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1

        141.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Deficits of both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DFROM) and dynamic balance are shown in person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nd the elderly, with the risk of falls. Objec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FROM and dynamic balance in elderly subjects and young adults. Methods: Fifty-nin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kle stability young group (SY), ankle instability young group (IY) and ankle stability older group (SO). We recruited three old subjects with ankle instability, but excluded them during a pilot testing due to the safety issue. DFROM was measured by weight bearing lunge test (WBLT) and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via star excursion balance test (SEBT) in anteromedial, medial, and posteromedial directions. The group differences in WBLT and SEBT and each group’s correlation between WBLT and SEBT were detected using the R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Y, IY, and SO groups. The SO group showed the highest DFROM and IY group showed the lowest DFROM (SY: 45.88±.66˚, IY: 39.53±1.63˚, SO: 47.94±.50˚; p<.001). However, the SO group showed the lowest dynamic balance score for all SEBT directions (SY: 87.24±2.05 ㎝, IY: 83.20±1.30 ㎝, SO: 77.23±2.07 ㎝; p<.05)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dynamic balance in any group.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nkle DFROM is not a crucial factor for dynamic stability regardless of aging and ankle instability. Other factors such as muscle strength or movement coordin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training dynamic balance. Therefore, we need to establish the rehabilitation process by measuring and treating ROM, balance, and muscle strength when treating young adults with and without ankle instability as well as elderly people.
        4,000원
        143.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isokinetic strength (IS) of the hip, ankle, and knee joints in young age groups. Thirty eight men and thirty one women with mean age of 30.4 ± 3.5 and 32.8 ± 4.4 years, respectivel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easurements of hip flexion, extension, abduction, and adduction at 30° / sec, Knee flexion and extension at 60° / sec, ankle inversion, eversion, plantarflexion, and dorsiflexion 30° / sec were conducted. Absolute IS (Nm), relative IS (Nm/kg), strength ratios, correlations between movements were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lute and relative strength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in all movement except in the relative ankle strength. Relative isokinetic strength ratios of hip flexion/extension were .45 and .55, knee flexion/extension were .84 and .89, ankle dorsi/plantarflexion were .30 and .29, and ankle eversion/inversion were .86 and .84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In the hip extension, men had about three times the body weight ,and women had about 2.5 times the strength. The abduction muscle had about 1.5 times the body weight of both men and women. Height and body weight showed the significantly strong correlating relationship with hip (r, .76-.86) and knee (r, .67-.84) strength. However, ankle strength showed the comparatively correlating relationship, especially in women (r, .03 - .36). Similar age and physique characteristics of female and male groups could provide useful isokinetic strength reference values for developing the exercise program for healthy and rehabilitation groups.
        4,000원
        14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유아의 생활습관 검사도구 개발 및 통계적 타당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있는 중산층 3,4,5,6세의 부모 178명으로,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질문에 응답했습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Web-r v3.1 (R 버전 3.3.2) 및 R-SEM 2.0 alpha (lavaan 버전 0.5-22)로 분석되 었습니다.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의 구성개념의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렴타 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 수를 계산하였다. 확인요인분석에서 모델의 적합성기준은 5 가지 요인과 21 항목 (CFI : .931; TLI : .919; SRMR : .0458 : RMSEA; .075)에서 만족되었다. 또한 5요소 기본생 활습관모델의 개념신뢰도는 .829 ~ .912이고 분산추출지수는 .521 ~ .676이므로 집중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본생활습관 측정도구의 질문에 대한 안정성과 타당성이 안정적으로 검증되었습니다.
