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42.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 of 279 participants which counted 26 cases out of total 305 participants. It is organiz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indoor-plants for green interior of psychological effect, general awareness and the color or shape of indoor-plants in dining/living area to the preference of consumers and emotional image. 74.6% of participants had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the indoor-plants for green interior. As the result of general awareness of green interior,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the green interior was organized was the shape of plants and the most selected possible amount of investment to the installation was less than 100,000 won which is not high enoug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participant’s awareness of effect of indoor-plant, 99.3% of participants which was the highest portion answered ‘Indoor-plants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from the selection of five kinds of indoor-plant’s effects.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showed high interests to the green interior in dining/living area as they selected ‘Preferred’. Decoration of cut-flower and eruption are preferred as the design of dining area. The preference order of 5 types of colors for green interior was white> green> pink> yellow> red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color sensitivity of green-interior area with Standard Deviation method, white and green stimulus group highly shows the emotion of “Clam” and “Comfortable”. In addition, red and pink stimulus group feels hard the emotion, “Fancy”. Cut flower decoration was highly preferred when living area is decorated with 76.6%.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apes of green interior in living area with the order of horizontal> round>vertic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on emotional difference with green interior of living area with Standard Deviation, horizontal way has “Calm”, “Comfortable” while vertical provides “Heavy” and “Strong”.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useful and positive possibility of design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consumption of indoor green-interior by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effect and awareness of indoor-plan.
        43.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rmaldehyde (FA) filtration pattern of additional media for indoor biofilter system. Dry pellet type activated carbon (PAC), activated clay (ACL), zeolite, diatomite, pumice and loess ceramic ball were tested. In the case of dry filter media, formaldehyde purification efficiency was the most excellent with activated clay and then was good with the activated carbon, diatomite, zeolite, and pumice order. PAC and ACL decreased the FA concentration with exponential pattern resulted from dynamic balance between emission and purification. Zeolite, diatomite, pumice, and loess ceramic ball showed high filtration rate at initial time and then increased FA concentration result from breakthrough. PAC, zeolite and diatomite could be recommended as additional filter media for biofilter system considering FA filtration and breakthrough characteristics. FA filtration and breakthrough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with wet media except PAC and ACL. In particular, purific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and breakthrough mitigation were higher in pumice and loess ceramic balls. PAC+ZEO mixing showed the most high purification performance and breakthrough mitigation in all mixing methods. Thus mixture of PAC with zeolite and vertical mixing could be recommended as additional filter media to improve the FA purification ability and pressure drop with indoor air biofilter system.
        44.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ed spray technology prepares for landscape by spraying seeds, fertilizers and other materials but does not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the germination time and temperature of seeds for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unctional formula that shows the relationship of germination and temperature for using the Papaver orientale L. seeds for the spray technology. The germination test in a chamber was progressed from March to April 2014 and the verification experiment proceeded in a greenhouse in May 2014. After culturing each 100 seeds of Petri dish and Papaver orientale L. seeds on filter beds 4 repetitive times, each 10mL of the first distilled water was sprayed to treat temperature at level 7 and the light source was maintained at 4~4.5μmoles/m2/s. The germination rate was investigated at two-day intervals, and the germination was based on the emergence of 3mm radicles. For experimental verification, seeding was implemented in a greenhouse and daily mean temperatures and germination period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based on a 50% germination rate,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and germination period was found to be y = 1/-0.0004x²+ 0.0224x-0.0398, R2 = 0.9441.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ardinal temperature from using graphs of functions, the lowest temperature was 2°C and the optimum temperature was 28°C and the highest temperature was 54°C, but in the actual test, normal germination was made at 5°C and the unusual germination of the final germination rate was below 50% at 35°C. In the experimental verification, as a result of substituting the daily mean temperature with functional formulas, it was found to be 4.4 days and the lapse of time for actual foliation was investigated to be 5.5 days.
