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7

        263.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추저장 중 포장재별 중량감소는 LDPE, PP 및 HDPE film처리가 포장재간 큰차이 없이 1% 미만의 매우 작은 감소를 보였으나, 무포장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부추즙액의 당도는 입고시 6.0 Brix에서 무포장 2주째에 4.6 Brix로 크게 감소되었으며, LDPE film등 포장재처리는 밀봉처리에서 4.9-5.9 Brix로 감소폭이 적었고, 탈기처리시에는 4.5-4.7 Brix로 감소폭이 다소 큰 경향이었다
        264.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acterial strain JE-1 degrading and utilizing Congo Red as a sole carbon source was isolated from dye-contaminated soil and identified as Enterobacter species. Enterobacter sp. JE-1 had the highest decolorization ability when it was cultured in the medium containing 0.05% NH_4NO_3, 0.05% K_2HPO_4 0.03% MgSO_4·7H_2O, 0.025% Congo Red, initial pH 7.0 at 30℃, respectively. Enterobacter sp. JE-1 had the relatively high substrate specificity. The dye decolorizing activity was exclusively extracellular. The expected metabolic intermediates of Congo Red by Enterobacter sp. JE-1 were analyzed by GC/MS. As a result, metabolic products like hexadecanoic acid, 1,2,3-triphenylcyclopropen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hexadecane, heptadecane, octadecane, hexacosane etc., and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butyl ester were detected. Benzidine did not detected.
        265.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organisms capable of degrading trichloroethylene(TCE) using phenol as a induction substrate were isolated from industrial effluents and soil. The strain MS-64K which had the highest biodegradability was identified as the genus Micrococcus. The optimal conditions of medium for the growth and bio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were observed as follows; the initial pH 7.0, trichloroethylene 1,000ppm as the carbon source, 0.2% (NH_4)_2SO_4 as the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Lag period and degradation time on optimal medium were shorter than those on isolation medium. Growth on the optimal medium was increased. Addition of 0.1% Triton X-100 increased the growth rate of Micrococcus sp. MS-64K, but degradation was equal to optimal medium. Trichloroethylene degradation by Micrococcus sp. MS-64K was shown to fit logarithmic model when the compound was added at initial concentration of 1,000ppm.
        266.
        198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지방에 있어서 과맥의 유용형질에 대한 유전율, 유전상관, 경로계수, 선발지수 및 유전적 진보의 선발효과를 구명코자 백동외 8품종을 공시하여 단국대학교 농과대학의 전작포장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과맥 품종군의 유전율은 간장, m2 당 수수는 높은 유전력을 보였으며 기타 형질은 비교적 낮았고 천립중은 매우 낮았다. 2. 일반적으로 유전상관은 표현형상관보다 높았으며 수량과 타형질과의 유전상관은 총생체중, 수중, 수중대고중비는 고도의 정상관이 있었고 간장, 수장, 1수립수, 수당불임입수와는 높은 부상관을 나타냈다. 3. 수량에 관하여는 형질을 보다 정확히 알기 위하여 경로계수를 분석한 바 총생체중, 수중대고중비 및 천립중 등이 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하였다. 4.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각 형질의 선발지수 및 수량에 대한 유전적 진보를 계산한 결과 2~3 개 형질을 대상으로 하여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해 가는 것이 시간과 노력 그리고 선발효과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