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75

        10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속스핀에코 기법을 이용한 MRI 검사에서 영상 변수가 전자파 흡수율(SAR)과 온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체 등가 조직 팬텀을 제작하였고 같은 조건에서 재위상화 RF의 FA와 ETL을 증가시키 며 MRI 검사를 시행하였다. SAR는 장비에서 계산된 두부 SAR값을 사용하였고 팬텀의 온도 변화는 양성자 공명 주파수를 이용해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FA를 60°에서 180°까지 증가시켰을 때 SAR는 약 8배까지 상승하였고 팬텀의 온도 상승의 폭은 약 2.8배(0.21°-0.599°) 증가하였다. 그리고 다중 회귀 분석 결과, FA는 SAR와 온도 상승의 관계에서 표준화 계수 가 각각 0.935, 0.741로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ETL은 15에서 30까지 증가시켰을 때 SAR는 약 2배 증가하였 다. 하지만 팬텀의 온도 상승 폭은 오히려 39.2%(0.53°-0.303°) 감소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에서도 ETL은 SAR의 관계에서 표준화 계수가 0.741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온도 상승의 경우 표준화 계수가 –0.482로 나타나 음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는 ETL이 15에서 30까지 증가함에 따라 검사 시간이 약 43% 짧아져 전자파의 노출 시간이 감소한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결국, FSE 기법을 이용한 MRI 검사에서는 재위상화 FA는 최소화하고 기준 SAR 범위 내에서 ETL을 최대로 적용하면 전자파로 인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환자 안전을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0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딸기 영상 데이터의 병충해 존재 여부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병징에 특화된 분할 이미지 데이터 세트를 제 안하여 딥러닝 모델의 병충해 검출 성능을 향상한다. 딥러닝모델은 CNN 기반 YOLO를 선정하여 기존의 R-CNN 기반 모델의 느린 학습속도와 추론속도를 개선하였다. 병충해 검 출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일반적인 데이터 세트와 제안하는 분할 이미지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였다. 딥러닝 모델이 일반 적인 학습 데이터 세트를 학습했을 때 병충해 검출률은 81.35%이며 병충해 검출 신뢰도는 73.35%이다. 반면 딥러닝 모델이 분할 이미지 학습 데이터 세트를 학습했을 때 병충해 검출률은 91.93%이며 병충해 검출 신뢰도는 83.41%이다. 따 라서 분할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한 딥러닝 모델의 성능이 우 수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4,000원
        104.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rge-area graphene of the order of centimeters was deposited on copper substrates by low-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using hexane as the carbon source.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the carrier gas flowrates on the quality and uniformity of the as-deposited graphene was investigated using the Raman analysis. The film deposited at 870 °C with a total carrier gas flowrate of 50 sccm is predominantly single-layer with very low defects according to the Raman spectra. The 2D/G peak intensity ratios obtained from the Raman spectra of samples from three different locations of graphene deposited on a whole copper catalyst was used to calculate the large-area uniformity. Based on the results, a very high uniformity of 89.6% was calculated for the graphene deposited at 870 °C. The uniformity was observ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Similar to the thickness uniformit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obtained as a result of I–V measurements and water contact angle measurements were found to be close to each other for the graphene deposited under the same deposition conditions.
        4,000원
        106.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aterpower generation of the dam generates electricity by revolving the turbine through a water pipe using the difference of high/low of water, the revolving turbine makes an occurrence a terribly loud noise. Accordingly, in the water turbine generator room located on such hydroelectric generator, since a mutual communication is not establish properly when working, they are suffering many difficulties, and it is real state that such noise damages even to those workers in the office of power plant. Since the most of dam water turbine generator room built in domestic country had used the finishing materials of a huge volume and a high reflexibility, it is carrying more amplifying function with the turbine noise arising when generates the electricity. Therefore, there is not only a difficulty for mutual communication among those workers in the workplace, but also it becomes an obstruction factor for working even to the workers in the adjacent office, and because they are suffering the mental and physical damages, it is actual state that a noise-reduction measure is urgently needed. As a result of the study, on the object with the dam hydraulic turbine dynamo room in which an acoustic defect is being occurring, this Study has conducted the Psycho-Acoustics Experiment about the Delivery of Voice Information using Auralization Technique that can experience the Virtual Acoustic Field. It is considering that such study result could be used usefully for improvement of the Voice Definition when construction the dam hydraulic turbine dynamo room, in the future.
