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utzia paniculata is an endemic species to the Korean Peninsula. Despite of importance for conservatio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D. paniculata have not been determined yet. We analyz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May to October 2014 during which 11 quadrats of size 15×15 m were studied in six regions. Each of the quadrats were further divided into 5×5 m small quadrats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were recorded. The popula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cluding species abundance (density and coverage), demographic attributes (flowering rates and fruiting plants),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light availability (transmitted light and canopy openness) and soil characteristics (temperature and humidity). We found that D. paniculata mainly distributed in Gyeongsangdo (including Taebaek in Gangwondo) along a broad elevational range of 290~959 m (mean: 493 m) above sea level. In preferred habitat the species grows within the slope range of 7° and 35° with the average of 16°. D. paniculata was generally distributed on talus deposits and low adjacent slopes.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 plants per small quadrat was 12.5 with the mean density 0.5 stems m-2. The vegetative reproduction was frequent in D. paniculata and mean flowering rate was as low as 15%. Altogether 138 taxa were found in whole observation area with the dominant tree species mainly spring ephemerals, such as Cornus controversa (importance value: 25.5%) and Fraxinus rhynchophylla (importance value: 15.8%). Although, C. controversa usually grows on steep slopes and F. rhynchophylla mostly distributed at high-altitudes, however, both species distributed in disturbed environments and among talus deposits. Thus based on our results, we concluded that D. paniculata is a disturbance-prone species, primarily existing in habitats subjected to natural disturbances, such as floods. The species occurs less at anthropogenically disturbed sites, thus there is no apparent threat to the populations and habitat of D. paniculata.
        4,200원
        2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ymbidium kanran Makino is being threatened in its own habitats due illegal collecting and habitat changes by vegetation growth along historical landuse change.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habitat restoration model for conservation of C. kanran based on ecological diagnosis. Through exploration to Jeju Island in 2014 and 2015, we identified 27 unknown habitats of C. kanran and in there, abiotic variables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composition were quantified. Altitudinal distribution of C. kanran was between 200 m ~700 m a.s.l. and compared to distribution in 2004, Area of Occupation (AOO) decreased at 82%. Specific habitat affinity was not observed by evenly found in mountain slope and valley and summergreen an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but likely more abundant in valley habitats with higher soil and ambient moisture. Total of 96 individual of C. kanran was observed with an average density of 942.6 individuals ha-1. The plants showed relatively short leaf length (average=10.7 cm±1.1 cm) and small number of pseudo bulbs (1.2±0.2). Flowering and fruiting individuals were not observed in field. C. kanran was classified into endangered plant species as CR (Critically Endangered) category by IUCN criteria. Phenotypic plasticity of C. kanran was likely support to sustain in more shaded habitat environment and recent habatat changes to closed canopy and low light availability may exhibit negatively effects to C. kanran’s life history. Restoring C. kanran habitat should create open environment as grassland and low woody species density.
        4,200원
        2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stainability of Cypripedium japonicum, a rare plant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s threatened due to artificial factors such as habitat loss and climate change etc.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changes in biological properties of the habitat etc. but conservation research has not been performed in South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pecies conservation strategi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habitats, including: 1)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2) habitat analysis of the vegetation and abiotic environments. From April to September, 2014, population characteristics [density (stems m-2), flowering rate (%), and leaf area (cm2)] in Cypripedium japonicum habitats such as Chuncheon (CC), Hwacheon (HC), Muju (MJ), and Gwangyang (GY)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plant sociological research and ordination analysis), and abiotic environments [temperature (℃), relative humidity (%), transmitted light (mol·m-2·d-1) and canopy openness (%)] were measured. Cypripedium japonicum was mainly distributed at elevation 450 to 990 m and 5 to 30° slope. Slope direction was shown as 0 to 110°. Habitats temperature (mean 18.94℃) was well matched to seasonal changes. Differences among sites showed greater level according to latitude difference. It showed the highest in habitat, GY located in the South. On the other hand, relative humidity (77.38%) didn’t show much difference among sites. The average degree of canopy openness was 18.17%. It showed the highest at HC (22.1%) and the lowest at MJ (16.1%). The average degree of transmitted light was 9.1 mol·m-2·d-1. It showed the highest at CC (10.6 mol·m-2·d-1) and the lowest at GY (6.87 mol·m-2·d-1). Chlorophyll content showed average 26.12 SPAD. It showed the highest at MJ (30.64 SPAD value) and the lowest at HC (23.69 SPAD value). Leaf area was average 253.35 cm2. It showed the highest at CC (281.51 cm2) and the lowest at HC (238.23 cm2).