        45.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lomeres at the end of the eukaryotic chromosomes consist of tandem repeats of (TTAGGG)n DNA sequence and shelter in protein complex. Telomeres have the essential functions in chromosome stability and genome integrity and are hence related to cell senescence and cancer. Stripped, Black and White Cattle (Endangered Korean Native Cattle) characterized by their coat color, live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y are endangered, with very small populations remaining. To investigate the karyotypic pattern of chromosome and also to quantify the amount of telomeric DNA was carried out from the traditional Korean beef cattle species, HanWoo and endangered cattle bull. We quantified the amount of telomeric DNA by the Quantitative-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Q-FISH) technique using the telomeric DNA probe and chromosome analysis of lymphocytes was carried out using GTG-banding in 9 bull at age of 18 months. In results, we found that the normal (60, XY) male karyotype were detected in metaphase chromosomes from korean native cattle including Hanwoo, Stripped, Black and White catt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ve amount of telomeric DNA among the korean cattle bull. However, the relative amount of telomeric DNA of Hanwoo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White cattle.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ed karytype and the amount of telomeric DNA which could serve as baseline information for comparison in conditions of physiological and health status of endangered Korean native cattle. Although we have no definitive explanations as to why this occurs,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continue investigation of these animals throughout their life spans.
        46.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활용한 실내 주거공간의 심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심리상태측정은 주의회복척도, 단축판 기분상태검사(POMS), 어의구별척도법(SD법)으로 조사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그리고 Pearson’s 상관분석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린인테리어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그린인테리어 조성시 경관디자인과 식물의 종류를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설치 투자비용은 200만원 미만이 80.93%, 유지관리비 10~50만원이 81% 이상이었다. 또한 3가지 심리적 지표를 분석한 결과, 주의회복척도는 전체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고 답변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군별로 비교한 결과, 회사원보다 주부들의 주의회복력이 더 높았으며 두 직업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분상태검사는 긴장-불안, 우울, 분노, 피로, 그리고 혼란은 낮게, 활력은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그린인테리어 실내 주거공간에 대한 감성을 SD법으로 알아본 결과,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 분포를 나타냈다. 3가지 감성어휘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린인테리어 주거공간에 대해 모든 감정간에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린인테리어가 주는 효과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기정화효과, 거주자의 작업 능률 향상 효과, 심리적 안정 효과, 그리고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효과에 대해 94% 이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린인테리어효과의 문항간 상관분석 결과, ‘그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와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효과를 높여준다’는 0.818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그린인테리어용 식물을 활용함으로써 거주자들의 심리적 안정과 부정적 정서완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5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린인테리어 오피스에 대한 심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와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 지 않은 오피스 공간에서 본 분야에 전문가이거나 입문한 여성 76 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심리상태측정은 주의회복척도, 단축판 기분상태검사(POMS), semantic differential scale(SD법)로 비 교하였으며,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그리고 Pearson’s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3가지 심리적 지표를 비교한 결과, 주의회복척도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보다 그린인 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공간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분상태검사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오피스보다 그린 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에서 긴장-불안, 우울, 분노, 피로, 그 리고 혼란은 낮게, 활력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그러 나 기분상태검사를 나이별로 분석한 결과,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 는 오피스 공간에서 긴장-불안, 분노, 피로와 같은 항목들에서 age group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로부터 20대 와 60대의 경우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의 조건에서 40-50대에 비해 부정적인 감정(긴장-불안, 분노, 피로, 혼란)을 많 이 보였고 긍정적인 감정(활력)은 적게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SD법을 이용한 쾌적감, 자연감, 그리고 진정감에 대한 인상을 평가한 결과,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린인테리어가 주는 효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기정화효과, 근로자의 작업 능률 향상 효과, 심리적 안정 효과, 그 리고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효과는 전부 96% 이상으로 나타 났고, 아토피 치유효과는 88.6%로 나타나 그린인테리어에 대해 긍 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관분석 결과,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 효과를 높여준다’와 ‘그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는 0.659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 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린힐링오피스를 만들기 위해 그린인 테리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유용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 각된다.
