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7

        362.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natur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psella bursa-pastoris water,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se extracts and sodium benzoate on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were compared. The inhibition zone diameters of the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of Capsella bursa-pastoris were 13-20 mm and 12-20 mm, respectively, which were larger than those of sodium benzoate (11-15 mm).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were 12.5-20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psella bursa-pastoris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can be used as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365.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r quality data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a surrounding influence. In that light, it is positively necessary for a propriety assessment to determine a location of the air quality monitoring sites. In this study, the climate analysis about temperature and wind, using the meteorological data in the Pohang, is conducted to do that. In the next stage, we distinguished the wind by east-west or north-south component, which has less correlation than temperature, analyzed and divided the wind sector. As the result, the wind circumstance of the Pohang is divided into major 5 wind sector; that is the urban area, the northeast coastal area, the east ocean and the west mountainous area. We think that an analysis on detailed wind sector by utilizing the numerical simulation is needed.
        366.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약재의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국내산 한약재 28종, 33건과 수입산 37종 56건 등 총 65종 89건을 구입하여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다. Hg의 경우 평균 함유량이 0.010 mg/kg (domestic : 0.010, imported : 0.010)이었으며, Pb의 경우에는 0.380 mg/kg (domestic : 0.311, imported 0.449), Cd은 0.080 mg/kg (domestic : 0.101
        367.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아줄기세포는 외부 기인 특정 요소를 이용한 세포 조절물질 활성을 통하여 원하는 세포형태로 분화될 수 있다. 배아줄기세포의 이용성세포침투성단백질(CPP)은 몇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작은 펩타이드로 유용한 물질 수송계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몇 종류의 CPP를 이용하여 특정 단백질을 생쥐배아줄기세포(R1)내로 트렌스펙션하는데 있어 그 정도를 결정할 수 있는 요소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CPP인 Buforin II, pEP-1을 강도
        368.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광범위한 전력제어가 가능하고, PC 직렬통신 방식에 의해 원거리에서 시스템을 ON-OFF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선박비상조명시스템의 전력제어특성 개선에 관해 연구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강압형 컨버터, 비상급전회로, 반 브리지 인버터, 형광램프기동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 및 멀티통신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실험을 통하여 과전류에 의한 해당 시스템의 정지와 주전원 차단시의 비상전원에 의한 신속한 급전을 확인할 수 있고, 입력전력은 35[%] 범위까지 제어됨을 확인한다. 또한, 원거리에서 원하는 시스템을 ON-OFF 하고, 시스템의 전력, 전압, 전류, 배터리 전압 등의 모니터링도 한다.
        371.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자성숙 중 MPF활성은 MI 과 MII에서 최대로, MII로의 성숙 직후 난자를 핵이식에 이용하는 것은 핵과 세포질 사이의 reprogramming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의 IVF나 핵이식은 체외성숙후 44h에 이뤄지고 있다. 이는 aging을 낳을 수 있고 aging은 또한 발달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돼지의 체외성숙시간에 따른 체외성숙율과 단위발생후 체외발달율을 비교하여 최적의 체외성숙시간을 찾고자 실
        373.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나리는 간을 보호하며 간질환을 예방, 치유하는 효능이 있는 기능성식물로 인식되어 민간요법에 널리애용되고 있다. 그래서 알콜을 렛트와 마우스에 처리하여 만성, 아급성, 급성중독을 유도하고 밭미나리 발효액과 추출물 그리고 물미나리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렛트와 마우스에 에탄올을 2일동안 투여한결과 total cholesterol과 total glyceride의 수치가 증가되었으며 20일동안 밭미나리발효액과 추출물 그리고 물미나리추출물을 투여한후 에탄올을 2일동안 급여한균에서는 total cholesterol과 total glyceride의 감소 효과가 있었으나 처리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않았다. 그러나 실험동물의 혈청중에 알콜에의해서 높아졌던 alanine aminotransferase 와 asparate aminotransferase는 밭미나리발효액 과 추출물에 의해서 감소되었으며 밭미나리발효액투여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되어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렛트에 10%에탄올을 10개월간 투여하여 만성알콜중독을 유발시킨다음 5일동안 물만 급여한군과 밭미나리발효액을 투여한군을 비교한바 total cholesterol은 40%, total glyceride는 60%의 감소효과가 있었으며 alanine aminotransferase 와 asparate aminotrasferase는 87.2%와 91.7%를 감소시켜 정상에 가깝게 회복시키는효과가 인정되었다. alkaline phosphatas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알콜의 처리에 의해서 급만성모두 유의적인 변동을 나타냈으며 밭미나리 발효액의 처리에 의해서 alkaline phosphatase와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에 특히 유의적인 감소를 가져왔다. 이와같은 결과는 물미나리보다 밭미나리발효액이 알콜성 간질환에 효능이있음을 시 사하는것이라 하겠다.
        375.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파의 항암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비파를 잎 줄기 과실 종자로 나누어 정상세포와 여러 가지 암세포주를 비교하여 특이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는지 여부를 MTT방법에 의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파의 4가지 부위를 MeOH 와 물로 추출하여 정상세포와 암세포 (SNU-1, SNU-C4)에 처리하였다. 이 가운데서 과육의 물추출 분획이 정상세포는 영향이 없이 암세포를 고사시켰다. 2. 과육의 물추출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분리정제하여 9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이 분획들을 사람 정상세포와 7가지 암세포에 처리하였다. 이 9개의 분획중 8번째 분획이 정상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유방암, 간암, 위암에 특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3. 제 8분획의 생체에서 암치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mouse에 복수암을 유발시켜 (10마리) 구강투여하거나 복강에 주사하였다. 암이 유발된 대조구는 10일 부터 13일 사이에 모두 죽었다. 그러나 투여군은 2개월사이에 1마리씩 죽었고 나머지는 모두 생존하였다. 상기는 결과는 비파과육에 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377.
        199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AA에 대한 단크론 항체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체중의 내생 IAA를 정량분석하기 위해 ELISA를 개발하고 본법을 사용하여 담배 종자 발아중 내생 IAA함량을 정량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1. IAA에 대한 단크론 항체 생산 세포주 3가지를 선발 작성하였으며 이 세포주로부터 생산되는 항체는 모두 IgG1 타입의 면역 글로블린이었다. 2. 상기 항체를 사용하여 ELISA를 수행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던 바 검출 한계는 1pmol이었으며 검출 범위는 500pmol이었다 3. 표준곡선으로부터 작성한 Scatchard plot에 의한 친화 상수와 결합상수는 6.7 1010 L/M과 6 1010 L/M이었다. 4. 여러가지 IAA유사물질과 교차반응에 의해서 본 mAb는 특이성이 매우 높고 RIA에 의해서 고역가임을 확인하였다 5. 발아중인 담배종자로부터 면역측정에 의해서 내생 IAA를 정량분석하였다 6. 상기의 결과에 따라서 본 mAb를 이용하여 생체중의 내생 IAA를 간편하게 정밀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