        4,000원
        24.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희귀종인 한란의 보전을 위하여 ISSR 표지자를 이용한 유전변이와 분화 및 공간적 유전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유전다양성(Species level: h=0.303, S.I=0.389)은 근연종과 다른 희귀 종에 비해 높은 유전변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전자형 다양성(Species level: GN/N=0.884, D=0.996) 역시 높게 나타나 주로 타가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소집단 A와 B 간에 분화정도 는 23%로 소집단 간의 인접거리를 고려했을 때, 집단 내에서도 분포의 위치에 따라 분화가 발생하고 있었다. 높은 수준의 유전다양성과 분화의 발생요인을 고려했을 때, 과거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된 한란 개체로부터의 영향과 매개충의 역할이 주요한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소집단의 공간적 유전구조 분 석에서 A는 9m, B는 6m 이내에 분포하는 개체들 간에 유전적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 과를 바탕으로 한란의 현지 외 보전을 위한 표본 추출 시 최소 9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제안 하는 바이다.
        4,200원
        2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종위기종이며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 종임에도 불 구하고, 천연기념물 제191호 한란의 개체군 생태에 관 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는 2013년 10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서 귀포시 상효동 돈내코 계곡과 접한 한란 자생지의 환경 개체군 구조 및 미세 석시처 선호성을 분석하였다. 조사 지역 (1.25 ha)에서 총 1,237 (989.6개체 ha-1)개체의 한 란을 관찰하였으며, 위인경 (pseudobulb)은 모두 4,341 개, 그리고 17개체 (1.4%)에서 개화를 확인하였다. 전체 개체 중 60.9%에서 잎마름 및 반점 등의 병징이 관찰 되었다. 엽면적의 경우 전체적으로 소형 개체가 가장 많 고, 준중형, 중형, 준대형 및 대형의 순으로 많은 역-J자 형태로 나타났다. 한란의 크기 (위인경 수 rs=-0.159, 잎 수 rs=-0.148, 그리고 엽면적 rs=-0.114)는 토양온 도와 약하지만 유의한(p⁄0.0001) 음의상관을 나타내었 다. 한란은 거의 모든 개체 (95.4%)가 구실잣밤나무 아 래에서 자라고 있었으며, 공간적으로 모여서 자라는 특 성을 나타내었다. 연구 지역에 나타난 한란 개체군 특성 은 종의 서식처 선호성과 자생지의 천이 진행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란 자생지 모니터 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개체군 특성에 기초한 보전방 안을 논의 하였다.
        4,000원
        2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water purifiers for home-use has been popularly used as increasing distrust of the drinking tap water in views of safety. Besides, chlorination of drinking water can produce trihalomethanes known as a carcinogens. 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known to remove risk factors such as infectious microorganisms, harmful chemicals and heavy metals. We compared the change of water components before and after purification by a water purifier and evaluated the results whether this purification system is reliable or not for safety of drinking water. The samples of water from 11 sites at the campu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were examined by physicochemical analyses, including concentration of sodium, potassium, chloride, residual chlorine, boron, nitrate nitrogen, sulfur, hexavalent chromium, copper, iron, aluminium, silicon, selenium, vanadium, manganese, molybdenum, nickel, arsenic, antimony, zinc, cadmium, lead, strontium. Microbi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counting mesophilic bacterial colonies. Almost of all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after purification were shown to decrease tendency of their concentration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y except that of residual chlorine. Mesophilic bacterial counts after purification were shown to increase when compared to those of tap water. All the tap water was met the acceptance of requirement of drinking water, but samples of the water after purification were failed (4 from 11). After draining generous amount of water from a purifier, bacterial counts were observed to show a decreased tendency. Bacterial colonies were not detected when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chlorine was higher than 0.2 ppm. Although seasonal factors and maintenance condition were not concerned in this study, higher bacterial counts in purified water could cause some problems in using water purifier for home-use. Considering the results obtained, regular maintenance and care including filter change and sterilizing the reservoir are absolutely required. A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xamine where the bacteria are coming from.
