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5

        26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래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것인지를 현재의 시점에서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사회질서를 규율하는 제도라고 한다면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되지 않도록 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제도는 최근에 새롭게 창출된 제도라는 점에서 종래에 발생한 문제점들을 면밀하게 파악한다면, 장래에 정립될 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제도는 보다 합리적이고 실질적 정의에 합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이 논문의 연구대상인 한부모가족은 부자가족과 모자가족 이외에 조손가족과 그밖에 부모의 일방이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주로 경제적 원인을 이유로 정의되는 것이다. 한부모가족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법률인 한부모가족법은 종래의 모자복지법 내지 모부자복지법이 법명을 변경한 것이며, 이 법률에 기하여 한부모가족에 대한 지원은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모, 부자복지제도에 의하여 보호받고 있고, 소득기준, 재산기준, 부양의무자기준 등으로 수급자로 선정되지 못한 차상위계층을 포함한 한부모가족을 대상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모, 부자복지제도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저자는 제주지역의 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제도와 관련한 현행 조례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관련논점과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26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실 운영에 필요한 전력량을 확보함으로서 온실경영비 절감을 목적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온실에 인접한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일사량에 따른 발전량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 동안 수평면 일사량의 최대, 평균 및 최소 값은 각각 26.1MJ · m−2, 14.0MJ · m−2 및 0.6MJ · m−2 정도였고, 일일 전력량은 각각 약 6.1kWh, 3.7kWh 및 0.01kWh 이었다. 그리고 누계 일사량과 전력량은 각각 약 4,378.2MJ · m−2 및 1,163.2kWh 정도이었다. 그리고 부하에 의해 소비된 적산전력량의 최대, 평균 및 최소값은 각각 4.5kWh, 2.4kWh 및 0.0kWh 정도이었고, 누계 전력량은 739.2kWh 정도로서 발생 전력량의 약 63.5% 에 해당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시스템의 평균 소비전 력량을 기준으로 보면, 온풍기의 용량 및 작동시간이 작은 경우는 충분하지만 큰 경우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레이 표면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일사량에 비례해서 발생 전력이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인자 간에 상관계수는 0.851 정도로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6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동 내 난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난류격자를 사용한 수동적 방법이나 난류발생장치를 활용한 능동적 방법을 활용한다. 그 중 격자에 의한 방법은 상대적으로 손쉽게 다양한 크기의 난류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 격자에 의해 생성된 난류의 강도는 격자요소의 크기, 격자요소의 간격, 격자로부터 측정점까지의 거리에 좌우된다. 단일 격자요소에 의해 발생된 난류에 대하여 세 가지 요소의 효과를 먼저 분석하였다. 격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격자요소 간의 간격이 가까워질수록, 그리고 격자로부터 측정점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난류강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1m의 폭을 갖는 풍동에서 측정점 기준 좌우 350mm 내의 범위에 대해 측정된 난류는 적정 수준의 균질성도 확보하고 있었다. 교량 거더의 연직 와류진동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수준의 연직 난류강도를 2.5%로 보고 이와 같은 낮은 수준의 난류강도를 구현할 수 있는 격자를 제작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파악된 현상 등을 제시하였다.
        4,000원
        26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expectation that mobile applications for smart devices have potential media to effectively support the performances and social inclusion of persons with ASD, in this study, we suggest application program with game contents suggestions based potential consumer needs assessment. 4 participants who are mother of child with ASD were interviewed to examine children’s needs assessment of app program and game development. Through this interview 5 basic contents menu were suggested that include the following: “I’m Sick.”, “Question list”, “My schedule: visual support”, “Music: auditory support”, “My picture: making personal dictionary”. These contents menu and UI(User Interface) designs were invented using AppInventor program. Developed app program usability test were executed another 15 parents of child with ASD. All usability tests use 5 point likert scale. Finally, we suggest expectation and proposal for future studies.
