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서 勿은 갑골문 ( , , 勿)과 ( , 勿)을 모두 가리키기도 한다. ‘雜文’을 가리켰던 ( , , 勿)과 ‘쏘다’를 가리켰던 ( , 勿)은 갑골문 단계에서 형체가 서로 달랐다. ( , , 勿)는 卜辭에서 주로 ‘雜文’으로 쓰였다. 字源에 대해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 ’은 쟁기( )와 쟁기질을 할 때 나오는 ‘쟁기 밥’을 그려 ‘雜文’을 나타낸다 하고, 다른 하나는 ‘ ’의 는 칼을, 斜線은 칼로 자른 물건을 나타내어 ‘分割’을 나타낸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이 部 件인 利는 본래 ‘禾+ ’로, 쟁기로 땅을 갈면 벼에게 이롭기 때문에 ‘이롭다’란 의를 갖게 되었다고 하고, 利가 聲符인 , 黎 등은 아직도 부건 ( )의 흔적을 보유하고 있음에서 쟁기와 쟁기 밥을 그린 것이 맞다 한다. 후자는 ‘ ’는 (分)의 상부 ‘ ’이 칼로 잘려진 물건을 나타내듯이 分割, 切斷 을 나타내는데, 잡다하게 잘려진 것으로부터 雜文이 인신되었다고 한다. 또, 同源 혹은 후치자인 物 과 刎이 전적이나 복사에서 ‘베다’란 뜻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본의가 ‘분할’이라 한다. 物은 ( , , 勿)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갑골문에 物이 존재하는가는 아직 쟁론 중인데,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람들은 ‘ ’처럼 ‘ + 牛’의 合文만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 반대는 ‘ ’처럼 엄연히 존재 했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馬 牡 牝 ’같이, 복사는 ‘ + 牛’로만 존재했다고 한다. ( , 勿)은 활을 쏜 뒤 시위가 진동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 ‘쏘다’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복사에서 는 대부분 부정사로 쓰였다. 그런데 ‘雜文’을 나타내었던 이 西周 金文에 이르러 과 같이 부정사 로 쓰이면서 큰 혼란을 겪는다. 말하자면 자신들의 본의 혹은 引伸義와는 상관없이 모두 부정사로 쓰이면서 누가 ‘勿’의 初文인지 헛갈리기 시작하였다.
        6,400원
        2.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Silla jo among Samguk Sagi bongi, and analyzes in 音韻學的(eumwunhakcheok) about names of 王(wang)s, names of bureaucrats and names of government services marked in two or more. I referenced 郭錫良(Kwakseongryang)'s 古音手冊{koeumsuchaek) for estimation of 上古音(sangkoeum) and 中古音chungkoeum). Also this study followed theory of 王力(wangryek) for the discrimination of 同音(dongeum) and 近音(keuneum). Among the names of the kings I could not ascertain historical evidence in whether ‘伐休(Beolhyu) and 發暉(Balhwi)', ‘味鄒(Michu) and 未古(Migo)’ and ‘炤知(Soji) and 毗處(Bicheo)’ are the same or similar sounds. Among above kings the name of a king 炤知(Soji)(照知(Choji)) was recorded in 毗處(Bicheo). It seems to have been documented in a changed form from a Chinese character meaning to a Korean native tongue. Both 炤(so)and 照(cho) in 炤知(Soji)(照知(Choji)) mean ‘光(kwang)’ which represents ‘bright, shining, and light'.(In 炤知(Soji) 知(ji) is a suffix which has no meaning.). 毗處(Bicheo) is the ‘빛(bit)’, the Korean word of 光(kwang). In other words, it is the reading sound of 毗處(Bicheo) representing a Korean word ‘빛(bit)(毗 : 비(bi) + 處 : ㅊ(처)(cheo) = 빛(bit)’. 南解次次雄(Namhaechachawung)'s 王妃(wangbi) 雲帝夫人(Wunjebuin) was recorded in 阿婁夫人(Arubuin) which seems to have been documented in a changed form from a Chinese character meaning to a Korean native tongue. 雲帝(wunje) is the name related to water물(水 : mul). 阿婁아루(aru) is the Korean native tongue of 雲帝(wunje). 阿婁(aru) is another written version of Korean native tongue ‘阿里(ari)’ which represents water. It is the last letter that is the only difference between 阿里(ari) and 阿婁(aru). It can be proved in phonological method. 里(ri) of 阿里(ari) and 婁(ru) of 阿婁(aru) are that 聲紐(seongnyu) is 雙聲(ssangseong) and also vowel or final consonant is similar which is changed each other because the ancient Chinese sounds are similar. That the name of a place ‘始林(sirim)' was rewritten to 雞林(kyerim) is that Korean native tongue 始林(sirim) was changed to Sino‐Korean word '雞林(Kyerim)'. In other words, ‘始 : 새(sae←音(eum) : 시(si))’ was changed to ‘鷄 : 새(sae←訓(hun) : 닭(dark))’.
