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에서 EM-120에 의해 검측된 틀림 데이터는 매우 불규칙적인 형태를 나타내며 데이터 분석 시 다양한 문제점 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궤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검측된 틀림데이터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효율적인 처리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정제된 데이터의 ARIMA 분석을 통해 검측데이터와 계절 변화의 상 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회귀모형, 지수평활법, ARIMA 모형 등 다양한 예측 모델의 적용을 통해 검측 데이터의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고, 궤도 틀림 데이터의 예측 모델에 적합한 최적 모델 선정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nges of 6 kinds of commercial Makgeolli (A, B, C, D, E, and F) during storage at 4±1℃ for 30 days. The initial pH was 3.50~4.23, but it increased to 3.65~4.37 by the end of the storage period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tratable acidity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torage period.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A and B increased, whereas C, D, E, and F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A decrease in lightness (L values) was observed in all samples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p〈0.05). The alcohol content increased from beginning values of 5.90~6.10% to ending values of 6.30~7.35% at the end of storage, of which sample B exhibited the highest value. A sensory evaluation test revealed that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samples A, B, D, and E were still within acceptable limits, but samples C and F showed undesirable changes during 30 days of storage at 4℃.
Parcel delivery services are a bit different from general vehicle routing problems since the services require a deliver’s walking time to give the parcel to the customer. This time takes more than 1/4 of total delivery time, but it is ignored for the conv
본 시험은 친환경농업 및 조사료 용도로 재배가 증가하고 있는 헤어리베치를 대상으로 국내 헤어리베치 종자 채종 시 개화 후 경과 일시에 따른 채종 수량 추이를 조사하여 안전 다수확 채종 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헤어리베치 품종 ‘청풍보라’를 이용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개년에 걸쳐시험하였다. 2009년도는 개화 후 35일 (6월 11일), 42일 (6월 18일), 48일 (6월 24일), 54일 (6월 30일), 58일 (7월 4일) 등 5회, 2010년도는개화 후 35일 (6월 21일), 42일 (6월 28일), 48일(7월 4일), 54일 (7월 10일), 58일 (7월 14일) 등5회, 그리고 2011년에는 개화 후 39일 (6월 21일), 49일 (7월 1일), 53일 (7월 5일) 등 3회 수확하여 종자 수량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종자 수량은 개화 후 경과 일수와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개화 후 42일 (2010년도), 49일 (2011년도), 54일 (2009년도)에 정점을 나타낸 이후 도복으로 인한 꼬투리 소실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1,000립 중과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나 장마기 이후에 수확 된 종자는 수발아 종자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상의본 시험 결과에 의하면 헤어리베치 종자 안전다수확을 위한 수확 시기는 개화 후 42일에서54일 사이에 장마 전 기간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paper, it is examined how the amount of review time per applicant to a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connect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 selected students after they enter the college. About five years ago, college admission officers syste
Real-life time series characteristic data has significant amount of non-stationary components, especially periodic components in nature. Extracting such components has required many ad-hoc techniques with external parameters set by users in case-by-case m
본 연구는 해발 750m 이상의 고랭지에서 재배된 양배추의 정식시기 및 수확 시 기상환경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수확 후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수확 된 양배추의 품종 별 구중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늦으면 구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상품성이 낮았다. 반면 8월 23일(3차)에 수확된 양배추 품종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8월 3일(1차)과 8월 13일(2차)에 비해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좋아 경도 및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수확 전후의 기상환경에 영향을 받아 수확 전 3일 이상 강우가 없을 때 수확하는 것이 높게 유지하였고, 경도는 늦은 정식시기가 경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배추의 색도는 수확기에 따른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품종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공시품종 중 수확 시 품질은 'Speed king'과 'Minix 40' 품종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배추 저장은 8월 3일(1차), 8월 23일(3차), 그리고 9월 10일(4차)에 수확된 양배추를 상온(25℃, 60% RH)과 저온(3℃, 85% RH)에 각각 저장하여, 수확시기와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상온 및 저온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양배추의 생리장해는 수침, 시들음, 냉해가 저장기간 4일경부터 발생하여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양배추 6개 품종의 저장기간은 수확 시 기상환경에 따라 상온저장의 경우 3~5일, 저온저장의 경우 9~10일 정도 가능하였다. 특히 8월 3일(1차)에 수확한 양배추는 수확일 전후의 열악한 기상환경으로 실온 및 저온 저장기간이 가장 짧아 실온 2일 그리고 저온은 4일의 저장기간을 보였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노인들을 대상으로 48시간 동안의 일상생활 활동 참여시간을 통계청(2009)에서 사용하는 일상생활시간 조사 분류표를 통해 알아보고,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시간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도시지역 거주 일반노인 155명으로 하였으며, 2009년 통계청에서 사용한 일상생활시간조사표 및 일반적 특성이 포함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지가 배포된 후 48시간 동안의 일상생활 활동기록지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들이 완성한 일상생활 활동기록지는 통계청에서 제시한 9가지의 행동분류표에 나온 행동들로 분류하여 각각의 행동에 따른 이틀간의 총 시간사용량을 분으로 계산하였다. 