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

        8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노안 연령층에게 성인 테의 적합성과 얼굴 형태에 적합한 안경테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자 하였다. 방법: 안와 질환과 안 외상이 없는 40세 이상의 얼굴 정면 촬영자 총 680명(남자 244명, 여자 436명), 얼굴 정면 촬영자 중 얼굴 측면 촬영자 총 131명(남자 60명, 여자 71명)을 대상으로 안경테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계측하고 한국 성인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노안 연령층의 얼굴 형태에 적합한 안경테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안경테 설계에 필요한 얼굴 형태 계측값과 안경테 설계에 필요한 계산값은 한국 성인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 노안 연령층과 성인의 테 설계기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한국 노안 연령층의 안경테 기준이 새롭게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합성보존제 성분인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와 PHMB가 첨가된 다목적용액의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가 규정한 균주에 대한 항균력을 비교하고,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에 적합한PHMB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항균력 측정을 위하여 배양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 칸디다 알비캔스(Candida albicans),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i)를 각각의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각 균주들의 적정 배양온도에서 24시간동안 활성화시켰다. 활성화된 균주는 96-well plate를 사용하여 PHMB 용액과 PHMB를 첨가한 다목적용액의 PHMB 농도가 0.0000125%~0.0004%인 배양액에서 12시간 배양한 후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생육억제를 나타내는 최소저해농도는 순수한 PHMB가 PHMB를 첨가한 다목적용액에 비하여 황색포도상구균,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세라티나 마르세센스, 칸디다 알비캔스에서 2배 높게 나타났다. 다목적용액에 포함된 0.0002% PHMB 농도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규정한 균주에 대한 충분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결론: 다목적용액에 포함된PHMB의 농도는 순수한 PHMB 최소저해농도보다 낮지만, 용액에 포함된 다른 첨가물에 의해 항균시너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4,300원
        8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fully integrated printing 공법으로 제조된 매일 교체용 써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게 한 후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나타난 증상과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나타난 증상을 비교하였다. 방법: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자 36명(21.35±1.18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막곡률은 자동곡률계(Canon RK-F1)로 측정하였고, 구결막충혈, 윤부충혈, 각·결막 염색, 각막부종 및 검결막 유두의 발생 정도를 CCLRU grading scale에 따라 세극등으로 검사하였으며 자각적 증상은 CCLRU grading scale에 따라 증상의 정도와 빈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검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후,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4주일 후에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써클 콘택트렌즈의 표면은 주사현미경(Hitachi S-4700)을 사용하여 표면 거칠기를 관찰하였다. 결 과: 매일교체용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4주일 후 각막곡률에 변화는 없었다. 자각적증상은 감소하였고, 특히 ``모래가 들어간 느낌``과 이물감 및 구결막충혈 및 윤부충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각막염색, 구결막염색, 검결막염색 및 결막유두는 임상적으로 정상적인 수준이었지만(평균: 0.44~ 0.78)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4,300원
        8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이 느끼는 건성안과 관련된 안구증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하루 평균 8시간 이상, 주 3일 이상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대학생들에게 콘택트렌즈 착용과 관련된 건성안설문지(CLDEQ)를 작성하도록 하여 성별, 착용렌즈에 따른 안구증상의 정도를 0점에서 5점 척도로 하여, 건조감과 기타 안구증상들과의 상관성을 알아보았으며 콘택트렌즈로 인해 유발되는 안구증상을 관리하는 방법과 비용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과 관련된 안구증상의 정도를 점수화한 결과, 안구건조감(dryness) 2.53±0.86점, 안구불편감(discomfort) 2.35±0.81점, 흐려보임(blurry vision)이 2.27±0.86점으로 높게 나왔고 눈부심(light sensitivity) 1.49±0.79점, 작열감(burning/stinging)이 1.43±0.78점으로 낮게 나왔다. 착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증상이 심해져 건조감은 렌즈착용 2시간 동안 1.81±0.93점에서 렌즈를 제거하기 전에는 3.63±1.13점(t=-27.755, p=0.000)으로 증가하였고 안구불편감은 1.84±1.10점에서 3.28±1.33점(t= -17.897, p=0.000)으로 증가하였다. 안구건조감과 다른 안구증상들 사이에서도 상관성이 있었다. 남자보다 여자에서, 정기교체렌즈나 일회용 렌즈보다는 연속착용렌즈에서 안구증상과 관련된 점수가 높았다. 