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1

        10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8년 이후 젊은 건축가상 수상작 중 주거건축의 비율이 총 203개작에서 64개로 30%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 건축가들의 단독주택의 계획방향에 관한 분석을 통해 주거건축의 실질적인 공간변화에 대해 고찰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 번째, 공간구 문론 분석을 위해 기본적인 볼록공간을 설정하여 주생활 공간의 배치를 알아본다. 공간위상도에서 단위공간의 심도분석으로 각 공간의 주거공간 내부에서의 현상과 중요도를 파악한다. 두 번째, 가시영역분석을 통해 건축물의 개방도를 알아본다. 결론적으로 공간구문적 분석을 통해 주거건축에서의 내부공간의 변화된 모습과 도시내,외지역에 따라 실질적인 상황과 조건에 부 합하는 외부공간과 건축설계의 적응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젊은 건축가들의 건축프로세스의 연구가 주거건축의 적극적인 사례로 변화된 계획의 방향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고, 세부적으로는 도시주거건축과 경계부의 특성을 유추하는데 도움이 된다. 주거공간 변화를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주거건축의 설계 방향 모색과 더불어 도시 내외부의 주거건축물 집단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4,800원
        102.
        202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s how Moon-Young Lee’s conception of nonviolence differs from Gene Sharp’s theory of nonviolent action. Sharp’s nonviolent action excludes only physical violence, while Lee’s nonviolence does not allow verbal, emotional, or psychological violence either. The former is not verbal but behavioral, whereas the latter involves expressing oneself only in words. The weak must say the strong the right things, which even an evil ruler dares not rebuff, minimally and without provoking him/her. Lee’s nonviolence is grounded in general standards and procedures, including common sense and agreement, but Sharp’s nonviolent action is not necessarily. Sharp’s nonviolent action is designed to change the sources of power and subjects’ consents and, thus, control the ruler’s power abuse. Lee’s transcendence framework of nonviolence, personal ethic, social ethic, and self-sacrifice aims to avoid an all-out confrontation between rulers’ tyranny and subjects’ rampage and, thus, pursue rationality and eventually peace. An illegitimate regime devoid of self-correction will collapse in on itself in the end as a result of self-enlargement and power hypertrophy. The weak ought not to ask too much but, instead, to keep telling the truth to the ruler, while enduring violence and waiting patiently to the end. Lee’s nonviolence together with minimalism makes his transcendence framework distinct from other theories of nonviolent action.
        4,000원
        103.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Bridging exercises are used to enhance the functional stability of the lumbopelvic region in clinical settings. Although most of the studies on bridging exercises have compared the complete activation of the trunk muscles, some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the functional stability of the trunk and the lumbopelvic region and assessed the appropriate recruitment of the local and global muscles during different task level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muscle thickness in the transverse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 muscles during a common bridging exercise on an unstable surfac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changes differ based on the surface used. Methods: Twenty-five healthy young adults (8 males, 17 females) were recruit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ercise progression with a sling bridge group or the ball bridging exercise progression group, each with three stages of increasing difficulty. Each position was measured three times with an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system, and the mean values were recorded for analysi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rA, IO, or EO muscle thickness ratios between the sling and ball exercise groups (p > 0.05).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O muscle thickness ratios between the tasks irrespective of whether the sling or ball was used. However, the TrA and IO thickness ratios in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stages 2 and 3 compared to stage 1.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slings and balls during bridging exercises is effective in activating the deep abdominal muscles.
        4,000원
        104.
        2020.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버지가 어머니에 비해 양육에 참여하는 시간은 적을지라도 영․유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하는데 있어서 아버지는 필수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영․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책임감과 의무감이 따른 자율적인 행동으로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양육태도로 창의적이고 사교적이며 사회적응력이 높다고 한다.