        3.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三国史记,三国遗事等国内的文献资料以及中国或日本的史书上记录的关于新罗的国名, 官名, 地名, 人名等, 大多数都存在于异表记. 按照异表记的原则来说, 它们应该都是同音或近音. 本考以王力提示的音同或音近基准的叠韵, 对转, 旁转, 旁对转, 通转(韵母), 双声, 准双声, 旁纽, 准旁纽, 邻纽(声母)为根据, 从音韵学的角度对这些新罗时期的名词是否是异表记进行考证. 人名接尾辞异表记, 在ⓐ'知,只,利,兮,巴'与ⓑ'次'中, ⓐ为双声, 准双声,叠韵, ⓐ和利, 次通过邻纽, 通转为近音. 而兮和巴并不是互为近音, 前文的ⓐ和ⓑ也不是近音. 地名异表记, ‘伊骨'与‘一古'中的伊和一是双声, 对转的近音. 骨和古在上古音及中古音中不是近音但是在近代音成为了同音. 官等名异表记‘飡, 湌, 餐, 囋, 飧’中餐是本字, 湌是异体字, 飡是俗字, 囋, 飧是异表记字. 官等名異表記‘沙咄干’的咄虽然看作是叱的误记但是从音韵学的角度是无法看成误记的. 官等名異表記‘柰麻’中‘柰, 奈, 乃,那’的奈和柰是两个不同的字, 但是因为在上古, 中古音中是双声, 叠韵的同音所以可以互用. 官等名異表記‘翳飡, 伊湌, 乙粲’中, ⓐ‘翳和伊’是双声,叠韵的同音, ⓐ和‘乙’是双声, 对转的近音. 官等名異表記‘沙湌, 薩湌’中, 沙和薩在中古音里是准雙聲, 對轉的近音.官等名异表记‘吉支智, 吉之, 吉士, 吉次, 稽知’的‘吉支智’中的智是接尾辞. ‘吉支智’的接尾辭'智'除外的‘吉支, 吉之, 吉士, 吉次, 稽知’中的吉和稽在上古, 中古音里是双声, 对转的近音. 後部要素ⓐ支, 知, 之, 士在上古, 中古音里是雙聲或準雙聲, 疊韻或旁轉. 吉次的次在近代音时与ⓐ成为了近音. 在新罗国号的异表记‘斯羅, 斯盧, 徐那伐, 徐羅伐, 徐耶伐, 徐伐, 薛羅, 尸羅, 新羅, 新良, 志羅’等中, ⓐ‘斯, 徐, 薛, 尸, 志’的聲母心,書, 邪, 章母是准双声, 旁纽, 邻纽, 韻部之, 支, 魚, 脂韻通过旁轉成为近音. 但是新罗的新因为和前面的名称们差异较大所以并不是近音. ⓑ‘羅, 盧,那, 耶, 良’是双声或旁纽, 叠韵, 对转, 通转的近音. 王號異表記寐錦和尼斯今中的寐和尼在上古, 中古音中是邻纽, 旁转的近音. 锦和今则确实是双声,叠韵的同音. 尼斯的斯, 就如同在日本书纪中为了表现官等名柰末的末, 在奈麻后面加上了一个禮写做奈麻禮一样, 可推测是作为‘-ㅅ’的角色.