        5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 내부에 획일적인 도시 구조물이 건설되었다. 이것은 도시의 경관을 악화시켰다. 이러한 도시 경관 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도심지 녹지 면적의 확대이다. 하지만 도 시 공간은 다양한 환경조건에 의해 미기후가 만들어지고 이로 인하 여 동일 종 · 지역이라도 개화기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식물계 절의 차이는 도시 경관을 고려한 녹지 조성 시 식물 사용의 어려움 을 준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식물계절 예측을 위하여 맹아 80% 수준까지 필요한 적산온도를 구명하였다. 연구 결과 대체적으로 처 리 온도가 고온일수록 맹아기를 촉진하였다. 하지만 식물의 특성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고온은 식물의 맹아기를 억제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식물별 개화속도는 산수유, 히어리, 개나리 순이었다. 하 지만 15℃ 수준에서는 일시적으로 개나리가 히어리보다 맹아속도 가 빠르게 나타났으며 20℃에서는 개나리가 히어리보다 맹아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맹아율 80% 수준에 필요한 적산온도는 산수유 169.3±7.7℃, 히어리 226.0±18.0℃, 개나리 279.0±0.4℃ 나타났다.
        53.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ed spray는 종자, 비료 및 기타 재료들을 섞어 살포하는 방법으로 주로 대면적의 경관을 조성할 때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살포된 종자는 온도조건에 따라 경관형성 소요시간은 달라지나 시공시 식물생장과 온도간의 관계를 고려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수레국화 종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수레국화종자발아에 필요한 적정온도와 발아소요시간을 설정하는데 있다. 시험방법은 2013년 3월부터 4월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진행되었다. 시험재료는 수레국화이며 생장상을 이용하여 온도처리를 하였다. 시험방법은 페트리디쉬와 필터페이퍼에 100립씩 4반복으로 치상 후 10ml씩 1차 증류수를 관수하여 7수준의 온도를 처리하였다. 처리온도는 5, 10, 15, 20, 25, 30℃이다. 시험 중 광원은 4~4.5 μmoles/m2/s를 유지하였다. 조사방법은 실내시험에서는 페트리 디쉬에 치상 후 2일 간격으로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Parabolic 함수를 이용하여 발아율 50% 기준으로 온도와 발아소요시간의 관계 나타낸 결과 수레국화 종자의 발아 최저온도는 0℃, 최적온도는 12.3℃, 최고온도는 24.5℃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적온도에 따른 발아율 50%까지 발아소요시간은 6.6일이었다.
        55.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경식물인 금낭화, 돌단풍, 할미꽃, 붉은잎동자꽃, 벌개미취의 개화기 예측에 필요한 적산온도를 구명하였다.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3년 3월 시험포에 식재된 관상식물 5종을 채취하여 컨테이너(30×30×30cm)에 원예용 상토를 이용하여 식재하여 시험포와 온실에 4반복으로 배치하였다. 1주일 간격으로 개아기, 전엽기, 개화기를 조사하였으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온실과 시험포의 적산온도의 비교 결과 조경식물 5종의 생육단계에 따른 적산온도는 금낭화 개아기 176.3±9.12℃, 전엽기 265.1±47.63℃, 개화기 476.1±112.43℃, 돌단풍 개아기 170.0± 32.56℃, 전엽기 352.8±176.84℃, 개화기 452.3 ±17.74℃, 할미꽃 개아기 152.0±7.17℃, 전엽기 266.2 ±54.36℃, 개화기 410.4± 41.58℃, 붉은잎동자꽃 개화기 186.1±22.92℃, 전엽기 205.8± 16.92℃, 개화기 1426.6±135.99℃, 벌개미취 개아기 163.5±9.02, 전엽기 190.6±4.55, 개화기 2714.9±88.97로 나타났다.