결론: 건조감이나 안구불편감과 같은 증상이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저녁이 될수록 그 증상이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8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시야검사 시 신뢰도 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정상인과 녹내장환자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녹내장이 없는 정상(normal subjects)군 158안과 녹내장 판정을 받은 녹내장환자군 64안으로 나눠서 각각 험프리 자동시야검사계(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낮은 신뢰도의 검사결과는 신뢰지수를 분석하여, 주시상실도 20% 이상, 허위 양성률 33% 이상, 허위 음성률 33% 이상 등 세 가지 조건에 어느 한 가지라도 해당되면 낮은 신뢰도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222안의 실험군 중 정상군(158안)에서는 35안(22%)에서 낮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녹내장 환자군(64안)에서는 16안(25%)에서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들을 재검사 하였을 때 정상군의 35안 중 16안(46%)에서 다시 낮은 신뢰도를 보였고, 녹내장 환자군에서는 16안 중 5안(31%)에서 다시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처음 검사 시 낮은 신뢰도를 보이는 대상이 재검사시 다시 낮은 신뢰도를 보이는 경우를 알아본 결과 정상군에서는 46%, 녹내장 환자군에서는 31%가 다시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자동시야검사라 하더라도 검사진행시 반드시 검사자가 옆에서 주의를 관찰하면서 시야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8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500 mL 용량의 식염수가 한국에서는 콘택트렌즈 헹굼에 흔히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사용한 대용량 식염수의 미생물 오염과 관련된 위험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120명의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모집하고 식염수를 나누어 준 후 이들이 사용한 식염수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사용한 식염수의 미생물 오염상태는 세균의 집락수 (colony-forming units)로 평가하였고, 세균의 종류는 유전자 중합효소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얻은 DNA 서열을 자동 염기서열분석기 및 BLAST 분석기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식염수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카이제곱검정, 상관분석 및 다중회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집된 식염수 중 45%가 세균에 오염되었으며 7종의 감염성 세균을 포함한 27종의 세균이 검출 되었다. 세균의 오염은 무방부제 식염수, 구멍이 뚫린 용기, 식염수 사용기간 및 렌즈착용 전의 손 세척 습관과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방부제가 포함된 식염수는 구멍이 뚫려있지 않은 용기에 적은 용량으로, 무방부제 식염수는 1회용으로 제조되어야 할 것이며,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는 관리방법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8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Lucid CH 1 렌즈 착용자 중 매일 최소 8시간 이상 각막굴절교정렌즈를 착용할 수 있고 안질환이 없는 80명 (11.950±2.609 세, 160안)을 대상으로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 전, 착용 1일 1주일 2주일 1개월 3개월 및 6개월 후에 세극등 현미경검사와 타각적·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고, 각막곡률반경, 각막두께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처방된 각막굴절교정렌즈의 베이스커브와 약주경선은 높은 상관성(R=0.962, p
        4,800원
        8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ear volume and stability in contaet lens wearers. Thirty-four young subjects(mean age 23. 79±3.1 years, 8 men and 26 women) without overt oeular disease were reeruited and e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eontact lens wear(soft lens, RGP lens). Measures from both eyes were made using a Sehirmer test, phenol red thread(PRT) and tear break time(tBUT) before eontaet lens wear, and at the time of 1 week, 1month and 3 month after lens wear. For the eomplete group of subjeets, the average Sehirmer wetting length was 13.76±8.34 mm, the average PRT wetting length was 17.42±6.26 mm and the tBUT averaged 4.77±2.69 see. The intereye differenees averaged 2.62±3.54 mm for Sehirmer test, 3.91±4.12 mm for PRT and 0.80±0.62 see for tBUT. Compared with the eontrol group the Sehirmer data showed a trend to be inereased at the first week but it reeovered after 1 month of RGP lens wear. After 3 months of RGP lens wear, the PRT and tBUT data showed a trend to be deereased to 27% and 21% respeetively. In the soft lens group, all the tear measures did not show any differenees at the first week eompared with the eontrol group. But after 3 months of soft lens wear, the Sehirmer and PRT data showed a trend to be deereased to 13% and 17% respeetively. As a result, wearing eontaet lenses seems to ehange the tear volume and stability. RGP lens seems to stimulate the reflex tearing but deerease the lower meniseus tear volume and tear stability, and soft lens seems not to influenee the tear film but to deerease the reflex tearing and lower meniseus tear volume.