        4,200원
        14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근시안에서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굴절교정을 한 후 조절자극에 따른 동공크기의 변화와 조절반응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평균연령 23.15 ±1.70세(20~28세)의 근시안 50명(10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실 조도 100 lx에서 동공크기는 나안상태와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을 한 후 pupillometer를 사용하여 암소시, 어 두운 박명시, 밝은 박명시 상태에서 주시거리 3.5 m와 25 cm에서 측정하였다. 조절력은 푸쉬업검사(push up test), 조절반응은 개방형자동굴절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절자극에 의한 동공크기는 대응표본검 사(paired t-test)로 비교하였고, 동공변화량과 조절반응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 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근시안의 경우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을 한 후 동공크기는 감소하였고(p<0.05), 조절자극 에 의해 동공크기 감소량이 많을수록 양안 및 단안의 조절반응은 작아졌다(p<0.05). 그러나 조절자극에 의 해 동공크기가 변하지 않는 대상자는 조도에 따라 35~37%를 차지하였으며, 산동 된 경우도 7~11%로 나타 났다. 조절자극에 의해 축동된 그룹의 조절반응값은 동공크기의 변화가 없거나 산동 된 그룹의 조절반응 값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교정한 근시안의 경우 조절자극에 의해 동공크기가 감소하며 이에 따라 조절 반응이 감소하였으나, 동공이 축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축동된 그룹보다 조절반응이 크게 측정되었다. 본 연 구결과는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 작업 시 나타나는 안정피로를 이해하고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시기능을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46.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농도 CO2 환경에 순응한 호접란 유묘의 CO2 교환 및 생장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환경 조절이 가능한 식물생장상에서 6주령 호접란 ‘만천홍’을 27주 동안 야간에 각각 400 ± 100, 900 ± 100, 1500 ± 100, 2100 ± 100μmol CO2·mol-1 농도로 유지해주었다. 처리에 앞서 발달해 있었던 최상위 성숙엽으로 측정한 야간 중 CO2 흡수량은 900μmol CO2·mo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 2100, 1500, 400μmol CO2·mol-1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처리 7주 이후 새로 발달한 성숙엽에서 측정한 결과, 2100μmol CO2·mol-1 처리구가 야간 중 가장 높은 CO2 흡수량을 보였으며, CO2의 흡수량은 처리 CO2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장 반응에서는 최상위 성숙엽의 엽장, 엽폭 및 생체량은 900, 1500, 2100μmol CO2·mol-1 등 고농도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나, 신엽 발달은 고농도 CO2 처리 하에서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호접란 유묘의 높은 CO2 환경에 대한 적응이 CO2 흡수와 신엽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900μmol CO2·mol-1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잎의 생장과 생체량이 다소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원인구명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147.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와 교사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유아의 정서조절과 관련된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지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D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의 만 3세반 교실에서 약 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유아교육과 현직교수 2인과 유치원 교사 3인이 참여하였다. 협력적 실행연구의 순환과정을 통해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교사들이 작성한 유아관찰 기록지, 교사저널, 연구일지와 교실관찰, 전화통화 및 이메일 교신, 면담내용의 자료를 근거이론의 절차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협력적 실행연구에 참여하면서 정서조절 행동문제는 유아가 정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는 메시지이고, 유아가 처한 환경적 맥락에서의 어려움을 반영하며, 행동문제를 하는 유아가 곧 문제유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인식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협력적 실행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정서조절 행동문제에 대한 자신의 지도실제를 반성적인 사고를 통해 살펴보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관찰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하게 되었다. 또한 정서조절 행동문제를 지도하기 위하여 유아에게 관심을 가지고 믿고 이해하고 존중하기 시작했으며, 유아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 적용하였고, 정서조절 행동문제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부모 및 동료교사들과 협력하였다.
        6,100원
        148.
        2018.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인성의 부재로 인한 학교폭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부모의 인성교육이 시급함을 인식하고,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인성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C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유아기 부모 16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프로그램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코칭프로그램(ACTIVE코칭 대화모델)을 활용하여 인성교육내용을 다루며 핵심내 용은 감성, 도덕성, 사회성을 포함하였다. 소집단형태로 각 회기별 2시간씩 총 6회기로 부모인성코칭을 통해 부모로서 바로서고 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인성코치사로서 부모역할을 설정하도록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족한 부모인성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하고, 부모들이 요구하는 인성교육의 접근기회가 부족한 상황에서 인성코칭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둘째, 부모인성코칭 프로그램은 코칭의 과정을 접목하여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우며, 인성코치로서의 부모의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모자녀관계에 긍정적 목표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코칭의 프로세스를 익힘으로써 부모의 역량을 키울 수 있다.