        4,000원
        265.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로 소음은 주행은 주행 쾌적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인 포장관리 시스템에서는 도로의 공용성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포장의 파손형태, 파손의 심각도 및 파손량, 평탄성을 중ㆍ장기적으로 모니터링 등의 방법으로 유지관리 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도로의 기능적 측면인 도로 소음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 그림 1과 같이 이승우(2013)의 연구에서는 PLP(Portable Laser Profiler)를 이용하여 주행 중 노면조직특성인 평균프로파일깊이(Mean Profile Depth)를 측정하여 타이어-노면 소음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노면조직 깊이에 따라 타이어-노면 소음의 발생 범위가 다양하며, 노면조직 깊이가 증가할수록 타이어-노면소음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MPD에서 소음의 크기가 다양하게 존재하며, 상관관계식에서 분산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국외의 경우에는 노면조직의 형상과 깊이에 따라 소음이 다르게 측정되는 경향을 연구결과가 있으며, 다양한 방향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노면조직과 타이어-노면소음 분 석결과를 이용하여 동일한 노면조직의 형상과 패턴에 따른 소음평가하고, 노면조직의 형상과 패턴을 보다 편리하게 적용하기 위하여 노면조직의 형상 및 패턴의 지수화방안을 고찰하였다.
        26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conomic feasibility of low-carbon-oriented gear for anchovy boat seine. The results of benefit/cost analysis showed that use of the low-carbon fishing gear is economically feasible. Considering the fuel saving and relatively low CO2 emission by reducing the resistance of gear, net present value by such type 1 gear improvement was estimated about -2,490 ~ -1,580 million won with the benefit-cost ratio 0.81~ 0.88. And net present value by such type 2 gear improvement was estimated about 6,540 ~ 7,780 million won with the benefit-cost ratio 1.79 ~ 1.94. Development of lowcarbon trawl gear would render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reducing CO2 emission in fishing operations and lead to reduce fishing costs due to fuel savings.
        4,000원
        267.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optimal net twine thickness of drift net for yellow croaker. The filed experiments of the fishing performance were conducted with three kinds of drift net with different monofilament diameters (No.3=0.284mm, No.4=0.330mm, No.5=0.370mm) the total eight times in the southwest coastal sea of Korea. And the physical properties tests on the monofilaments of experimental net were carried out to estimated breaking load and softness in dry and wet conditions,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the No.3 mono. was the strongest break load per unit area in dry and wet conditions. And the softness showed that the No. 3 mono. was the most soft than another experimental monofilaments. The fishing performance was; the No. 3 drift net showed the most catches. Conversely, the catches of No. 4 and No. 5 drift net showed the half on the catches of No. 3 drift net. Consequently, the diameter of monofilament in the drift net for yellow croaker should carefully choose to consider the economic sides such as the amount of catches and the cost of catches.
        4,000원
        268.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주간 동안 온실 내에 발생하는 잉여 태양에너지 축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주 지역에 설치된 와이드 스팬형 온실을 대상으로 락베드 유ㆍ무에 따른 열수지 분석하였다. 파프리카를 재배한 온실의 경우, 락베드를 설치한 온실이 난방에너지를 17.9%정도 절약할 수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잉여 태양에너지는 90.6%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화를 재배한 온실의 경우, 락베드를 설치한 온실이 난방에너지를 약 16.0%정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잉여태양에너지는 104.5%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방에너지나 잉여 태양에너지 이외에도 온실에서 작물의 광합성에 이용된 에너지, 복사나 피복면의 대류 등으로 손실되는 열량도 락베드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온실형태 및 재배작물의 종류가 단위피복 면적당 난방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베로형 온실이 와이드 스팬형 온실에 비해 3.9~12.0%정도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잉여 태양에너지의 경우, 벤로 온실이 와이드 스팬형 온실에 비해 12.0~64.1%정도 많게 나타났다.