        4,800원
        8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 단백칠 침전물의 양은 착용하는 콘택트렌즈의 재질과 사용하는 관리용 액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눈물을 이용한 m vitro 방법으로 Group 1, Group III, Group IV 의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단백질 침전물 을 오염시킨 후 계면활성세척액과 다목적용액을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뜰 세척하고 콘 택트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을 Bradford 법으로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륜 얻었다. 세척 후 남아있는 단백질 침전물은 Group IV 렌즈가 Group 1 렌즈보다 16 레 이상 많았으며, 모든 재질의 렌즈에서 계면활성서l 척액은 다목적용액보다 세척효과가 우수힌 것으로 나타나 다목적용액으로 Group IV 렌즈틀 세착한 경우에는 계떤활성세척액으로 Group 1 렌즈플 세착한 경우보다 단백칠 침전물이 30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실리 콘하이드로젤렌즈의 경우 비이온성, 이온성 재질에서 모두 단백질 침전불이 잘 부착되 지 않았으며 반복오염에 의해서도 침전물이 적게 부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백질 침전물의 양은 렌즈의 재잘과 표면처리방법과 판리용액에 의해 영 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0.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세균오염은 안과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우리 나라에는 용량이 큰 식염수를 콘태트렌즈 관리에 사용하고 있어 방부제가 포함된 식염 수 1 종과 무방부제 식염수 2종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 120명을 대상으로 식염수를 3일에서 3주 동안 사용하도록 지시 한 후 사용한 식염수의 일부를 취하여 BHI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균의 16S rRNA는 중합효소반웅(PCR) 과 자기염기서열분석기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nucleotide database의 BLAST program올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120 병의 식염수 중 오염된 식염수는 49병으로 (45%) 나타났고, 오염 도는 방부제가 포함된 식염수에서는 최고 66,000 CFU/ml, 무방부제 식염수에서는 최 고 180,α)()CFU/ml로 나타났다. 오염 된 균주는 Achromobacter xylosoxi따15, Alcaligenes sputorum, Pseudomonas huttiensis. Stap따locoCiα'Js epidermidis, Pseudomonas huttiensis, Achromobacter xylosoxidαIS 맞 Pseudomonas aeruginosa 둥 총 27 개 균종이 검 출되 었다. 식염수는 방부제 포함 유무에 상관없이 개봉 후 오염되기 시작하여 시간이 경과하 면 오염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된 세균은 대부분 기회감염 또 는 병원감염에 관련된 세균으로 결막염, 각막염, 각막궤양, 안내염올 유발하는 균주로 조사되었다.
        4,500원
        9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개발훤 플로로혐 재철의 RGP 콘태트렌즈에서도 렌즈를 착용하고 관리함에 따라 변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일반세척액, 마모제가 함유된 세척액 및 얄콜성분이 함유된 세척액옳 사용하여 세척회수에 따라 렌즈의 변수변화를 측정하 였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렌즈를 수집하여 렌즈변수와 관리방법 동에 따른 변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플로로펌 재질의 RGP 콘택트렌즈를 각각의 세척액으로 5회, 15회, 30회, 50 회, 100 회, 150회 맞 200회 세척한 후 굴절력, 베이스커브, 중심두께 및 직경을 측정한 결파 렌즈의 변수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착용한 렌즈에서 는 손가락으로 세척한 경우 (-) 도수가 증가하는r 경향이 나타났고 중심두께가 O.l2mm 이하인 앓은 렌즈의 경우에는 베이스커브에 변화가 관창되었다. 또한 착용한 콘택트렌 즈에서는 대부분 표변 긁혐 현상과 단백질 침전물이 관찰되어 콘택트렌즈 관리 상태가 나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플로로펌 재질의 RGP 콘택트렌즈의 경우 중심두께가 앓거나 잘못된 방법으 로 렌즈롤 관리하면 렌즈 변행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택트렌 즈 착용자에 대한 올바른 관리 교육이 펼요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9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수색초둥학교 3-5학년 재화생 111 명(남 45명, 여 66명) 222안올 대상으로 굴 철이상도, 각막곡률 및 안구의 걸이롤 측정하여, 8개월 동안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조절마비 상태에서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둥가구면 굴철이상도의 펑균 변화도는 -0.32:3 ::t 0.346 D( -0.399 ::t 1.621 D에서 -0.722 ::t 1.719 D) 외 유의한 증가률 보였고 (t '" 13.985, p = 0.0000), 자동각막곡훌제로 측정한 각막굴철력의 평균 변화도는 -0.02 ::t 0.246 D(43.322 :t 1.241 D에 서 43.301 ::t 1.갱OD) 의 감소률 보였으며 (t = 1.239, p = 0.217), A -Scan Ultrasonography로 측정 한 안구의 길 이 는 O.잃6 :t 0.239 mm(23.231 ::t 0.875 mm 에서 23.467 ::t 0.940 mm) 의 유의 한 중가를 보였고 (t = • 14.730, p = 0.0000), 안축장/각 막곡률비는 0.029 ::t 0.035(2.980 ::t 0.1 14에서 3.009 ::t 0.12 1)의 유의한 증가훌 보였다 (t = --12.388, p = 0.0000). 