        4.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漢字敎學은 중학교까지 3500자(초등학교 3000자)를 실시하되, 초등학 교 1, 2학년에서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漢字敎學法은 우리와 중국이 유사하지만 중국이 우리보다 다양하다. 우리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이, 중국은 상형을 통한 圖形識字,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 생활을 주제 로 한 誦讀法, 會意形聲原理識字, 偏旁활용 識字등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실시한다. 우리와 중국 모두 한자교학은 필획, 필순, 편방부수, 자전 찾기, 图画등 을 이용하지만 중국은 漢語拼音을 교학하고, 이를 통해 識字敎學을 하기도 한다. 중국은 간체자로 인해 육서 이용, 결구 분석 등을 통한 敎學이 불리하지만 聲讀, 문장 읽기를 통한 識字敎學은 유리하다. 최근 중국의 일부 초등교재는 先拼音敎學에서 先漢字敎學으로 바뀌었는데, 그 이유는 先拼音, 後漢字敎學이 한자의 形音義사이의 聯想작용을 방해하고, 한자 를 저열한 문자로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의 ‘漢字敎學法은 聲符활용 敎學法, 결구분석을 통한 字源활용 교학법, 만 화, 그림, 사진, 컴퓨터 등 매체를 이용한 교학법이 연구되었다. 우리의 교학법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주된 요인은 개인적 연구 로 파급력이 약하고, 안정성, 효율성이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分散識字, 集中識字, 部件識字, 聽讀識字, 字謎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雙拼電腦識字, 解形識字, 電腦字根識字, 大成序法識字, 字中字檢字法등이 연구되었다. 중국의 識字敎學法연구는 대부분 국가 혹은 지방정부 차원의 연구 과제로 수행되고 실험을 거친 것들이라 공신력이 크다. 최근 중국의 한자교학은 학습자의 흥미, 능동적 참여, 학습자 존중, 창의적 교육, 독립적 識字를 추구한다. 중국의 식자교학법 중 謎語法, 字中字法, 노래나 韻律있는 문장을 활용한 破字識字法은 관심을 가질만하다. 우리나 중국 모두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멀티미 디어, 인터넷 등 매체를 활용하여 한자를 교학하지만 매체이용은 우리가 중국보다 다양하고 화려하다.
        9,900원
        5.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Ⅰ. 韓・中 漢字敎學 比較 1. 韓國의 漢字敎學 1) 韓國의 漢字敎學 目標 우리의 漢字敎學은 중학교에서, 중국은 초등학교 그것도 1, 2학년에 집중적으로 실시된다. 우리의 漢字敎學 목표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1, 2, 3학년의 영역별 구체적인 敎學內容을 개술하면 다음과 같다. 2) 韓國의 漢字敎學 內容 ① 한자의 형‧음‧의를 안다. ②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안다. ③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을 찾을 수 있다. ④ 한자를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⑤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안다. ⑥ 한자의 형성 과정을 이해한다. ⑦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3) 韓國의 漢字敎學 방법 및 資料 한자교학 지도방법은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이 있다. 이들 외에도 다양한 수업 방법을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지도한다. 교수․학습 자료는 카드, 융판, 괘도, 컴퓨터, OHP, 실물화상기,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 매체 자료를 포함한 각종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 한다. 2. 中國의 識字敎學 중국의 識字敎學은 어떤 敎學法을 사용하던 최근에는 학습자의 흥미, 능동적 참여, 학습자 존중, 창의적 교육, 독립적 識字를 추구한다. 1) 中國의 識字敎學 目標 중국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까지 9개 학년을 통합 설계하고, 識字方面의 구체목표는 汉语拼音을 배워 普通话를 구사하고, 3500자 정도의 常用汉字를 알며(중학교 500자 포함) 汉字를 쓸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단계별 목표에서 초등 1~2학년은 常用汉字 1600~1800자를, 3~4학년은 2500자 를(누적), 5~6학년은 3000자를(누적) 익히고 대략 2500자 정도를 쓸 수 있게 한다. 2) 中國의 識字敎學 內容 교학내용은 필획, 필순, 편방부수, 汉语拼音, 자전 찾기 등을 실시하고, 图画, 上下文 연계, 儿歌, 童谣, 간단한 古诗, 成语, 格言 등을 통해 識字한다. 3) 中國의 識字敎學 方法 및 資料 교수․학습 자료는 挂图, 工具书, 图书, 报刊, 电影, 电视, 广播, 网络, 报告会, 研讨会, 연극, 图书馆, 博物馆, 광고 등을 망라하여 활용한다. 