        4,200원
        26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에서 CH4 농도의 수치모의 검증을 통하여 CH4 배출원의 기여 농도를 추정하는 것이고, 이 수치모의에 사용된 CH4 배출량을 상자모델로부터 추정된 CH4 배출량과 비교하는 것이다. 한반도에서 2010년 4월 1일부터 8월 22일까지 CH4의 평균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WRF-CMAQ 모델이 사용되었다. 모델에서 CH4 배출량은 전지구 배출량인 EDGAR와 한국에서의 온실기체 배출량인 GHG-CAPSS로부터 인위적 배출 인벤토리와 전지구 자연적 인벤토리인 MEGAN이 적용되었다. 이들 CH4 배출량은 안면도 및 울릉도에서 측정된 CH4 농도와 모델링 농도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검증되었다. 울릉도에서 국내 배출원으로부터 추정된 CH4의 기여 농도는 약 20%로 나타났고, 이것은 한반도 내 농장(8%), 에너지 기여 및 산업공정(6%), 일반폐기물(5%), 생체 및 토지이용(1%) 등 CH4 배출원으로부터 기원하였다. 그리고 중국으로부터 수송된 CH4의 기여 농도는 약 9%였고, 나머지 배경농도는 약 70%로 나타났다. 박스모델로 추정된 CH4 배출량은 WRF-CMAQ 모델에서 사용한 CH4 배출량과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4,800원
        27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내 온실의 설계에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설계 풍속 및 적설심을 제공하기 위해, 최근 2011년 까지 각 지역별 총 72개 지점의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간척지 대부분이 분포하고 있는 안산시, 화성시, 당진시, 태안군, 보령시, 군산시, 해남군, 진도군, 장흥군 및 고흥군 등에 대하여 재현기간별 설계 풍속 및 적설심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와 기존의 관련기준과 비교해 보면 설계 풍속 및 적설심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 지역 대부분은 기존의 관련 기준이 과도하게 높게 산정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척지의 경우는 재현기간 30년을 기준으로 대부분 설계풍속이 30 m․s-1 이상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하의 지역들도 거의 30 m․ s-1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그리고 간척지역들 중 군산시는 설계적설심 또한 33.7 cm로 72개 지역들 중에서 비교적 높은 순위(11위)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간척지 내 온실은 바람에 강한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군산지역은 적설의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다른 간척지에 비해 시설원예 대상지역으로는 다소 불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7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주간동안 온실 내에서 발생되는 잉여 태양에너지 축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확보한 표준기상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벤로형 온실을 대상으로 잉여 태양에너지를 분석하였다. 파프리카의 경우, 지역별 난방부하는 제주, 진주 및 대관령지역에 대해 각각 약 1,107.8GJ, 1,010.0GJ 및 3,118.5GJ로 분석되었다. 잉여 태양에너지의 경우, 제주지역 1,845.4GJ, 진주지역 1,881.8GJ, 대관령지역은 2,061.8GJ로 나타나 대관령지역이 제주 및 진주지역에 비해 각각 11.7% 및 9.6% 정도 크게 나타났다. 국화의 경우, 지역별 난방부하는 제주지역 1,202.5GJ, 진주지역 1,042.0GJ, 대관령지역은 3,288.6GJ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별 차이는 파프리카의 경우와 유사였다. 잉여 태양에너지는 제주, 진주 및 대관령지역에 대해 각각 1,435.2GJ, 1,536.2GJ, 및 1,734.6GJ로 나타나 대관령 지역이 제주 및 진주지역에 비해 각각 20.9% 및 12.9% 정도 크게 나타났다. 파프리카를 재배하는 경우가 국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역에 관계없이 난방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고 잉여 태양에너지는 많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관령지역을 제외하면 잉여 태양에너지가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소요 난방에너지는 지역 및 재배작물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오이가 일반적으로 많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국화 및 파프리카 순이었다. 잉여 태양에너지는 대체적으로 파프리카, 오이 및 국화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4,000원
        273.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ave an effect on control the growth of algae such as "Actinastrum fluviatile" which occurs frequently in the aquaculture tank using by a cold plasma, and it also would be expected to promote the growth of water plants due to active element causing OH radicals in the water. In addition, it was verified on the death rate as 99.9% on the scale protrusion of "Aeromonas hydrophila" as well as E. coli, especially, under extreme conditions more than 100 million pathogenic bacterium in the aqua pet tank, the ornamental fish had to act in a safe and healthy environment at over 98% death rate within 48 hours. It has been proven to give no affect on aerobic bacteria that exist in the filter or soil because there was no residual toxicity in the water tank. As the results, it will help to develop and apply on the sterilization device in other industries as well as aquarium organisms due to adopted energy-saving algorithm and reliability in use.
