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5

        141.
        200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growth temperature on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hydrogenated Al-doped zinc oxide (AZO:H) thin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using a ceramictarget (98wt.% ZnO, 2wt.% Al2O3). Various AZO films on glass were prepared by changing the substratetemperature from room temperature to 200oC. It was shown that intentionally incorporated hydrogen plays animportant role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AZO:H films by increasing free carrier concentration. As a result,in the 2% H2 addition at the growth temperature of 150oC, resistivity of 3.21×10-4Ω·cm, mobility of 21.9cm2/V−s, electric charge carrier concentration of 9.35×1020cm-3 was obtained. The AZO:H films show a hexagonalwurtzite structure preferentially oriented in the (002) crystallographic direction.
        4,000원
        142.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fabrication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carbon counter electrode has been tested for replacing the platinum counter electrode which has two drawbacks: limited surface area and high material cost. Poor mechanical stability of carbon layer due to weak bonding strength to electrically conductive TCO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glass substrate is a crucial barrier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carbon counter electrode. In the present study a carbon counter electrode with high conversion efficiency, comparable to Pt counter electrode, could be fabricated by adaption of a bonding layer between particulate carbon material and TCO substrate.
        4,000원
        14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정란이식의 현장 적용 측면을 중심으로, 한우 체외 수정란의 발생 단계, 일자 및 등급이 젖소 대리모에 이식 후 임신과 유산, 분만과 관련된 임신기간, 생시체중, 난산 및 쌍자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단자 및 쌍자 분만에 따른 임신기간, 생시체중, 성비 및 폐사율을 분석하였다. 발생 단계에 따른 임신율은 배반포 단계(64.4%), 유산율은 부화 배반포(HB) 단계(21.4%)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발생 일령에 따른 임신율은 7일령
        14,700원
        14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oxicities of 37 commercial pesticides for citrus pests were evaluated to N. fallacis. Eight fungicides (difenoconazole, imibenconazole, azoxystrobin, dithianon, fluazinam, procymidon, strep-tomycin, tribasic copper sulfate), three insecticides (dichlovos, imidacloprid, thiamethoxam) and four acaricides (milbemectin, tetradifon, dicofol, spirodiclofen) had lower effect to the hatchability of eggs N. fallacis. Six fungicides (propineb, difenoconazole, imibenconazole, azoxystrobin, dithianon, procymidon) and three acaricides (bifenazate, tetradifon, spirodiclofen) showed lower contact toxicity to adult N. fallacis. The secondary toxicity of 26 pesticides to N. fallacis adult were evaluated. Two fungicides (fluazinam, streptomycin) and 3 acaricides (machine oil, cyhexatin, halfenprox) showed low toxicity when the prey (eggs of spider mite) was treated with pesticides.
        4,000원
        14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dation of Neoseiulus fallacis was observed for biological control of Panonychus citri that is one of the major insect pests on citrus. The daily predation of development stages of P. citri by an adult female of N. fallacis were 20.1 eggs, 26.1 larvae, 18.2 protonymphs, and 7.4 deutonymphs at 25℃. The daily predation of P. citri eggs by N. fallacis was observ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The predation wa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rise. At this time, ratio of eggs production of N fallacis after predation of P. citri eggs (number of eggs N. fallacis/number of eggs P. citri consumed by N. fallacis) was 0.09. The daily predation of P. citri eggs by N. fallacis was 21.1, 17.3, and 16.7 on the different arenas (diameter: 20, 40, and 60 ㎜), respectively. The predation was decreased as the arena of the leaf increase. The functional response of N. fallacis to P. citri showed Holling"s Type Ⅱ response: the consumption of prey by N. fallacis increased as the density of prey increase but increasing rate was gradually reduced. As the result, it seemed that N. fallacis can be use for biological control of P. citri.
        4,000원
        15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온항습 조건에서 Amblyseius fallacis의 접종밀도별 귤응애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16 : 1(Panonychus citri :A.fallacis) 이상의 비율로 접종한 경우에 귤응애의 밀도가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리고 귤응애의 초기 밀도가 잎 당 0.5마리와 1마리일 때 20:1로 1-2회씩 방사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A.fallacis의 밀도는 다소 높게 형성되었으나 귤응애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비닐하우스의 감귤나무에서 귤응애가 잎 당 0.1-0.2마리 정도일 때 10:1로 2회 방사한 경우에는 A.fallacis의 밀도도 높게 형성되었으며, 유기합성농약을 살포한 처리구와 동일할 정도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리응애가 서식하는 곳은 수관 내부이므로 수관 내부와 외부의 환경차이를 조사한 결과,주간에는 수관내부가 외부에 비해 기온은 낮고, 상대습도는 높기 때문에 A.fallacis의 서식에 다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온은 7.2 이상, 상대습도는 18.5% 이상까지도 차이가 있었다.
        4,000원
        157.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자생종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a)와 도입종인 Amblyseius fallacis Garman, Typhlodromus occidentalis Nesbit 등 3종 이리응애의 감귤원 귤응애에 대한 포식능력과 피식자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사육실(, RH 65%, 16L : 8D)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귤응애 알에 대한 포식량은 A. fallacis 20: 1개, 긴털이리응애와 T. occidentalis는 각각 1.1개와 9.1개였다. 귤응애 유충과 제1약충 그리고 제2약충에 대해 긴털이리응애는 각 23.8, 16.5, 9.0마리, A. fallacis는 각 26.1, 18.2, 7.4마리 그리고 T. occidentalis는 각 7.8, 4.2, 4.2마리를 포식하였다. 20:1의 비율에서 귤응애 밀도억제효과는 긴털이리응애와 A. fallacis는 효과가 좋았으나 T. occidentalis는 효과가 매우 낮았다. 에서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긴털이리응애는 6.1일, A. fallacis는 5.9일로 두 종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4,000원
        158.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지역의 온주밀감 과수원에서 귤응애(Panonychus citri (McGregor)) 밀도에 대해 잎당 응애수를 2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이항표본조사법은 잎당 귤응애의 밀도와(m)와 귤응애가 T마리보다 많이 존재하는 잎의 비율()과의 관례를 기본으로 하며, T는 경험적 이항분포모형 []에서의 tally threshold로서 본 연구에서는 1, 3, 5, 7을 사용하였다. 표본단위 수의 증가는 T와 관계없이 이항분포 모형의 정확도에 영향이 거의 없었던 반면에 T는 값이 증가함에 따라 표본수를 증가시켜도 정확도가 낮아졌다.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는 T=1일 때 가장 높았으며, 최적의 tally threshold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항표본조사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독립된 표본을 추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온주밀감원에서 귤응애 밀도추정에는 T=1인 경우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귤응애 밀도를 분류하기 위한 이항표본조사과정을 개발하여 action threshold가 귤응애 밀도가 잎당 2마리일 때의 이항표본조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4,000원
        159.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귤응애의 예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의 온주밀감원에서 귤응애 분산형태에 대해 2개년(1999~2000년)에 걸쳐 잎 표본에 대하여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으며, 잎 표본 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Taylor's power law가 Iwao's patchiness regression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다. Taylor's power law의 기울기와 절편은 조사한 포장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상수값을 이용하여 잎 표본 조사에 의한 귤응애 약 .성충에 대한 고정정확도수준에서의 표본조사법을 개발하였다. 이 조사법에 대해 resampling 기법을 이용하여 독립된 4개의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질 고정정확도(D)값이 요구되는 D값보다 항상 낮았으며, 나무당 귤응애 밀도가 8마리 이상에서 필요한 조사 나무수는 18주보다 작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