수업은 학생 교사 쌍방의 주체적, 창조적 교감과 학생 자신의 자주적 학습력을 중시한다. 4) 中國의 拼音과 漢字敎學에 대한 認識 변화 최근 중국의 識字敎學은 일부 초등학교 교재에 先拼音敎學에서 先漢字敎學으로 바뀌었다. 이의 가장 큰 이유는 先拼音, 後漢字敎學이 피동적인 교육이 되고, 形音義 사이의 聯想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Ⅱ. 韓・中 漢字敎學法 硏究 1. 韓國의 漢字敎學法 硏究 聲符활용 敎學法 : 형성자의 聲符, 同源字 이론을 응용한 聲符 활용 敎學法字源活用 敎學法 : 結構分析, 부수편방 이용, 破字, 構形學 이론 적용 매체이용 敎學法 : 만화, 괘도, 그림, 사진, 컴퓨터, 인터넷, 웹기반, UCC & FLASH 敎學法硏究 特徵 : 국가, 지방정부 차원이 아닌 개인연구 2. 中國의 識字敎學法 硏究 字音活用 敎學法 : 聽讀識字, 拼音識字, 閱讀識字, 有廣東特色的‘注音識字’敎學, 韻語識字 字源活用 敎學法 : 部件識字, 解形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字謎識字, 結構分析法, 字義識字敎學法分散集中 敎學法 : 分散識字, 集中識字 매체이용 敎學法 : 雙拼電腦識字, 電腦字根識字法, 多媒體電腦輔助學習漢字, 計算機輔助識字敎學法硏究 特徵 : 대부분 국가 혹은 省, 市 차원의 연구과제로 파급력과 공신력이 큼.Ⅲ. 韓・中 漢字敎學 比較 중국과 우리의 교수․학습 방법, 내용, 자료 등은 유사한 점이 많다. 1. 敎學量과 特徵 중국 : 초등학교 3000자, 중학교까지 3500자를 識字한다.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常用汉字 1600~1800자를 익히고, 그 가운데 800~1000자를 쓸 수 있게 하는 집중식자를 한다. 한국 : 중학교 900자 敎學(1, 2, 3학년 각 300자) 중국이 우리보다 월등히 많은 한자를 敎學한다. 단 중국은 모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한자를 敎學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고등학교까지 1800자 식자는 그리 적은 편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2. 敎學內容 中國 : 중국은 識字, 寫字, 拼音, 閱讀, 寫話(받아쓰기) 등을 통해 식자한다. 이들을 효과적으로 교학하기 위해 쓰기, 偏旁익히기, 査字하기, 生字에 主音하기, 자형분석하기, 字音과 字義 장악하기, 上下文을 활용한 한자 추측하기, 漢語拼音의 大寫字母 알고 쓰기 등을 교학 한다. 韓國 : 한자의 형‧음‧의와 부수를 알고 자전을 찾을 수 있다. 한자를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한자의 형성과정과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안다.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우리 교재는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등을 활용하고, 육서 원리, 자전 찾기, 字音, 同部首字, 同義利用, 類似漢字, 편방분석, 상대어, 유의어, 각종 첨단 매체를 활용한 한자교학이 이루어진다. 단, 중국의 上下文을 활용한 한자 추측하기, 漢語拼音의 大寫字母를 알고 쓰기는 없다. 3. 敎學方法 中國 : 識字敎學은 상형을 통한 圖形識字,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 생활을 주제로 한 誦讀法, 會意, 形聲原理 識字, 偏旁 활용 識字, 쓰기를 통한 識字 등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시한다. 중국도 우리의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등을 이용한 교학을 실시하지만, 우리가 훨씬 다양하고 화려하다. 자료 :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컴퓨터 등을 활용 韓國 :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을 만화, 괘도, 그림, 사진, 컴퓨터, 인터넷, 웹기반, UCC & FLASH 등 각종 매체를 이용하여 교학한다. 중국에 비해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이 미약하다. 4. 長短點 韓國 : 우리의 한자교학법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주된 요인은 한자학 수준의 저하와 개인적 연구로 파급력이 약하고 안정성, 효율성이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단 우리는 繁體 사용으로 結構를 分析하거나, 六書를 활용한 교학에 유리하다. 또, 그림, 말풍선,만화, 사진 등을 이용한 교학은 우리가 훨씬 다양하고 화려하다. 中國 : 簡體字로 인해 六書, 結構 分析 등을 통한 漢字敎學에 불리하다. 단, 聲讀, 문장 읽기를 통한 識字敎學, 노래, 破字 등을 활용한 교육에 장점이 있다. 중국의 식자교학법 중 謎語法, 字中字法, 노래나 韻律있는 문장을 활용한 破字 識字法은 우리가 응용할만하다.