        4,000원
        274.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igging and angling fishery is prevalent in the East Sea of Korea and this fishery needs many lamps to attract the fish. And the fishing boat uses 24~47 ballasts by the vessel's tonnage to turn on the fishing lamp. A 3.5kW magnetic-type ballast being currently used at many fishing boats can drive two 1.5kW metal-halide lamps. Meanwhile, this ballast has large weight (25kg) and volume. Therefore it is one of reason for the over-consumption of energy and the fire, resulted from overheat and electrical short, occurs occasionally because the ballast is installed at narrow and hot engine room. In addition, most of magnetic ballast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periodic condenser replacement, low energy efficiency and making lamp short life, etc.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or develop newly the electronic ballast, which has to be smaller, lighter and more efficient. An electronic ballast was designed for the fishing boat by considering duration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the study. Its weight and volume are respectably 40% and 66% compared to current ballast on the basis of PCB. The metal-halide lamp's spectrum of the designed ballast was nearly same to that of the current ballast in the test of lighting. In particular, the light stability was improved and there isn't any radio interference. As mentioned abov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electronic ballast can replace current magnetic ballast because of many advantages related to energy-saving.
        4,000원
        275.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from May, 2006 to September, 2007, using gill nets of different mesh sizes (m=101, 121.8, 152.5, 176.8, and 191 mm) to determine the mesh selectivity of gill net for swimming crab, Potunus trituberculatus. The catch species was composed of swimming crab (87%), Thomas's rapa whelk Rapana venosa (5%), arthritic neptune Neptunea cumingi (2%), Japanese swimming crab Charybdis japonica (2%),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1%), pen shell Atrina pectinata, ocellate spot skate Okamejei kenojei, and so on. The carapace length (CL) of each swimming crab caught in the experimental nets was measured. Sponge crab (egg-bearing female crab) was appeared from the end of June to August in the coastal waters. The master selection curve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extended Kitahara's method. The selection curve showed that the gill nets of larger mesh size allowed more crabs of small carapace size to escape. The optimum value (CL/m) was 0.645 and the CL/m was estimated to be 0.301, 0.354, 0.391, 0.422, and 0.450 when the retention probabilities were 0.1, 0.2, 0.3, 0.4 and 0.5, respectively.
        4,000원
        276.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et filament were investigated to test the fishing capacity of gill nets due to the flexibility difference between nylon and biodegradable nets (PBS 95%+PBAT 5% and PBS 80%+PBAT 20%). In addition, a total of 16 fis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Jeongja, Ulsan, from August 10 to October 20, 2011 and from September 11 to November 3, 2012.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nylon net filament exhibited more flexibility than biodegradable net filament when they were wet. Accordingly, the longer submerged time, the more fishing capacity the nylon gill nets demonstrated in comparison with the biodegradable gill nets. A total of 16 species were caught in 2011 with the nylon gill nets (1,323 fishes, weighing 342,885g) and the biodegradable gill nets (958 fishes, weighing 236,857g). 15 species were caught in 2012 with the nylon gill nets (1,582 fishes, weighing 448,360g) and the biodegradable gill nets (1,431 fishes, weighing 406,590g). Thus catch weights and the number of fish caught produced by the nylon nets were 1.45 times and 1.38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biodegradable nets produced in 2011, and 1.1 times and 1.11 times higher in 2012. A test on the target species, pointhead flounder (Cleisthenes pinetorum) has similar results. The flexibility of a net was proved to be related to the fishing capacity, and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higher flexibility, the higher fishing capacity.
