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5

        223.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체외수정란 생산효율을 향상시켜 돼지의 품종개량, 형질전환 돼지생산 등과 멸실위험에 처해 있는 유전자원의 보존을 위한 기술로 활용하기 위해 미성숙 난포란의 적정 체외성숙 시간을 알아보고, 배양액의 종류 및 체외 배양시의 산소 농도에 따른 체외수정란의 생산 효율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 시간별 제2감수분열중기(M II)까지 성숙된 비율이 체외성숙 38, 40, 42시간째에 각각 61.1%, 42.9%
        4,000원
        224.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신의 성립 및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궁내막세포에 통로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로는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에 풍부하게 존재하면서 세포의 안정막 전압을 유지시킨다. 역전사 중합 효소 중합 반응과 면역 세포 화학 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자궁내막세포에 존재하는 통로를 조사한 결과, TASK-1, TASK-3, TREK-1, TREK-2 및 TRAAK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TASK-3와 TREK-1은 핵을 포함한 세포 전역에 발현
        4,000원
        22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산화제는 산소의 저장고로서 무혈청 배양액에서 주요한 작용을 하며, 복합배지에서 유용한 첨가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 체외 수정란의 배양에 있어서 항산화제인 L-cysteine의 작용과 수정란의 발달 단계별 염색체의 분석을 통하여 체외 수정란의 배양 체계를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난포란의 체외 성숙은 0.1% PVA, 0.1 mM L-cysteine 첨가 시 체외 성숙율은 73.4%, 94.6%으로 각각 나타냈으며, 처리간에 유의적
        4,000원
        226.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돼지 난포란에서 채취된 난모 세포들을 체외성숙 후 형태적으로 선별하거나 극체 방출란을 선별하여 활성화 처리 후 48시간째에 분할란을 선별할 때 배발달율이 어느정도 향상되는지를 검토하였다. 난모 세포를 48시간 성숙 배양 후 형태적 선별과 극체의 방출 유무를 검사하고, 선별된 난모 세포들을 시간 추가 배양한 후 7% ethanol로 활성화시키고 cytochalasin B에 5시간 노출 후 PZM-5 배 양액으로 7일간 배양하였으며, 배양 중
        4,000원
        22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준고냉지 안개초 가을 절화 재배에서 GA3와 BA 엽면살포가 생장 및 로젯트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 사하였다. GA3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1회보다 2회 처리에서 출뢰가 촉진되었고, 화경장, 경경 및 측 지수가 증가하였다. 100mg·L-1 2회 처리에서 로젯트 발생이 77% 억제되었고, 비정상 생육과 도복률이 낮 았으며, 절화량도 2,657속/10a로 많았다. 단일조건에서 의 BA 엽면살포는 잎 분화를 증가시켰고, 비원추화서 와 로젯트가 증가하여 무처리에 비해 출뢰율을 감소시켰다.
        4,000원
        233.
        2007.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성판별을 위한 biopsy 후 수정란의 발달율 및 동결-융해 후의 생존율 조사는 다음과 같다. 한우 체내 및 체외 수정란의 성판별을 위해서 영양막 세포의 일부를 채취하기 위해서 수정란을 biopsy 하였다. biopsy된 수정란의 생존율 조사의 결과는 체내 수정란이 100% 그리고 체외수정란이 90.0%의 결과를 나타내어 체내수정란이 체외수정란보다 biopsy 후의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수정란의 성판별 비율은 체내수정란에서는 암컷과 수컷의 비율이 46.3%와 53.7%로 각각 나타나 수컷의 비율이 암컷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체외수정란에 있어서는 암컷과 수컷의 비율은 40.0%와 60.0%로 수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성 판별된 수정란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은 완만동결 방법에 의한 수정란의 생존율은 체내수정란에서 58.8%, 체외수정란에서는 41.7% 그리고 초자화 동결 방법에서는 체내수정란의 생존율이 77.8%, 체외수정란은 57.1%로의 결과를 보여 체내수정란을 이용한 초자화 동결 방법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4,300원
        234.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더러브렛종 암말의 번식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호르몬 투여 및 인공 조명에 의한 인위적으로 발정 조절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정 주기에 있는 암말의 또는 altrenogst투여에 의한 발정 발현율은 100%이었으며, 수태율은 각각 95.2% 및 71.4%였다. 전년도 공태마에 대하여 altrenogest단독 또는 altrenogest과 estradiol 병행 투여시 3월 이내 100% 발정이 발현되었으며, 발정 발현일은 altrenogest 투
        4,000원
        23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중부 지역에 서식하는 수리부엉이(Bubo bubo)의 먹이를 확인하고 서식 환경에 따른 먹이습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냥흔적 및 먹이 잔존물 82개, 소화되지 않은 먹이 덩어리인 펠릿(pellet) 55개를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류, 포유류 및 곤충으로 구성된 총 150개체의 먹이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조류의 이용 빈도(56.67%) 및 생물량(78.04%)이 가장 높았다. 집쥐류(Rattus spp.), 꿩(Phasianus colchicus), 등줄쥐(Apodemus agrarius)를 흔히 이용하였으나, 생물량 측면에서 꿩이 가장 중요한 먹이로 나타났다. 척추동물을 기준으로 한 수리부엉이 먹이의 평균 생물량은 503.3g으로서 비교적 다양한 크기의 먹이를 포식하였으나, 개활지 보다 산림지역에서 더 크고 다양한 먹이를 이용하였다. 산림지역에서는 꿩과 원앙(Aix galericulata) 등의 조류를 많이 포식하였으나, 특정 분류군을 선호하기 보다 적정 크기의 먹이를 선호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개활지에서는 소형의 특정 포유류(설치류)에 의존하면서 큰 생물량을 가진 꿩 등의 조류를 일부 이용하는 기회주의적인 먹이습성을 보였다.
        4,000원
        23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염소 액상 정액의 활용에 적합한 희석액을 검토하여, 국내 염소 인공수정 실용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두 마리의 흑염소 수컷으로부터 전기 자극법으로 정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정액은 BTS로 희석하여 5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정장을 제거하고, BTS, Modena, Triladyl로 희석하여 냉장고나 온장고에서 8일간 보관되었다. BTS와 Modena로 희석된 정자의 운동성은 하루 만에 소멸되었으며, BTS로
        4,000원
        237.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우의 사육이 집단화, 대형화 되어가고 사육 규모 및 형태가 달라지고 있는 환경에서 번식우 사육 농가를 대상으로 사육 규모와 사육 형태별, 산차별 번식 장애우의 발생 양상을 알아보고, 번식 장애의 발생 유형 및 그 비율을 확인하며, 한우 사육 농가에서 번식우의 영양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신체충실지수에 따른 번식 장애우의 발생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이후 한우 번식우 사육을 위한 적정 사육 환경을 규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1. 한우 번식우의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