        4,000원
        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7.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根源聲符를 활용한 漢字指導法은 부수중심 지도법과 그 원리가 같다. 根源聲符를 공유한 형성자들을 系聯하여 指導하는 것이기 때문에 字形과 字音을 쉽게 익혀 연상작용, 이해력, 把持力을 높일 수 있다. 단점은 意義정보의 학습에 취약 하다는 것이다. 丰을 根源聲符로 한 형성자를 層次的으로 系聯하면 1次形聲字는 夆, 奉, 邦, 蚌, 등이, 2次形聲字는 逢, 峯, 莑, 綁, 捧, 封등이, 3次形聲字는 熢, 蓬, 樥, 葑등이, 4차형성자는 鑝이 있다. 各을 근원성부로 한 형성자는 근원성부의 字形 이 변형되지 않고 매우 안정적이다. 어느 字符에 參構하던 자형 ‘各’을 유지하였 다. 하지만 字音은 가, 각, 객, 격, 낙, 락, 략, 액, 학, 맥 등으로 다양하게 분화되었 다. 1차 형성자는 恪, 閣, 客, 格, 洛, 略, 頟, 狢, 貉이, 2차 형성자는 櫊, 髂, 楁, 愘, 喀, 落, 撂, 額등이 있다. 根源聲符를 활용한 漢字指導를 위하여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만이라도 字源 이 규명되고, 同聲符의 형성자들이 系聯되어 漢字指導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字典이 部首에 의해 編纂되었듯이, 이들 연구가 축적되어 聲符辭典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7,700원
        8.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의 자형은 소전에서 예서로 이행되면서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변화의 큰 특징은 동일한 部件이 結構에 따라 모양을 다르게 쓰거나, 서로 다른 部件인데 같게 쓰며, 하나의 部件인데 두개 이상의 部件이나 필획으로 絶離되거나, 각각 독립된 部件인데 하나의 부건처럼 결합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異字同形인 경우로 ‘奉, 春, 奏, 秦, 泰’의 상부 ‘ ( )’는 소전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한 서로 다른 部件2개 이상이 隸變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 것이다. 同字異形인 경우로 人은 소전에서 어디에 위치하던 모두 ‘ ’로 썼는데 隸變에 의해 ‘亻,人, 卜, , , , ’ 등으로 변화됐다. 信에서는 亻, 企에서는 人, 에서는 卜,色에서는 , 及에서는 , 北에서는 , 監에서는 으로 썼다. 火의 경우도 灼에서는 火, 然에서는 灬, 尉에서는 小, 赤에서는 , 光에서는 으로 그 형체를 달리하여 썼다. 이렇게 異字同形이나, 同字異形의 한자들을 한데 모아 가르치면 효과적인 字源학습이 될 것이다. 字音活用의 字源敎育은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漢語의 변화발전을 고려한다면 자형보다 자음이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형보다도 자음이 더 먼저 출현하였고, 자형과 자음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나무를 가로 세로로 얽어놓은 모양을 그린 ‘冓’가 聲符인 溝, 構, 講, 媾, 遘등은 모두 交合의 뜻을, 손가락이 교차함을 나타낸 叉가 聲符인 杈, 衩, 汊등은 나뉘거나 교차함을, 句가 聲符인 狗, 豿, 駒등은 동물의 새끼를, 鉤, 枸, 軥, 笱, 拘, 痀, 朐등은 구부러진 것을, 古, 曷, 夬가 聲符인 枯, 涸, 姑, 竭, 渴, 決, 玦은 부족하거나 결함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음과 뜻이 같거나 비슷한 一群의 한자들을 함께 모아 한문교학에 응용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이다. 在는 才와 土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초기 예서에서는 ‘ ’처럼 썼지만 隸變 과정 중에 才가 ‘ ’처럼 변하고, 結構도 좌우결구가 아닌 상하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변하였다. 及은 상부 人과 하부 又로 이루어졌는데 예변과정 중에 상부 人이 ‘ ’로 변한 것이다. 이는 하부에 있는 ‘又’의 첫 번째 획과 연결 書寫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益은 水와 皿을 상하로 결합시켜 그릇 위에 물이 넘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상부 水는 隸書단계에서 옆으로 뉘어 ‘ ’로 쓰기 시작하였다. 志는 상부 之, 하부 心으로 구성된 형성자이다. 赤은 상부 大, 하부 火로 구성된 회의자이다. 勳은 熏과 力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書寫시 상부 과 하부 灬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다. 이는 문자구성원리에 맞지 않는다. 한자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한문학, 한문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를 위해, 한문과의 외연확대를 위해 한자학은 필수 불가결하다. 한자학의 활성화를 위해 한문교육과에 전공강좌 개설과 임용고사에 한어문자학을 반영해야 한다.