        4,000원
        11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람에 의한 구조물의 진동은 관심대상이 되는 지배모드의 감쇠비에 매우 민감하다. 감쇠비의 발현 메커니즘의 불확실성 등 에 의해 감쇠비의 추정은 여전히 도전과제이며 보다 정확한 감쇠비 추정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펙트럼 밀도 적분함수라는 새로운 개념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감쇠비를 추정하는 기법을 다룬다. 모드 응답스펙트럼에 포함된 외부하중 스펙트럼을 적분에 의한 평균화효과에 의해 평탄화 한 후 이론적 적분함수와 비교하여 감쇠비를 구하는 원리이다. 감쇠비 추출 가능성 탐색을 위 해 이론적 스펙트럼 밀도 적분함수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비고전감쇠 시스템이 가지는 혼성 모드응답에 적용할 수 있는 감쇠비 추 정법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감쇠비 추정법을 검증하기 위한 수치해석과 계측응답에 대한 적용이 이루어졌으며, 검증결과 제안된 감쇠비 추정법이 안정적이며, 신뢰도가 높은 감쇠비 추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12.
        2022.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하지 부종 및 셀룰라이트를 고민하는 여성(평균 36.2세; 23명)을 대상으로 9주간 근막 이완기법을 시행하기 전·후의 부종과 셀룰라이트의 변화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신체 분석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하지부종과 둘레 분 석은 체성분 분석기(Inbody 970, Korea)로 측정하였고, 셀룰라이트 단계는 셀미터(cell-meter., Ita liy)로 측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막 이완기법이 여성의 체수 분과 세포외액에 긍정적인 결과(p<.05)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막 이완기법이 여성의 하지 둘레에 유의미한 영향(p<.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막 이완기법이 여성의 셀룰 라이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성과는 근막 이완기법이 여성 하지 부종 과 둘레, 셀룰라이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성과가 있지만 근막 이완기법이 여성 하지의 신체 적 요인에 대해서만 검증한 점이 한계라 할 수 있다. 근막 이완기법의 통합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향후 연구에서 여성의 심리적 변화 변수들을 추가하여 심화된 연구를 진행하기를 기대한다.
        4,200원
        11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여러 건의 여객선 사고를 겪으면서, 여객선 안전관리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연안을 운항하는 여객선 162척 중, 차량갑판이 개방된 형태의 차도선이 105척(65 %)을 차지하고 있다. 차도선은 2~4개의 섬을 경유하는 운항 패턴을 가지고 있다. 출항지(모항)에서 안전점검은 선원과 운항관리실의 운항감독관, 해사안전감독관에 의해 실시된다. 경유지에서 의 안전점검은 자체점검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여느 제도와 마찬가지로 제도적, 현실적 한계 등이 있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기법을 활 용하여 차량을 검출하고 이를 선박 복원성 계산과 연동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차량 검출을 위해 차영상을 이용 하는 방법과 기계학습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검출된 데이터를 선박 복원성 계산에 활용하였다. 기계학습을 통해 차량을 검출하 는 경우, 차영상에 의한 차량 검출 방법보다 차량 식별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카메라가 일몰과 같은 상황에서 역광을 받는 경 우와 야간과 같은 상황에서 부두와 선박 내부의 강한 조명에 의해 차량이 식별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안정적인 영상처리를 위해 충분 한 영상 데이터 확보와 프로그램 고도화가 필요해 보인다.
        4,000원
        11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unsteady viscous flow field using the uRANS equation in a moving mesh was studied. The simulation domain is composed of an overset zone fixed to a propeller and rotating at a constant angular speed and a far zone which is located in the far distance and does not move. Each zone is composed of a polyhedral meshes for the accurate and robust gradient calculation in addition to the reduction of computation time. Simulation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aerodynamic analysis of the 5-inch propeller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MRF and the thrust test. The thrust predicted by the moving mesh showed good correlation with the MRF result within 0.5% difference, but the torque showed a tendency to under-prediction by about 10% compared to the MRF. In the future, we plan to further validate the numerical analysis technique using the moving mesh by applying it to the configurations in which precise test results exist.
