 추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방법을 사용한 각 시기의 도시 지역영상과 환경부 토지피복대분류(1999년)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1988년의 분류 결과 도시 과대추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분류를 통한 도시 지역 추출 방법에 비해 식생지수결합법을 이용한 도시 지역 추출이 절차상 수월한 점으로 미루어볼 때, 도시 지역 추출에 있어서 식생지수결합법의 효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한 협치 기제로써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이 의무화되고, 2010년 현재 1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종결 및 2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에 도래하였다. 하지만 1기 평가의 미진, 파행적 계획과정의 답습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구속력, 강제력 강화를 위하여 사회복지조직으로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의 G구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중심 거버넌스 이론, 조직요건 및 전문적 관료제적 측면에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관 중심의 편협한 위원선정, 관 중심적 협의체 영향력 행사 등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적 관료제 측면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주무관이 상근간사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대표협의체-실무협의체-실무분과의 계층적 조직구조를 부정하고 개별적인 조직으로서의 활동을 조장하고 있었으며, 관계 중심적․의무감의 조직으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구성원의 역할 법제화를 통하여 위원들의 자주적 활동을 보장하고, 민간간사 또한 관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정기적인 교육과 사업 평가의 공식화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비단 서울의 G구 뿐만 아니라 전국 기초자치단체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에 밑거름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양천구의 사회복지기관을 이용하는 수요자중심의 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를 SERVQUL측정지표(유형성․신뢰성․대응성․보증성․공감성)의 다섯 가지 변수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중심의 재가복지만족도는 다소 부족한 변인과 양호한 변인이 50:50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사회복지기관의 사업수행경험을 통한 효율적인 사업수행과 구조화된 재가복지서비스를 통한 이용자들의 의식이 향상되었다고 함의한다. 하지만 다양한 사업성과 목표달성가능성을 통하여 복지수요자들의 질적인 서비스향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회복지기관의 역할을 더욱 충실히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는 비오톱조사자료의 현장조사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관악구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2000년과 2005년의 비오톱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위성영상에서 확인가능한 상록침엽수림을 추출한 후 두 현장조사결과에 기초하여 현장조사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현장조사에 의한 세부 현존식생의 면적비율은 시기와 조사자의 차이에도 약 92%의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나, 두 조사에서 동일한 식생유형이 지리공간상 일치하는 지역은 약 60%에 불과하였다. 인공위성영상에서 추출한 상록침엽수의 위치 분석 결과 2000년 조사와는 69.4%, 2005년과는 80.0%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인공위성 영상 판독오류를 감안했을 때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었다. 지금까지 비오톱조사시 현장조사에 의한 식생구분 에 대한 정확성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수행되어 왔으나, 향후 자료의 갱신이나 신규 사업에 있어서는 정확도 검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 기준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