        10,800원
        10.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文以與女性有關的漢字爲例證, 說明漢字形體反映的女性社會地位浮沈. 一. 女權社會的佐證 在甲骨文裏“女”字的字形是委曲柔順服侍男人的樣子. 然而, 歷史上女性也曾經有過輝煌顯赫的時代. 特別是女性作爲人類之母, 在人類本身的生産活動繁衍後代這一意義上, 是受到尊敬和崇拜的. 漢民族有一批古老的姓, 其字都是女字旁, 也可作爲母系氏族社會形態曾經存在的佐證. “姓,” 人所生也. 因生以爲姓. 姓是區別出身的, 而出身是由女性決定的, 也就是因生以爲姓. 二. 反映生育的漢字 “母”字, 在女字上加兩點兒, 突出了母親用以哺育孩子的兩個乳房. “孕”字, 非常形象地表現了婦女腹中懷子之形. “身”字, 突出了人的大肚子, 中有一點兒, 表示腹中懷子. “乳”字, 此字形象母親懷抱嬰兒, 嬰兒張口對著母親的乳房. 三. “好”與“好字眼兒” 卜辭及銘文中所記載的“婦某”之詞, 卽是尊稱某位婦女的. 婦女的地位還不似後世那麽低下, 婦女還可以帶兵征伐, 還可以在朝廷掌管政事.《說文․女部》中也保留了許多古代女子的字或號, 如:娀(帝高辛之妃契母號也.), 娥(帝堯之女舜妻娥皇字也). 《說文․女部》: “好,美也。從女子.” 以女子爲好, 反映了人們對女性的讚美和愛戀.《說文․女部》共收錄238個的“女部”字. 其中有許多是讚美女性ㆍ形容女性美麗的. 如:媚, 嫵, 媄, 媌, 婠, 嫿, 娙, 妴, 妌, 婜, 媛, 姝, 姣,嫻 等字皆訓“好”也, 都是形容女子美貌. 四. 從女的“壞字眼兒” 採集-狩獵爲主的經濟形式讓位于農耕-畜牧經濟. 男性在經濟生活中占據了主導地位, 母系氏族制度轉變爲父系氏族社會, 女權轉變爲男權. 而且, 這種男權制度貫穿了整個奴隸社會ㆍ封建社會, 直至今天, 這種男權主義的影響仍然深刻地積澱在漢民族的意識觀念之中. 漢字旣然是在男權社會中産生的, 由於女性社會地位的低下, 更由於男性對女性的輕視, 反映在漢字的造字構形上, 必然會出現一些貶損女性的“壞字眼兒.”《說文․女部》中就有比“好字眼兒”更多的“壞字眼兒” 如:姦, 嫉, 妬, 娸, 娼, 奴, 妄, 妨, 嫌, 娛, 姿, 婪 等字, 未必心存輕視侮辱婦女之意. 漢字的結構與婦女的社會地位並無必然聯繫. 從文化學角度來說, 漢字的形體積澱了相當多的傳統文化內容, 從中我們倒正可以發現歷史上婦女地位的變化.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