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199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22.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3.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24.
        1999.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400원
        25.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26.
        199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7.
        199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2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29.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방암 환자의 사회 심리적 적응 영향 요인을 수술, 방사선, 항암치료 후의 삶의 질 변화를 체계적 메타 분석한 결과 방사선 치료시 삶의 질은 치료직후에 가장 낮았고 종료 후에는 점점 상승하고 있지만 종료 6 개월 후에도 치료 전의 삶의 질 만큼 회복 되지 않았다. 우울증과 부작용은 치료 직 후 가장 높았으며 치료 종료 후에는 다소 감소하였다. 수술요법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심리 사회적 적응이 높았으며 검진과 보험가입이 있을 경우 심리 사회적 적응이 좋았다. 항암 화학요법의 경우 인지기능에 영향을 받아 기억력, 학습, 사고 등의 단계에서 장해를 받고 있으며 주관적 인지장애와 우울은 연관성이 있어서, 항암요법환자의 우울증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본 체계적 메타연구 결과 유방암환자의 3가지 치료법(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항암요법)을 시행 할 때 간호분야와 방사선 치료분야는 이러한 환자의 사회심리적 적응, 우울, 불안, 삶의 질의 경향을 인지하여 전인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중재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0.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사선 치료시 산란성 등의 피부영향을 피할 수 없으며 내부의 정상장기의 피폭은 피할 수 없다. 방사선 치료의 역사는 정상조직의 흡수선량 감소를 위한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왼쪽 유방암의 방사선 치료시 내부 인접 장기로는 정상유방조직, 심장과 폐를 대표로 들 수 있는데 심장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심정지, 심근경색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왼쪽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시 호흡조절기법을 사용한 것과 일반 방사선치료계획을 시행하는 것 사이에 심장의 체적과 선량의 변화를 관찰하여 호흡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의 체적과 선량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4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영상을 기준으로 심장의 체적은 평균 12.8±8.7 cc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 선량은 평균 17.3±12.1 cGy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체적과 선량의 차이는 향후 방사선 치료시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호흡조절기법을 활용하여 심장의 정확한 위치를 기반으로 방사선 치료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31.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연안 해역에서의 대규모 어업활동과 산업화로 인하여 해상 부유 폐기물 및 해저면의 침적 폐기물, 패각류, 퇴적 오염물 등 해양 폐기물 발생량의 증가로 인하여 해양 오염은 날로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해양폐기물은 해안으로 밀려오는 해안폐기물, 해수면에 떠다니는 부유폐기물, 바닥에 침적된 침적폐기물, 이렇게 세종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해양폐기물은 약 60% 이상은 육상 등 해변에서 발생되어지는 해안폐기물이며 그물류를 포함한 플라스틱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기후 및 지역의 특성에 따라 생활폐기물과 하수, 산업 및 연안의 영향을 받아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특성이 크게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폐기물을 재생에너지 (SRF) 자원으로의 활용을 위한 물리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료로써 활용하기 위하여 해안폐기물의 염분의 함량 분석 및 제거 특성에 대해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해수 염분에 의한 해안폐기물의 염분 및 염소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물리적 제거특성을 통한 2차오염원을 최소로 하는 물리적 염분 제거 특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32.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Cynanchi wilfordii Radix (CWR) fermented with Rhizopus delemar.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such as changes on moisture content, pH, total acidity, reducing sugars, and the contents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 cynandione A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of fermented CWR was increased after 4 days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of fermented CWR was decreased after 4 days of fermentation. The reducing sugars contents were in the range of 1.42-1.69%. The major free sugars were identified as rhamnose,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The content of free sugars was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process of CWR while the glucose contents in 80% 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increased. In addition, the free amino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ermentation. Finally, The content of cynandion A of the fermented CWR was highest at the level of 14.09 mg/g on the 8th day. These results are indicated that fermentation with Rhizopus strains could be used to increase the bioactivity of CWR and the fermented CWR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and edible resource in the food industry.
        33.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암(caner)라는 중증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방사선 치료시 받을 수 있는 불안감, 폐쇄적 공포심을 알아보려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각각 선형가속기의 치료, 토모테라피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은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시행을 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치료시간별로 조사 하였고, (5 분 이내의 치료시, 10분이내, 20분 이상, 30분 이상), 장비의 고장으로 인한 치료실 및 치료기기 변경의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200개의 설문지를 연구한 결과 방사선치료의 경험이 없을수록 불안감이 많았으며 그 이유로는 치료시 고틍이 있을 것 같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치료기로는 선형가속기가 가장 불안감이 높았으며 이유는 환자의 테이블의 개방감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안정적인 상태는 토모테라피 치료를 20분 이상 30분 미만 시행한 경우였으며 치료시 토모테라피 치료장비의 아늑함이 원인이었다. 30분이 초과된 경우는 외부와 분리에 대한 불안감으로 불안한 심리상태를 보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임상에서는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반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34.