        5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름알데히드의 고농도와 저농도에 따른 식물의 생리적 반응을 보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식물은 관음죽, 팔손이나무, 스킨답서스를 이용하였으며, 포름알데히드는 0, 2(2.5), 10(12.3), 100(123) ppm(mg・m-3)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포름알데히드 처리에 대한 잎 피해증상은 100 ppm의 고농도에서 5시간 처리 후 검은 반점으로 나타났다. 외관상 피해증상은 어린잎과 노화된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팔손이나무의 경우에는 줄기에서도 일부 나타났다. 피해 잎의 책상조직과 해면조직이 파괴되거나 변형되었다. 전체적으로 Peroxidase와 Catalase 함량은 관음죽>팔손이나무>스킨답서스 순서였으며,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함량도 대체로 증가하였다. 피해가 심한 스킨답서스의 경우 고농도 처리시에 기공이 닫히는 비율이 약 80% 가장 높았으며, Catalase 증가량도 가장 컸다. 결과적으로 100 ppm의 고농도에서 포름알데히드 흡수를 저해하기 위해 기공이 닫히거나 효소 함량의 변화가 일부 나타났으나, 저농도에서 적극적 흡수를 위한 반응은 보이지 않았다.
        59.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 자생하는 몇몇 조경용 수목의 만개일과 기온자료를 활용하여 생물계절에 따른 기본온도와 생장도일(Growing Degree Day, GDD)을 추정하였다. 2011~2012년 조경수목의 만개일를 조사하였으며 수원기상대의 온도자료를 사용하여 일평균온도에서 기본온도를 차감한 생장도일을 계산하였다. 기준온도 설정을 위하여 0.1℃ 단위로 생장도일을 계산하여 2011~2012년 생장도일의 표준편차가 적은 온도를 기본온도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식물의 기본온도는 진달래, 박태기나무, 팥꽃나무는 1.9℃, 공조팝나무 0℃, 장구밥나무 1.2℃로 나타났으며 만개기의 생장도일은 진달래 324.10±96.32℃, 박태기나무와 팥꽃나무 506.90±84.99℃, 공조팝나무 853.65±59.61℃, 장구밥나무 2112.70±11.74℃이다. 계산된 생장도일을 이용하여 홍릉수목원에서의 예측만개일과 실제만개일 비교 시 진달래의 예측만개일의 45%, 박태기나무의 35% 수준으로 일치하였다. 팥꽃나무는 박태기나무와 만개일이 유사하므로 비슷한 예측 정확도를 보일 것이라 생각된다.
        6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벽면녹화에 사용되고 있는 덩굴성 식물 5종의 벽면재질별 부착유무 및 식재방향에 따른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험은 2010년 5월에서 9월까지 진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벽면 재질은 흙벽돌, 적벽돌, 유리벽, 목재, 콘크리트, 알루미늄 방음벽으로 6가지 유형이었으며 시험에 사용된 덩굴성 식물은 능소화, 바위수국, 송악, 은빛줄사철, 금빛줄사철이었다. 덩굴성 식물의 초장의 생육은 능소화, 송악, 은빛줄사철, 금빛줄사철, 바위수국 순으로 높았으며 피복율은 능소화, 금빛줄사철, 송악, 은빛줄사철, 바위수국 순으로 높았다. 능소화는 초장 생육과 피복율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은빛줄사철, 바위수국, 송악은 초장 생육에 비하여 낮은 피복율을 보였다. 덩굴성 식물의 남·북 방향에 따른 초장 생육의 차이는 송악은 남향에서 높았으며 능소화, 바위수국, 은빛줄사철은 북향에서 초장의 생육이 높았다. 그리고 금빛줄사철은 5~7월에는 남향에서 8~9월에는 북향에서 초장 생육이 높았다. 벽면재질별로 덩굴성식물들의 부착유무는 능소화는 목재, 흙벽돌, 적벽돌, 콘크리트 벽면 재질에 부착이 가능하였고 은빛줄사철은 목재, 적벽돌에 부착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금빛줄사철, 바위수국, 송악은 목재에 부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유리벽과 방음벽에는 모든 식물이 부착하지 못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