결과 : 도시거주 노인들의 개인유지 활동 참여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그리고 남성 노인들이 일과 학습활동 참여시간이 많았고, 여성 노인들은 가정관리, 참여 및 봉사활동,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또한 65세 이하의 노인들은 일하는 시간이 많았으며, 66세 이상의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중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개인유지에,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이동 및 일에, 소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종합적으로 76~80세 여성 노인들이 참여 및 봉사활동 참여시간이 많았고, 대도시에 거주하는 남성 노인들이 일에, 소도시에 거주하는 남성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기능적인 독립성, 사회적 참여유지, 자원봉사 및 여가활동을 노인들의 성별, 연령, 학력, 지역별 특성에 맞게 계획하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는 데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is a temple drawing called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at Seon-Am Temple of which the time of creation is unknown. This drawing shows the details of Seon-Am Temple and surrounding areas well,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of Seon-Am Temple and other small mountain temples. The records on the top also describe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the Fengshui aspect, and describes the number of buildings at Seon-Am Templ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yle that gives clues about the age of this drawing, the time range can be narrowed down in order to approximate the age of this drawing through the Buddhist trends of Seon-Am Temple. In the results, it was estimated that the drawing dates back to the time when Seon-Am Temple flourished in the mid-18th Century as it's competition with the temple of Songgwang actually began. Buddhism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principals were delivered through this relationship. Therefore, the activities to increase the connection between monks and this drawing were created in order to indicate the atmosphere of the Seon-Am Temple of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performance rating training tool for the time and motion study.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rating training tools based on films were made several decades ago and introduced to Korea. However, to the best of our
Although evidences showed that histone deacety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itotic and meiotic cell cycle, but the mechanisms are still unclear. Level of histone acetylation can be easily changed by deacetylase inhibitors (HDACi) i.e trichostatin A (TSA) and valporic acid.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the inhibition of histone deacetylation by TSA could affect porcine oocyte maturation and aging process. Our results showed that treated COCs with 100 nM TSA significantly increase the GVBD in each time group than 0, 5, 50 nM but no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higher concentration (200 nm or 300 nM).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maturation, blastocyst development, MAPK pattern and expressions of apoptosis gene when treated oocytes with 100 nM TSA for the first 24h of IVM compared with control and 5, 50 nM TSA. However, in the oocytes treated with 200 nM and 300 nM TSA for first 24 h, MAPK significantly decreased and abnormal spindle were observed. But, in prolonged (64 h) of TSA treated group h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trol. Another data observed that after 24h TSA-treat to prolonge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f MAPK activation and normal spindle than the other group. We concluded that TSA played a critical role in meiotic progression in porcine oocytes through the regulation of arrest GVBD, which prolonging the in vitro maturation time, but unaffected the subsequent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al potential and embryonic qualities. Moreover, the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SA may artificially control porcine oocyte maturation time and delay porcine oocyte aging process.
수요대응형 교통수단(Demand Responsive Transit)은 변화하는 이동수요에 대응하는 탄력적인 교통수단으로 단순히 노약자와 장애인을 위한 복지교통 서비스의 영역이 아니라, 무선통신과 위치정보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의 발달로 인하여 도심형 수단으로 보다 효율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문전서비스(Door-to-Door)를 제공하는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시뮬레이션에 적합한 상용툴의 부재로 인하여 알고리즘이나 차량 운행 요소를 면밀하게 분석하기 힘든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수요대응형 교통수단에 연관된 다양한 차량 운영계획과 알고리즘을 구현, 평가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안한다. 문전서비스(Door-to-Door) 기반의 차량 운행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데이터를 정의하고 있으며, 수요대응형 교통수단의 대표적인 범주에 속하는 실시간 합승 택시(Shared-Taxi) 서비스를 서울시 교통망과 택시 수요를 이용하여 적용하였다. 합승 택시 운행 계획을 위하여 Nearest Vehicle Dispatch(NVD)와 Insertion Heuristic(IH), 두 종류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합승(Ride-sharing)을 허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택시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스템 효율 향상과 서비스 품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The restrictions and conditions of parcel delivery services are different from other delivery services. There is WTD in the parcel delivery service. WTDs are various along the types of buildings and delivery points. To make the problem solving method simple and efficient using the WTD, the values are observed and grouped based on the type of buildings in this research. Efficient VRP heuristic design could be possible with introduction of WTD concept as well as the delivery time forecasting.
Eggplant pickl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salt concentration (1, 3, 5%) and three groups based on drying time (30, 60 and 120 minutes), followed by storage at 5℃ for 28 days. Raw eggplant contains 94.82% water content. The increase in salt concentration and drying time caused a decrease in the moisture content. Compared to the 0.27% ash content of raw eggplant, the ash content of eggplant pickles increased noticeably with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 due to penetration into the eggplant pickles. pH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s of salt concentration and dying time increased (p〈0.05). In terms of storage time, pH values decreased from 21 days. The variation in salinit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ncentration of salt increased. Compared to normal pickles salted at 5.39% salinity, eggplant pickles constituted 0.27~0.77% (1%), 0.40~1.14% (3%), and 0.47~11.20% (5%) 'low-salinity' eggplant pickles. Reducing-sugar content differed on the dates of 7, 14 and 21 in drying time and at 3% salinity. Hardness differed at 30, 60, and 120M on the 28th and 1, 5% salt concentration. Resilience differed according to drying time and from dates of 0 to 14th. The number of total microbes decreased at low salinity. In terms of storage time, the number of microbes tended to decrease after the 21st. In the consumer preference test, lightness of 5%-30M was the highest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