        5,500원
        14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entive spirometry and Ujjayi breathing technique on the pulmonary function of smokers. Subjects were individuals who had a smoking habit of at least a year.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the incentive spirometry group (n=8), Ujjayi breathing technique (n=9), and a group applying both incentive spirometry as well as Ujjayi breathing technique (n=8). Each intervention was performed twice a day, 5 times a week, for a total of 8 weeks whereupon the change in pulmonary function was evaluated. A spirometer was used to measure FVC, FEV1, and FEV1/FVC. The survey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the Fagerström Test of Nicotine Dependence (FTND) and the Shortness of Breath Questionnaire (SOBQ). Study results for the comparison within groups showed that in the group that performed both the incentive spirometry and Ujjayi breathing technique, FEV1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Furthermore, within this comparison the FEV1/FVC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ison amongst the 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Following, to effectively increase pulmonary function in young adult smokers, both incentive spirometry and Ujjayi breathing technique should be employed together.
        4,000원
        15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유아권리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영유아권리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학회지를 중심으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발행한 23 종류의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62편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내용 동향을 살펴본 결과, 인식 및 실태조사에 대한 연구가 23편으로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 동향(연구대상의 유형과 표집크기, 연구유형, 연구도구의 유형,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방법)을 살펴본 결과, 연구대상 유형 으로는 인적대상 중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24편으로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었다. 연구대상 표집 크기는 50명 미만이, 연구 유형으로는 조사연구가, 연구도구 유형으로는 국내 비표준화된 도구가,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질문지법이,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기초분석과 문헌분석이 비슷한 수준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영유아권리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하고, 질적으로 우수하고 균형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5,700원
        15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래는 다양성을 융통적으로 발휘하여 함께 어울림이 가능한 사람만이 바람직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시대이다. 이를 위해 학교 교육은 기존의 학교라는 틀에서 벗어나 학생의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교육의 형태와 내용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았고, 학교교육의 형태에서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5년 중학교 1 학년 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총 2,056명이 연구대상이였다. 연구결과는 학업성취가 자아인식과 또래애착이 진로정체감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밝혔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인식과 학업성취, 또래애착과 학업성취, 학업성취와 진로정체감, 자아인식과 진로정체감, 또래애착과 진로정체감의 경로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인식, 또래애착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업성취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업성취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진로정체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아인식, 또래애착을 바탕으로 한 학업성취를 고취시키는 진로지도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어졌다.
        6,300원
        154.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유아 자녀의 스마트폰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은 성인의 문제를 넘어 영유아에게 스마트폰 몰입이라는 문제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성장기에 무분별하게 접한 스마트폰은 아이의 신체, 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부모들은 스마트폰이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공공장소에서 다양한 이유로 영유아 자녀에게 스마트폰을 주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은 신체, 인지, 언어, 사회정서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스마트폰 이용 시기가 빠르고 사용시간이 길수록 유아의 우울과 불안, 공격성이 높았다. 부모가 경험하는 육아 스트레스가 부모 자신의 스마트폰 중독, 영유아 스마트폰 몰입과 관련 있다는 연구도 있다. 영유아들은 부모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모습을 통해 모델링하기 때문에 영유아 앞에서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면 아이들이 스마트폰 몰입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영유아 스마트폰 몰입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녀에게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주기 보다는 부모 스스로 스마트폰을 의식적으로 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 우선시 돼야 한다. 구체적인 부모 교육의 내용으로는 스마트폰이 유아의 우울, 불안이나 공격성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아이가 어릴수록 스마트폰이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또한 부모가 조금만 신경을 쓴다면 스마트폰이 아니라 다른 건전한 놀이와 친근한 대상 등으로 자녀의 관심을 충분히 돌릴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무조건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보다는 그 시간을 긍정적인 것으로 대체해 줘야 한다. 사회제도적 관심과 대응책 마련도 시급하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영유아 스마트폰 노출이 가져오는 결과에 대한 연구도 시작단계이고 이에 따른 대책도 최근에야 마련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연령대별 과의존위험 예방을 위한 최적화된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하고 민간 예방운동을 활성화 하는 등 바른 실천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해 나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육아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과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모가 육아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해야 한다. 심리적 부분에서 부모가 자신을 잘 세워야 하고 가족들도 적극적으로 주양육자를 지지해 줘야 하며 전문가 상담, 육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신속히 마련돼야 한다.