        6,700원
        10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젊은 성인 근시안을 대상으로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고 근거리 작업 후 조절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방법 : 총 31명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는 조절용이성에 따라 조절용이성 부족군과 정상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상자에게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중간가입도의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조절기능을 측정하였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는 7일 이상의 적응기간이 경과한 후 검사를 하였으며, 조절부담을 유도하기 위하여 단초점 또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동영상을 30분간 시청하도록 한 후 조절기능은 조절근점, 폭주근점, 조절용이성, 버전스용이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 중 24명은 조절용이성 정상군, 7명은 조절용이성이 부족군이었다. 조절용이성 부족군의 경우 근거리 동영상 시청 후 조절근점은 단초점 콘택트렌즈를 착용 시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12),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는 시청 전과 차이가 없었다. 또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시 폭주근점은 단초점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상태보다 짧아졌고 영상 시청 전보다도 짧아졌으며(p=0.009), 조절용이성은 단초점 콘택트렌즈 착용 시보다 증가하였고 근거리 영상 시청 전보다도 증가하였다(p=0.004). 결론 : 중간가입도의 중심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조절용이성이 부족한 젊은 성인의 조절기능을 개선시켜 조절 부담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0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tant research has proposed that the Object-Spatial-Verbal cognitive style can elucidat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for modality-specific information. However, no studies have yet ascertained whether this type of information processing evinces structural correlations in the brai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used voxel-based morphometry (VBM) analyses to investigate individual differences in gray matter volumes based on the Object-Spatial-Verbal cognitive style. For this purpose, ninety healthy young adults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y were administered the Korean version of the Object-Spatial-Verbal cognitive style questionnaire, and their anatomical brain images were scanned. The VBM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articipants’ verbal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gional gray matter volumes (rGMVs) in the right superior temporal sulcus/superior temporal gyrus, the bilateral parahippocampal gyrus/fusiform gyrus, and the left inferior temporal gyrus. In addition, the rGMVs in these region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lative spatial preference scores obtained by individual participants.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provide anatomical evidence that the verbal cognitive style could be decidedly relevant to higher-level language processing, but not to basic language processing.
        4,000원
        107.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아유르베다 컬러프로그램이 유치원을 이용하는 유아들의 주의력 결핍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유아들의 체질을 먼저 구분하고 과잉행동과 주위산만을 알아보기 위해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장애 측정지로 검사를 실시하였고 컬러호흡과 컬러 명상을 실시한 후 사전 사후검사간의 대응표본 검정을 측정하였다 체질에 맞는 색깔 옷이나 먹는 것 주위 환경의 색깔을 달리 했다. 그리고 수면시간을 이용하여 파랑색 등을 켠 방 체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주위산만 사전검사 결과는 (M=20.9333, SD=2.491)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사 결과는 (M=17.200, SD=2.007), (t=9.427, P<0.000)으로 나타났다. 주의력 결핍에 대한 사전 사후 간에 검정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유르베다 컬러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산만에 미치는 영향으로 주의 산만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과잉행동은 사전검사에서 (M=21.400, SD=1.638)와 사후검사(M=17.667, SD=1.759) 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t=12.43, P<0.001)으로 나타냈다. 이는 아유르베다 컬러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주의력 결핍 향상에 효과과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4,000원
        108.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는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사회문화적 교류가 많아지고 급속한 경제발전과 세계화는 우리나라의 인구 사회학적 변화를 불어오게 되었으며, 다문화 가정의 비율도 높아가고 있다. 다문화 가정 부모의 민주적 양육참여는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좋은 영향을 미치며 성공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을 준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에 관한 아버지의 지원은 영·유아자녀에게는 바른 인성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 정서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자녀의 올바른 성장과 다문화 가정 부모의 올바른 양육태도에 양육방법에 도움을 주고자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6,300원
        11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information, unbalanced diet, and dietary habits of 86 children in Daegu. The research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iet and dietary habits of childre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younger children have a more unbalanced diet. Children dislike side-dishes the most. Furthermore, due to the longer time taken to consume food, parents persuade children to eat quickly. Children were also determined to have a high intake of foods and drinks containing sugar; beverages containing sugar are consumed 1-2 times a week by 5-year-olds, and once daily by 6- and 7-year-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dietary programs for young children.
