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급식실에 설치된 냉장고, 냉동 고, 자외선 살균기 손잡이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고 위 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손잡 이는 전라남도 소재 어린이집 101곳의 냉장고, 냉동고, 자 외선 살균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냉장고, 냉동고, 자외선 살균기 손잡이의 일반세균 오염도는 평균 1 .9 ±0.9 log CFU/ 100 cm2, 1.9±0.7 log CFU/100 cm2, 2.0±1.1 log CFU/100 cm2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살균기의 오염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각적인 안전 조치가 필요한 급식 설비 손잡 이 수는 가정 4건, 국공립 6건, 민간 7건으로 민간 어린이 집 급식 설비 손잡이에서 일반세균수 오염에 가장 취약하 였다. 냉장고, 냉동고, 자외선 살균기의 대장균군 오염도 는 평균 1.4±1.4 log CFU/100 cm2, 1.1±1.1 log CFU/100 cm2, 1.1±1.0 log CFU/100 cm2로 나타나 냉장고의 오염도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시설 별로는 지역아동센터, 가정, 국공립, 민간 어린이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각 적인 안전 조치가 필요한 급식 설비 손잡이 수는 지역 아 동 0건, 가정 2건, 국공립 5건, 민간 10건으로 민간 어린이집 급식 설비 손잡이에서 대장균군 수 오염에 가장 취 약하였다. 어린이집 급식실 설비 손잡이의 살균 기준을 제 시하고자 대장균 저감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소독 티슈와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어린이집 급식실 설 비 손잡이를 살균할 시 소독 티슈를 새것으로 바꾸어 총 3회 살균하는 방법과 70% 에탄올 4회 분무 후 5분 건조 하는 방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어린이집 급식실 설비 손잡이에 의 한 교차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설비 손잡이를 소독 티슈 새것으로 교체하며 총 3회 이상 살균하거나, 70% 에탄올 4회 이상 분무 후 자연 건조하는 방법을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새우는 지질과 칼로리가 낮은 고단백질 공급원으로, 분말 또는 소스 형태로 가공되어 다양한 식품에 첨가된다. 그러 나 새우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가 섭취할 경우 심각한 건강 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가공식품에 포함된 알 레르기 유발물질은 인지하고 섭취를 피하기 어렵다. 이에 따 라 가공식품 중 새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분석법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우의 열안정성 수 용성 단백질(TSSP)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 한 다클론성 항체(pAb)를 기반으로 간접 효소결합면역흡착 분석법(indirect ELISA)을 개발하였다. 생산된 pAb는 Penaeus japonicus, Metapenaeus joyneri, Penaeus chinensis, Pandalus borealis, Penaeus monodon 등 5종의 새우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였으며, 다른 식품 성분과 교차 반응을 보이지 않았 다. 개발된 pAb 기반 indirect ELISA의 검출한계(LOD)는 0.001%였다. 또한 삶음(100oC, 60분), 멸균(121oC, 60분), 튀 김(170oC, 8분) 처리된 새우 시료에서도 검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리 조건 적용 후에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새우 TSSP가 열처리 식품에서 새우 혼입 여 부를 식별할 수 있는 항원 및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 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개발된 pAb는 가공 식품에 혼입된 새우 검출을 위한 면역분석 및 바이오센서 개발에 유용한 생체수용체로 활용될 수 있다.
만성췌장염은 췌장 외분비 기능부전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지용성 비타민 흡수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영양 결핍이 흔하게 발생한다. 특히 비타민 D 결핍은 칼슘 항상성과 골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골밀도 감소와 함께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인다. 실제로 만성췌장염 환자의 다수 에서 비타민 D 결핍, 그리고 골밀도 감소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삶의 질 저하 및 골절 위험 증가와 직결된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만성췌장염 환자에서 지용성 비타민, 특히 비타민 D의 결핍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병태생리, 진단적 접근, 치료 및 모니터링 전략을 고찰하였으며, ESPEN, AGA, JSGE 등 최신 국제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을 비교함 으로써 임상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통합적 관리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