안광학상수의 변화가 굴절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안축장의 증 가가 근시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온 낮은 상관성올 보였고 (Y = 0.173 + -0.198 * X; r = -0.284, p < 0.(001), 각막곡률의 감소와 근시도의 증가 사이에는 상판성이 없었다 (Y = -0.031 + -0.033 * X ; r'" -0.046, p = 0.48). 또한 정시 및 왼시군(둥가구면 굴절이상도가 -O.50D 야하)과 근시군(둥가구면 굴 절이상도가 -O.50D 이상)의 근시진행도를 비교한 결과 정시 및 왼시군(평균 변화도 -0.234 ::t 0.330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458 ::t 0.327 D) 에서 근시도가 더 크게 증가 하였고 (t'" -4.983, p = O.α)()()) , 안축장은 정시 및 원시군(평균 변화도 0.175 ::t 0.217 mm) 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331 ::t 0.241 mm) 에서 더 크게 증가하였고 (t = 4.986, p = αoα삐), 각막곡률은 정시 및 원사군(평균 변화도 -0.013 ::t 0.254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031 :t 0.233 D) 에서 더 크쩨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t = -0.513, p '" 0.608). 따라서 초등학생에서 신체의 성장과 함께 굴절상태가 근사쪽으로 진행하며 안축장 이 증가하는 반면 각막의 굴절력온 갑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원시 및 정사군보다 근시군에서 근시도 및 안축장악 변화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3.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를 설계하기 위하여 안질환과 외판상 전신질환이 없 는 10--13세(평균 10.5 세) 사이의 초등학생 200 명(남 96 명, 여 104 명)을 대상으로 안 경테 설계와 관련된 머리와 얼굴부위를 계측하고, 이 자료룹 바탕으로 한국 어린이용 안경테의 전면부와 다리부 설계값을 구하였다. 한국어린이의 얼꿀형태는 코카시안 어 린이의 얼굴형태와 차이를 나타냈으며, 안경테 설계와 관계꾀는 앨꿇너\:1 1 와 머리너비 는 한국성인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머리최대길이, 귀구슬사이거리, 동공사이거 리는 성인과 차이가 있어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은 성인용 안정테 설계값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얼굴형태를 기초로 계산된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올 현재 판매되고 있는 어 린이 딴경테 측정치와 비교한 결과 안정테 전변부 선체깊이 (FHDl, 기준선길이 (RHD) 및 Front to Bend(FTB) 는 기존 안정데가 설계값보다 크기자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안경테 PD(OCD), 렌즈고정툴사이거리<DBR>, Length of Drop(LDl은 기존 안경 테가 설계값보다 큰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는 성인 안경태의 축소형이 아닌 어련이의 얼팔 형태에 적합하게 설겨1 되어야 하므로 현재 시 판되는 안경테보다 안경테 전면부 길이는 크고 안경태 PD. 렌즈고정툴사이거리, 연 결부 (bridge) 는 짧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며, 어린이의 취향에 맞게 설계값올 기초로 하여 따양한 디자인의 안경테가 제작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권다.
        4,500원
        9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경올 착용하고 있는 초둥학교 어린야 120 명(현재 안경의 착용기간 0.67 ::1:: 0.55년) 을 대상으로 안경올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현감에 대한 설푼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착 용 중인 안경의 조정 (fitting) 상태, 광학적 조제상태 및 안정테의 크기률 조사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28% 가 안경을 착용하면서 불편올 느꼈으며, 불펀감의 왼인은 ‘훌 러내댐’ 41%, ‘코와 귀 부위의 압박감’ 46%, ‘기타’ 12% 로, 대부분 안경테의 역학적인 조정상태가 불편감의 원인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안경 착용상태를 조사한 결과 착용자의 67% 에서 착용상태가 적절하지 못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으로는 코받침부의 간격이 넓고 l斗리꺾엉부의 위치가 깊게 조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와 동공간거리가 일치하지 않은 안경은 93%로 나 타났으나, 독일 RAL-RG-915룰 적용하여 조제가공 허용오차의 범위에 대한 적부플 판단한 결과 수펑방향은 96% 가 적합하였으며, 수작방향은 89% 가 적합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4.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등가구면굴절력은 -1. 99엄::t:1.729D 였으며, 완전 교정도수 의 등가구변굴절력은 2.660::t 2.068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큰 불편은 느끼지 못하눈 것으로 나타났다. 5. 착용 중인 안경테의 크기와 어련이 안경태의 설계값을 비교한 결과 전면부 전체길 이 (FHD) 는 설계값에 비해 작은 반면, 렌즈고정블 중심간거리 (FPD>와 렌즈고정틀 사이 거리 (DBR)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리부 전체길이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 length of drop(LD)은 긴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어린이가 안경쏠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편감의 주증상흘 흘러내립이 며 그 원인으로는 넓은 코받침부의 간격과 다리꺾임부의 위치가 부적절하게 조정되 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 시판되는 안정테의 크기가 어린이의 얼굴 형태에 적합하지 못하며 특히 코받침 부위가 열굴형태와 관 차이가 있어 어린이의 얼굴형태 에 따라 안경태를 조정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