        4,000원
        11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매미아과를 대상으로 번식울음 시기를 전국적으로 관측하여 종별 출현 시기 및 서식지 분포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19개소이었다. 매미 번식울음 수집기간은 2019년 12개월간이었다. 매미 번식울음 녹음은 매시간당 1분씩 WAV, 44,100Hz 포맷으로 생물음향 측정장비를 설치하여 녹음하였다. 온도는 미기상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시간당 1~2회씩 기록하였다. 연구대상종은 국내 매미아과 9종이었다. 번식울음 분석은 매미종별 번식울음 시종점을 기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지 19개소에서 출현한 매미는 9종이었다. 종별 번식울음 시기는 말매미(7/12~9/30), 애매미(7/27~10/20), 참매미(7/25~10/9), 유지매미(7/28~9/5), 털매미(7/3~9/29), 늦털매미(9/14~10/30), 소요산매미(6/26~8/2), 참깽깽매미(7/27~9/28), 쓰름매미(8/8~9/11) 순이었다. 종별 번식울음 기간은 35일(쓰름매미)~89일 (털매미) 사이었고 평균 62일이었다. 종별 서식지 해발고도는 말매미(5~386m), 애매미(7~759m), 참매미(7~967m), 유지매 미(42~700m), 털매미(7~700m), 늦털매미(5~759m), 소요산매미(7~759m), 참깽깽매미(397~967m), 쓰름매미(7~42m) 순이었다. 종별 서식지 평균온도는 말매미(23.9℃), 애매미(21.8℃), 참매미(22℃), 유지매미(23℃), 털매미(22.9℃), 늦털매미 (14.6℃), 소요산매미(20.6℃), 참깽깽매미(19.3℃), 쓰름매미(24.4℃) 순이었다. 종별 서식지 분포는 애매미, 참매미, 털매미 는 전국 15개소 이상 분포하였다. 말매미는 서남부 저지대에 분포하였다. 유지매미는 한반도 서부 지역에 분포하였다. 늦털매미는 고산지대와 동남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요산매미는 산지에 가까운 지역에 분포하였다. 참깽깽매미는 고산지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쓰름매미는 평지형 습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4,000원
        11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electric fires as a preemptive preventive measure, and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preventing electric fires by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function between electric fire-related departments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In this study, the general aspects of electric fire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such as ignition mechanisms of electric fires. And the major electrical fires that occurred in the last 10 years were classified into ignition factors (short circuit, overload/overcurrent, and earth leakage/ground fault) and ignition sources (wiring/wiring appliances, electrical equipment/household appliances). And the 4M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potential causes of ignition at the fire site and to suggest preventive measures. In the case In this study, out of 48 electrical fires in the past 10 years, 16 short-circuit fires, 3 overload/ overcurrent fires, 3 short-circuit and earth fault fires, 16 fires in wiring/wiring appliances, and 10 fires in electrical equipment/home appliances classified as cases. And prevention measures were presented in terms of human, machine, media, and management by using the 4M technique. For the preemptive prevention of electric fires, strengthening the compulsory electrical safety inspection and making it mandatory to report when new or expanding electric facilities, charging a fee for electric safety inspection for detached houses and granting benefits subject to inspection completion, improvement of the electric safety voluntary inspection table and safety indications; It was suggested as a policy to organize and operate electrical safety inspection personnel in a two-person team (mixed), establish a close work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strengthen electrical safety education and publicity.
        4,000원
        119.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강재 댐퍼의 형상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강재 댐퍼는 제진장치 중 하나로 항복을 통해 지진에너지를 흡수 및 소산하여 본 구조물을 보호한다. 최근 적용되고 있는 면내 전단 변형에 의해 작동하는 댐퍼는 응력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어 재료의 대부분이 본래의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한계를 극 복하고자 전역 최적화 기법 중 하나인 뻐꾸기 탐색을 적용해 최적 형상을 설계하였다. 탐색된 최적 형상을 토대로 수치해석과 실제 실험을 통한 성능검증을 수행했다. 최적 형상으로 설계된 댐퍼는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보이고, 높은 에너지 소산능력을 확 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역 최적화 기법을 적용한 최적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검증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공학적 문제 해결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000원
        120.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Hwangnyongsa Temple Central Column Record」among the remaining documents, under reconstruction the pagoda of Hwangnyongsa&s 9th floor was completed in July 872 on the lunar calendar. At that time, King Kyeongmun worried about sarira under its central column, saying the central column does not move, and then He ordered to lift the central column. So his servants lifted it on November 6th 872 and checked the sarira and put it back on November 25th on the lunar calendar. 「Hwangnyongsa Temple Central Column Record」did not document how to lift the central column which is tens of meters. therefore, this study inferred the way the central column of the pagoda of Hwangnyongsa was lifted in 872, left as a mystery. For that, this study set various hypotheses and it researched and analyzed hoisting technique that is a way to lift the pagoda of Hwangnyongsa and a column. In conclusion, this study inferred the most suitable hoisting technique for the pagoda of Hwangnyongsa at that time,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each chapte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