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3

        22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수년 동안 선박숭무원의 피로는 해양사고의 잠재적인 원인(potential cause) 또는, 인간과실(human error)에 기여하는 것으로써 그 개념이 무시되거나 고려되지 알았다. 그러나 최근 해양사고 자료나 조사에 의하면 피로가 임무수행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쳐서 인간과실을 유발하게 하고 결국 각종 해양사고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게 되었고, 여기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승무원의 피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업무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피로유발요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4,000원
        225.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Korean Herbalogy with the plants of Rosaceae which grow wild and is planted in Korea, the these and writings on herbalogy, from literature of successive generations, have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1. There were totaled to 36 genera and 262 in Korea and among them medicinal plants are 27 genera, 117species, some 44% in total, but the number of species may be added because of the similiar plants. 2. According to sum of 262 species in Rosaceae family, they were classified into Agrimonia genera 3, Potentilla genera 26, Prunus genera 48,pyrus genera 17, Rosa genera 24, Rubus genera 28, Sorbaria genera 17, Spiraea genera 20. Thus it was noticed that Prunus genera was the main kind in total. 3. According to the oriental names which can be used for medical purpose, the medicinal plants belonging to the Rosaceae family were classified as Herba 24, Radix 43, Foilum 31, Fructus 48, Semen 11, cortex 14, Lignum, Ramulus;12 each Flos 3, pericarpium 3, resina 2, the others 6. so Fructus is 24% of all and it is the most applied in the clinical treatments. 4. According to nature and flavour of medicinal plants, they were classified into balance 84, warmth, heat; 44 each, cold, cool; 35 each bitter taste 79, sweet taste 74, sour taste 61 thus it was noticed that balance and bitter taste is the main in nature and flavour of medicinal plants 5. According to meridian tropism of herbs they were classified into liver meridian 50 lung meridian 28, stomach meridian 22, spleen meridian 20, heart meridian 19 thus it was noticed that liver meridian is the main kind 6.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nd Principal curative action, they were classified into drugs for treating detoxicant 72, drugs for treating febrifugal 55, drugs for invigorating blood circulation 53, drugs for removing dampness 46, drugs for expelling wind and drugs to stop bleeding 38 each, drugs to cure tramatic swelling and drugs for relieving pain 36 each. Thus it was noticed that drugs for treating detoxicant and febrifugal was the main kind 7. It was researched that toxic drugs include minor toxin were 10 kinds From this result, it was revealed that Fructus was the main kind in the plants for medical purpose of Rosaceae. and toxic plants was slightly poisonous that it will be used for clinical treatments more easily. It is considered that many experiments and clinical approaches must be continued to use Rosaceae plants widely.
        8,900원
        227.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뿔고동(통칭 소라) 통발의 망목선택성 및 적정 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2003년 6월 27일~6월 29일까지 전북 군산시 말도 인근 해역에서 시험조업을 실시하였다. 시험어구는 망목 35mm, 50mm 및 65mm의 3종류의 그물감을 씌운 통발을 교호로 각각 70개씩 210개를 1개조로 구성하여 2개조를 사용하였으며, 망목선택성 곡선의 분석에는 Kitahara(1968)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뿔고동 통발의 시험조업 결과 총어획미수는 1,682마리였으며, 피뿔고동 1,268마리 (75.4%), 배꼽고동 225마리 (13.4%), 쥐노래미 113마리 (6.7%), 기타 76마리 (4.5%) 등이었다. 2. 피뿔고동의 최대 각고/망목(max. 1/m)의 값은 1.79로 추정되었다. 3. 50% 선택구간에 대한 각고/망목(max. 1/m)의 값은 1.79로 추정되었다. 3. 50% 선택구간에 대한 각고/망목(1/m)의 값은 1.24~2.72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선택폭은 1.48이었다. 4. 피뿔고동의 어획금지체장(각고) 50mm에 대한 적정 망목은 40.3mm로 추정되었으며, 피뿔고동의 50% 선택각고 범위는 50.0~109.6mm로 나타났다.
        4,000원
        22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포항 접근 항행구역은 30마일 구간의 협수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로가 여러 지점에서 교차하고 있어 교통이 혼잡한 수역이다. 특히 목포구를 제외한 외측수역은 항로가 지정되어 있지 않고 어망 및 광업권이 산재하여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변 환경과 항행 위해요소 분석, 교통실태 관측조사 및 해양사고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환경평가를 실시하여 항행안전을 위한 요소를 제시한다.
        4,000원
        23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축분뇨의 시용은 단순한 비료효과 외에 유기자원의 자원화 및 토양환원으로 자연순환이란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의 가축분뇨 이용이 시도되어 오고 있으며 본 시험은 돈분액비 시용 수준이 호밀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돈분액비의 적정 시용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10월부터 2002년 5월까지 2년간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 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돈분액비 200% 시용구가 월동 후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고 도복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