        6,400원
        155.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like older generation whose consumption of music was bounded by their local culture, today’s young consumers access music beyond cultural boundaries. Many successful pop music in cyber space attracted billions of listeners from all over the world. The young generation born and raised in the digital age, are often thought to have altered sensory-neural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ir extensive use of electronic device since early childhood. This study investigates a perceptual saturation hypothesis which posits that in order to capture the young generation’s hard-to-get attention, online music must present a high level of energy and rhythm that is near the point of perceptual saturation. We conducted a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experiment with sixty-four young adults and found that total cerebral blood volume over prefrontal brain area was higher for a song that presents acoustic intensity near the point of perceptual saturation than a counterpart stimulus with lower levels of acoustic intensity. The degrees of prefrontal hemodynamic random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YouTube music that provided high levels of acoustic stimulation. Online popularity, recorded as the number of daily hi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cerebral blood volum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modynamic randomness.
        156.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day I was persuaded to spend more than $200 on a lotion in Barneys. The price difference (between online and store) is $75. However, the store salesman told me that it is only few dollars way! I felt humiliated by the upscale society.” Lawrence, a 22 years old male Chinese who is an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 studying marketing in a public U.S. university, posted the above status on his WeChat moments. With its fast growing economy and huge population, China has become one of the most lucrative markets for luxury brands (Zhan and He 2012). In fact, China has surpassed Japan and become the No.1 luxury products’ spender in the world, accounting more than one-quarter of the global luxury brand expenditure (Yousuf 2012). According to Bian & Company’s study (2016), $ 17.6 billion were spent on Chinese luxury market in 2015. In the past, the core Chinese luxury consumers are female middle-class and up-class consumers (Zhan and He 2012). In recent years, the faces of Chinese luxury consumers have gradually changed: more and more Chinese luxury goods buyers are males, and they actually spend more money on average than women do (Chen, 2016). In addition, the Chinese culture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culture (Li, Li and Kambelle 2012). Accordingly, Chinese luxury consumption follows its own patterns and trends, which may not always resemble those of the Western world (Li, Li and Kambelle 2012).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nese luxury consumers, in terms of motivations, for example, Mianzi (prestigious face) (Li and Su 2007; Wang and Ahuvia 1998), subcultures (Wang, Sun and Song 2011), public meaning (Wang, Sun and Song 2011), gift giving (Li and Su 2007), and reference groups (Li and Su 2007). All of those studies emphasized the cultural and social dimensions of luxury brands’ consumption. Given thes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arket, Western luxury brands have made use of all possible communication methods to connect with Chinese consumers. One of the seemingly promising channels is the Internet. The Internet breaks down geographical and temporal boundaries (Kozinets 1999), and enables Western luxury brands to connect with overseas markets. Among all the digital advertising tools, social media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Chinese market (Kim and Ko 2012). In 2015 alone, there were 574 million active mobile social media users in China (Kemp 2015). Due to the large number of social media users, Western luxury brands, like Burberry (Phan, Thomas, and Heine 2011), have started practicing social media advertising (Okonkwo 2009). Accordingly, several challenges emerge. With the rising popularity of social media, Chinese consumers increasingly demand Western luxury brands’ social presence online. Looking at the bright side, social media allows Western luxury brands to show a desirable brand image (Okonkwo 2009; Tynan, McKechnie, and Chhoun 2010) and maintain customer relationship (Kim and Ko 2012). However, concerns about negative consumer comment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brand images (Britten 2013; Macnamara and Zerfass 2012; Singer 2014) loom large. Thus, it remains a question whether and to what extent Western luxury brands embrace the interactive media. Moreover, it is unclear how Chinese consumers perceive their social media advertising effort. In particular, how Chinese young males, the new market segment, interpret luxury brands’ social media advertising presence is an untapped research fiel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ll the research gap by exploring how Chinese young male consumers understand and interpret luxury brands’ social media advertising. Given the exploratory nature of the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is adopted (Creswell 2013).