        4,200원
        277.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Lycoriella ingenua(한글명 미기 록) 성충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9월 26일에 화성에서는 트랩 당 127.5*1,025.7마리, 부여에서 는 87.4*743.6마리, 청원에서는 133.7*650.4마리로 세 지역에서 9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 다. Lycoriella ingenua는 유충이 자실체를 직접 가해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리거나, 배지 속에 서 유충이 서식하면서 배지의 영양분을 먹고 심하면 배지를 스폰지화하여 표고버섯 자실체의 성장을 저하시키는 피해증상을 나타내었다. Lycoriella ingenua의 표고버섯 자실체의 피해률 은 화성에서 7.7*30.3%, 부여에서는 6.7*25.3%, 청원에서는 5.3*26.0%로 세 지역에서 9월 하순 에 피해가 많았다. 톱밥재배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화성, 부여, 청원에서 천적인 아큐레이퍼응 애를 이용하여 Lycoriella ingenua의 방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 당 아큐레이퍼응애의 약충과 성충을 30.3마리 밀도로 7*14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얻었다. 화성의 표 고재배 농가에서는 아큐레이퍼응애 처리구에서 Lycoriella ingenua의 성충 유인수가 끈끈이트 랩 당 평균 168.2마리, 자실체 피해률은 평균 5.9%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67.1%, 69.3% 가 감소되었다. 부여와 청원의 표고재배 농가에서는 끈끈이트랩 당 성충 유인수가 각각 평균 126.1마리, 132.5마리였고 자실체의 피해률은 5.5%, 5.4%로 성충 유인수는 무처리구와 비교하 여 각각 61.7%, 60.3%, 자실체 피해률은 64.3%, 63.5%가 감소되었다.
        278.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태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태양열 집열기와 팬코일유니트(F CU)에 의한 집열량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진주지역의 최저외기온은 -13.0~25.2℃ 범위에 있었고, 일사량은 0.0~26.6 MJ․m-2 정도의 범위에 있었다. 그리고 평균 일사량 및 최저외기온의 평균은 각각 13.6 MJ․m-2 및 8.1℃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에 설치한 순환펌프를 ON/OFF시켰을 경우, 회수된 열량은 각각 22,473.8 kcal 및 19,438.9 kcal 정도로서 순환펌프의 작동에 의해 약 15.6 %정도 효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판 및 진공관형 집열기로부터 회수된 총 열량은 각각 2,865,092.1 kcal 및 2,366,119.2 kcal 정도였다. FCU에 의한 실험결과를 보면, FRP를 이용한 경우에 전체 축열량과 공급열량은 각각 1,289,839.3 kcal 및 1,143,807.4 kcal정도였다. WB의 경우는 각각 970,277.0 kcal 및 885,386.0 kcal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실내부의 온도는 최저외 기온보다 약 3.0℃이상 높게 유지되어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작은뿌리파리는 유기물이 풍부하고 응달지며 습기와 이끼가 많은 것을 선호하 는 데 딸기의 고설재배는 이러한 모든 것을 충족시키는 최적의 발생조건을 갖추고 있다. 작은뿌리파리는 유충이 주로 잔뿌리를 자르거나, 뿌리골무를 통하여 뿌리속 으로 침입하여 지제부의 줄기에 까지 이동하여 잘록병과 유사한 형태의 피해를 주 며 토양내 Fusarium과 Pythium 병원균을 먹거나, 몸체에 묻혀서 작물체내로 전반 하여 피해를 가중시킨다. 본 연구는 경남 합천과 전북 남원의 고설재배 딸기농가에서 토양서식 포식성 천 적인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하여 작은뿌리파리의 생물적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험은 2012년 3월 중순부터 2013년 3월 중순까지 수행되었다. 아큐레이퍼응애의 방제효과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5m 간격으로 10개를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트랩을 교체하면서 유인된 작은뿌리파리의 성충 밀도를 조사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방제효과는 합천과 남원 모두 작은뿌리파리가 발생하는 초기, 즉 끈끈이트랩 당 작은뿌리파리 성충이 50마리 이하로 유인되었을 때 아큐레이퍼응애를 ㎡ 당 30.3 마리의 밀도로 7∼20일 간격으로 3회 방사하여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80% 이상의 밀도 감소효과와 함께 작은뿌리파리 유충으로 인한 고사 피해도 줄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