        4,000원
        11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 기질 및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 341명을 대상으로 기질검사와 놀이성 검사,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독립 표본 t-검정,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는 기질 중 활동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낮아지고 놀이성 중 주도적 참여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 기질의 각 하위요인들은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요인과 전체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기질의 나머지 하위 요인과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성별, 기질,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성별, 활동성, 주도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설명하는데 성별, 기질과 놀이성은 중요한 예측요인이며 놀이성이 기질보다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900원
        11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classroom-based English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ontext using a validity analysis framework, which includes cognitive, instructional, and inferential validity components. As a case study, it evaluated two unit achievement tests administered to 142 6th grade students. Three types of data (i.e., the curricular learning goals, instructional contents covered for the two units, and two unit achievement tests and sco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classroom-based assessment validity argument. Results revealed that the two tests were relevant to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however, there was a lack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tests and the curriculum (cognitive validity); moreover, the instructional contents were not sufficiently covered with representative test items (instructional validity). While the test items functioned as expected, students showed a wide range of achievement, which was not expected in the achievement test context (inferential validity). Th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classroom-based assessment for young language learners.
        6,400원
        115.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mployed the social comparison theory, brand signally theory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PB)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attributes of a celebrity endorsing a brand and brand values impact on young adults’ cosmetic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as collected from 301 young adult South African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sults revealed that cosmetics brand attitude was influenced by celebrity attractiveness, credibility, celebrity product expertise and the symbolic brand value enjoyed from the brand. The brand attitude in turn predicted purchase intention.
        3,000원
        117.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ike slow fashion that takes workers, consumers and environmental welfare into consideration, fast fashion is criticized for neglecting these. This study investigates attitudes and adoption intention of the slow fashion concept among young adults in South Africa, a highly socio-economically unequal emerging market. An extended information adoption model will be adapted and tes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survey of 300 respondents. The results will provide marketing professionals, environmental and consumer interest groups and policy makers with valuable insight into barriers and motivators of slow fashion idea adoption among young adults who are a large, influential and profitable consumer segment.
        4,000원
        11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멀티포컬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1.00 D 안경렌즈를 이용한 저교정과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 17명의 대상군(평균 23.6±2.1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군의 구면 굴절 이상이 ±1.00 D 범위 이며, 난시가 –0.75 D 미만인 자로 선정하였다. 나안(NC), 근용 +1.00 D 처방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CM), +1.00 D 안경렌즈를 사용한 저교정 (UL) 등 3가지 교정 방법에 대해 각각 반복 측정하였다. 원용 시력은 고대비 및 저대비 차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원용 대비 민감도와 근용 시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시력 교정의 방법은 고대비와 저대비 차트를 이용한 원거리 시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1), 근거리 시력에는 시력 교정의 방법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p=0.34), 원거리 대비 민감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결론 :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최대 교정 시력과 대비 감도를 달라지게 하지 않았으며, 완전 교정 안경과 견줄 만한 전체적인 시각적 성능을 유지했다. 따라서, 중심부 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시각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40대 이상과 같이 다른 연령대에 더 많이 처방될 수 있다.
        4,000원
        12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부모코칭역량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구성하여 타당화 검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고찰 및 부모코칭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조사를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 하여 180문항을 구성하였고, 2차례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65문항을 영유아기 부모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역량, 의사표현 역량, 의사존중 역량, 자기성장 역량, 성장촉진 역량, 관계 형성 역량의 6개 하위 구성요인, 32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코칭역량 척도 타당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이는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들의 부모코칭역량을 측정하여 코칭역량의 효과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부모들의 코칭역량을 점검하여 부모역할지원과 부모교육 자료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