        15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문에서는 머신비전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객체를 계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영상처리를 이용한 객체 계수 시스템은 유동인구나 교통량 파악 등의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템플릿 매칭이나 기계학습의 방 법으로 검출하여 추적 후 계수한다. 하지만 빠르게 움직이는 컨베이어 벨트위의 물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연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 아야 하므로 영역기반의 방법으로 영상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양과 크기, 그리고 색깔이 비슷한 전복 치패를 계수하였다. 컨 베이어 시스템은 한 방향으로 동작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첫 번째 영역에서 치패를 검출하여 정보를 얻은 것을 기반으로 다음 프레임 에서의 물체의 위치 범위를 계속적으로 변화하여 치패를 검출하고 각각의 획득한 정보를 비교하여 계수하였다. 치패가 간격을 두고 이 동 시에는 정확하게 계수됨을 확인하였으며, 치패가 붙어서 오는 경우에는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계수하여 중복되거나 누락됨을 방지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컨베이어 시스템 위에서 움직이는 다양한 객체 계수 제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5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지영의 『도가니』는 구별짓기와 차별의 문제를 고발하고 있다. 그리고 작 품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장애인에게 가해진 학대와 폭력을 현실 비 판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작품 속에 나오는 장애에 대한 심층적 해석 은 장애인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장애의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가능하다. 장애인 들은 신체적 혹은 지적 장애로 인하여 자신들만의 독특한 삶의 경험을 가질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사회에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특별한 방식을 취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작품 속에 나오는 많은 비장애인들은 장애인에 대한 비합리적 의 사소통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종교인들 역시 종교 공동체의 명분과 안 위를 최우선의 가치로 설정함으로써 사회문제에 대하여 비합리적 태도를 견지 한다. 부도덕 사회에서 비장애인들의 비합리적인 의사소통 방식 그리고 종교는 장애인의 합리적 의사소통을 가로막는 사회적 장벽으로 작동하고 있다. 『도가 니􋺸는 장애담론을 바탕으로 의사소통에 있어서 보편청중의 역할을 강조하는 동 시에 인간 존엄성의 궁극적 가치를 문학적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욕 망의 극대화를 최우선적 목표로 설정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애담론은 인간 존엄성 회복을 위한 대항담론으로서의 가치를 지닐 수 있다.
        5,800원
        15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Research efforts to improve the pulmonary function of people with limited chest function have focused on the diaphragmatic ability to control breathing pattern. Real-time ultrasonography is appropriate to demonstrate diaphragmatic mechanism during breathing.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using real-time ultrasonographic imaging (RUSI) on the chest function of young females with limited chest mobility.Methods:Twenty-six subjects with limited chest mobility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EG) and control group (CG) depending on the use of RUSI during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with 13 subjects in each group. For both groups,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was performed for 30-min, including three 10-min sets with a 1-min rest interval. An extra option for the EG was the use of the RUSI during the training. Outcome measures comprised the diaphragmatic excursion range during quiet and deep breathing, pulmonary function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sec; FEV1, tidal volume; TV,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and chest circumferences at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Results:The between-group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diaphragmatic excursion range during deep breathing, FVC, and middle and lower chest circumferences were greater at post-test and that the chang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values were greater in the EG than in the CG (p<.05). In addition, the subjects in the EG showed increased post-test values for all the variables compared with the pretest values, except for TV and MVV (p<.05). In contrast, the subjects in the C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the diaphragmatic excursion range during quiet and deep breathings, FVC, FEV1, and middle and lower chest circumferences after the intervention (p<.05).Conclusion:These results indicate that using RUSI during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might be more beneficial for people with limited chest mobility than when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is used alone.
        4,000원
        16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Limitation of hamstring extensibility is often associated with various musculoskeletal problems such as alterations in posture and walking patterns. Thus, certain appropriate strategies need to be established for its management.Objects: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 and static stretching exercises on popliteal angle and hamstring compliance in young women with short hamstring syndrome (SHS).Methods:Thirty-three women with SH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group-1 (n1=17) that underwent the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 or group-2 (n2=16) that underwent the static stretching exercises.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active popliteal angle (APA) and a hamstring’s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at a maximum popliteal angle of the baseline. Intervention for each group was performed for a total time of 3-min (6 sets of a 30-sec application).Results: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ime and group in the APA [group-1 (pre-test to post-test): 69.70±8.14° to 74.14±8.07° and group-2: 68.66±7.42° to 70.52±7.92°] (F1,31=6.678, p=.015) and the EMG activity of the hamstring (group-1: 1.12±.30μV to .69±.31μV and group-2: 1.19±.49μV to 1.13±.47 μV)(F1,31=6.678, p=.015). Between-group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EMG activity of the hamstr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post-test between the groups (p<.05). Furthermore, in within-group comparison, group-1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both variables between pre- and post-test (p<.05); however, group-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the APA between pre- and post-test (p<.05).Conclusion: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 and static stretching exercises may be advantageous to improve hamstring compliance in young women with SHS, resulting in a more favorable outcome in the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