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8

        44.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cean biogeochemistry plays a crucial role in sustaining the marine ecosystem and global carbon cycle. To investigate the oceanic biogeochemical responses to iron parameters in the tropical Pacific, we conducted sensitivity experiments using the Nucleus for European Modelling of the Ocean–Tracers of Ocean Phytoplankton with Allometric Zooplankton (NEMO-TOPAZ) model. Compared to observations, the NEMO-TOPAZ model overestimated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nd dissolved iron (DFe). The sensitivity tests showed that with increasing (+50%) iron scavenging rates, chlorophyll concentrations in the tropical Pacific were reduced by approximately 16%. The bias in DFe also decreased by approximately 7%; however, the sea surface temperature was not affected. As such, these results can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tuning strategy to improve ocean biogeochemical performance using the NEMOTOPAZ model.
        4,200원
        46.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은 나트륨 통로를 차단하는 신경독소로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 해양독소 중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아시아에서 복어 섭취로 인한 테트로도톡신 중독사고가 많이 발생했었다. 최근 아열대 복어 종과 그 잡종 섭취로 인한 테트로도톡신 중독사고가 아시아 외 지역에서도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복어 종별 테 트로도톡신 및 유사체의 함량과 기관 내 분포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총설에서는 식품공전 복어독(테 트로도톡신) 분석법인 쥐를 이용한 생물학적 정량법, 효소 면역측정법,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분석법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최근 주로 사용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테트로도톡신과 테트로도톡신 유 사체 분석법을 소개하고 이에 사용된 전처리법, 컬럼 및 이동상을 비교하였다. 또한 복어 종별 테트로도톡신과 그 유사체 함량과 다양한 기관에서의 분포를 정리하였다. 이 총설은 테트로도톡신 분석법과 다양한 복어 종의 테트로 도톡신과 유사체 함량 및 기관에서의 분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5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8년 분홍색계 소 형 호접란 ‘Tiny Bell’을 육성하였다. 2010년 진분홍색 다화 성 소형 품종 Phalaenopsis ‘D07PN16’와 연분홍색 소형종 P. ‘D03PN22’를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2014년 생육이 우 수하고 화색, 화형, 꽃대수 등 개화 특성이 우수한 ‘10531-53’ 개체를 선발하여 기내 화경배양을 통해 증식하였다. 2014년부 터 2018년까지 1차, 2차특성검정을 통해 품종의 안정성과 균 일성을 확인한 후 ‘Tiny Bell’로 명명하였다. 이 품종은 밝은 보라빛 분홍색(RHS, PVGN80A)을 띄며, 가장자리에 백색무늬 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평피기 형태의 꽃은 길이와 폭이 각각 3.89, 4.01cm이며, 총상화서로 분지가 발생한다. 1개의 꽃대에 19.7개의 소화가 착생하여 꽃 수가 많이 달리는 다화 성이며, 꽃대 길이는 28.48cm정도이다. ‘Tiny Bell’은 생육시 잎이 수평으로 자라며 길이와 폭은 각각 13.1cm, 5.3cm였다. 신품종인 ‘Tiny Bell’은 소형 분화용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다.
        4,000원
        5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itch-based activated carbons were prepared with KOH/KMnO4 as a multiple function activation agent to increase the specific capacitance of a supercapacitor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porous structure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were analyzed on varying amounts of KMnO4. KMnO4 was decomposed into K2O, MnO, and O2 at the activation temperature of KOH, and MnO was introduced to activated carbon. K2O/ O2 reacts with a surrounding pitch to generate micropores and forms a pathway that exposes MnO to the outside. It also affects to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activated carbon like KOH chemical activation. The enhanced specific surface area and introduced MnO in activated carbon led to a 28.9% increase in specific capacitance.
        4,000원
        5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광 환경이 자생 Veronica속 4종 구와꼬리풀, 봉래꼬리풀, 부산꼬리풀, 큰구와꼬리풀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중 봉래꼬리풀은 희귀 및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이며 부산꼬리풀은 우리나라에서도 부산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자 자료부족종으로 분류된다. 실험은 2018년 3월 30일부 터 2018년 8월 17일까지 수행되었으며 Veronica속 4종을 0, 40, 60,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하였다. 구와꼬리풀을 0~6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지상부의 생체중이 무겁고 엽수 및 가지수가 많아 생장이 유의하게 좋았다. 큰구와꼬리풀의 줄기 두께는 9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유의하게 얇아져 생장이 불량하였다. 구와꼬리풀과 큰구와꼬리풀은 0~60% 환경에서 재배시 모든 개체가 개화하였으며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개화소요일수가 짧 아졌다. 봉래꼬리풀은 0~4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60~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지상부 및 건물증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생육이 좋았으며, 관상가치 측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부산꼬리풀의 관상가치는 0, 40, 60, 9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각각 4.0, 3.0, 2.2, 1.0점으로 조사되어 동일한 Veronica속이라도 종에 따라서 광 민감도가 다양한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