        201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AM)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Moisture content, pH, total acidity, total reducing sugar content, extraction yield, free sugar content, free amino acid and isoflavonoid (calycosin, formononetin)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with Phellinus linteus. The pH level increased while the total acidity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 reducing sugar content were in the range of 0.32~0.61%. The extraction yield using water was higher than that using 80% ethanol. The major free sugars were identified as glucose, fructose, sucrose and the content of free sugars decreased through fermentation. However, the glucose and sucrose contents of the water extracts were increased. In addition, the free amino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ermentation. Finally, calycosin and formononetins contents in water extracts of after 30 days of AM fermentaion with Phellinus linteus were (3.91 mg/100 g) and (1.38 mg/100 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rmentation with Phellinus linteus could be used to increase the bioactivity of AM. The mycelium-fermented AM could be a valuable source of functional material and edible resource for industry.
        35.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J#3과 DJ#13은 항염증질환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 고자 국내 전통식품 풀질인증 된장에서 장기간 숙성된장으 로 선발된 시료이다. DJ#3과 DJ#13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 을 살펴본 결과 DJ#3과 DJ#13 추출물 모두 100 μ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DJ#3과 DJ#13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TNF-α에 의해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에서의 NO 생성,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과 mRNA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혈관내 피세포에 TNF-α를 처리한 결과 NO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DJ#3과 DJ#13 추출물(20, 50, 100 μg/mL)을 처리하였을 때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였다. 세포배양액내 VCAM-1, ICAM-1 발현을 확인한 결과 혈관내피세포에 TNF-α를 처리한 군에서 증가된 VCAM-1 발현이 DJ#3 추출 물 20, 50 μg/mL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또한 DJ#3 추출물은 NO 생성과 연관 있는 eNOS mRN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iNOS mRNA의 발현은 농 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NO 생성 증가가 iNOS의 발현억제를 경유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수의 항염증 약물들의 작용기전이 되는 COX-2의 생성억제를 살펴본 결과 DJ#3 추출물은 TNF-α에 의해 발현되는 COX-2 단백질 의 발현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J#3 추출 물은 CAMs 단백질 및 mRNA 발현율의 감소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DJ#3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혈관염증을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 며, 항염증물질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 로 기대된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cytokine 및 단백질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6.
        201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stragalus membranaceus (AM) fermented with seven different mushroom mycelia.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tents of moisture, pH, total reducing sugars, free sugar, and isoflavonoid,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in most of the samples. The pH values of AM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and Flammulina velutipes were increased, while the pH of other samples were similar to that of non-fermented AM. The reducing sugar content was in the range of 211.69~391.74 mg/100 g. The extraction yield using water was higher than that when extracted with 80% ethanol. The free sugar content was increased through fermentation with mushroom mycelia. However, the glucose contents of the 80% 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decreased. Finally, the calycosin and formononetin contents in 80%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AM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were 2,549.24 mg/g, and 827.66 mg/g for calycosin, and 1,366.69 mg/g and 221.28 mg/g for formononetin,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rmentation with mushroom mycelia could be used to increase the bioactivity of AM. The mycelium-fermented AM might be a valuable source of functional material and edible resource for industry.
        37.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간장을 개발하고자 황기 첨가량에 따른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식염변화에서는 황기 10% 첨가 간장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변화는 실험군 모두 숙성기간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황기 10% 첨가 간장를 제외하고 모두 2개월까지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 일정한 양상 을 보였다. 그 반면 황기 10% 첨가 간장는 숙성 초기에 증가되었지만 무첨가 및 황기 5% 첨가 간장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갈색도 변화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증가되 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무첨가 및 황기 5% 첨가 간장은 숙성 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황기 10% 첨가구는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를 보지 않았다. 유리 아미노산 측정결과 황기 5% 첨가 간장의 6개월 때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황기 5% 첨가 간장의 숙성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기호도가 점차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황기 5% 첨가 간장이 황기 무첨가 간장에 비해 염도가 낮고 아미노 태질소가 높으며 기호도는 6개월 때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풍미가 좋은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 다.
        38.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수집된 블루베리 34품종의 식별을 위하여 SSR 마커를 이용하여 품종별 SSR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블루베리 품종의 식별에 적합한 마커를 선정하기 위하여 6개 품종을 대상으로 총 49개의 마커를 분석하였다. 6개 품종간에 높은 다형성과 재현성을 나타내고, 밴드패턴이 선명한 17개의 마커를 선발하여 공시된 34품종을 분석하였을 때 총 115개의 대립유전자가 분석되었다. 대립유전자의 수의 분포는 2∼15개를 나타내었고, 마커당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6.8개로 분석되었다. PIC 값은 0.248∼0.888의 범위에 속하였으며 평균값은 0.671로 나타났다. 115개의 대립유전자를 Jaccard 방법에 의해 유사도를 산출하고 비가중 산술방식에 의해 집괴 분석한 결과 공시품종의 유전적 거리는 0.31∼0.81의 범위로 나타났고 계통도는 유사도 지수 0.40을 기준으로 할 때 종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17개 SSR 마커에 의해 34품종이 모두 식별되었고, 34품종을 식별할 수 있는 3개의 최소마커 조합을 선정하였다. 본 결과는 블루베리 품종식별과 신품종 보호 심사를 위한 유전자 분석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