        4,000원
        2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PRRS) virus causes not only breeding disorder such as abortion, stillbirth and premature birth to pregnant sows but economic damage like high estrous return and low delivery rate. The presented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seroprevalence of PRRS in Jeju herds. PRRS positive rate was examined with pig serum from hog farms located in Jeju. Serum samples were extracted from the 11 of sow farms and 10 of hog farms,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20, 40, 60, 80, 100 and older than 120 days of age and pregnant sows in hog farms. Anti-PRRSV antibody titers in sera were analyzed by ELISA. All the breeding farms and hog farms (10/10) showed PRRS positive except one breeding farm (1/11). Serological patterns determined by ELIS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regardless of whether pigs were vaccinated or not. Nevertheless, the farms unvaccinated pigs displayed low productivity in terms of piglet loss rate and prolonged period of shipment. Therefore, vaccination against PRRSV appears to be a crucial factor in sanitary management of hog farms. Taken together, since PRRSV was spread widely in Jeju already, stabilization of sows by PRRS vaccination after adapting PRRSV free sow by all-in-all-out method in farms is recommended for the control strategy for PRRS.
        4,000원
        28.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북도 11개소 해안사구 일대의 관속식물은 43과 132속 178종 1아종 22변종 1품종 2교잡종 총 204분류군으로 동정되었다. 국립수목원에 의한 한국희귀식물은 갯방풍이 관찰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5과 20속 20종 총2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12과 30속 44종 2변종 총 46분류군이었으며 도시화지수(U.I) 및 귀화율(N.I)은 각각 16.14%, 22.55%이다. 생활형조성은 Th-R5-D4-e type으로 나타났다. 후정사구의 출현 종수는 전체의 4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귀화율은 하서사구가 31.58%로 가장 높았다.
        5,400원
        29.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3과 235속 338종 3아종 54변종 12품종 총 407분류군으로 동정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산작약과 솔나리 2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참개별꽃, 진범, 할미밀망, 털둥근이질풀, 자주꿩의다리 등을 포함한 13과 19속 15종 4변종 2품종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고란초, 승마, 산작약, 솔나리, 천마 등 35과 50속 51종 4변종 총 5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4과 10속 9종 1변종 총 10분류군이며 도시화지수(U.I) 및 귀화율(N.I)은 3.51%, 2.46%이다. 생활형조성은 H-R5-D4-e type으로 나타났다.
        5,100원
        30.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도 식물상의 참고문헌과 야외조사를 통해 확인된 귀화식물은 21과 49속 63종 2변종 65분류군이며, 국화과 27.7%, 벼과, 콩과, 마디풀과 각각 7.7%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좀소리쟁이, 노랑토끼풀, 덩이괭이밥, 유럽전호, 둥근잎나팔꽃, 큰금계국, 별꽃아재비, 몬트부레치아, 큰김의틸 총 9종이 추가 확인되었다. 1년생 초본류는 36.9%이고, 유럽 원산지가 40.0%를 차지하였다. 울릉도의 도시화지수는 22.0이며, 각각의 참고문헌에 의하면 귀화율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울릉도의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로는 돼지풀이 생육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으로는 원예용 식물 유입의 최소화 및 확산 방지와 절개지 복구용으로 자생종을 활용하여 천이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4,300원
        31.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 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 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 /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 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3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꼬리말발도리(Deutzia paniculata Nakai)는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경상남북도 일부지역에만 자생하는 매우 제한된 분포범위를 가지는 특산식물이다. 이러한 꼬리말발도리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5집단 155개체에 대한 ISSR(Inter Simple Sequence Repeat) 분석이 수행되었다. 총 6개의 ISS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31개의 증폭산물을 관찰하였으며, 집단 수준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의 평균은 SI(Shannon's information index)=0.429, h (Nei's genetic diversity)=0.271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큰 차이는 없었지만 비교적 높은 개화율을 보이는 밀양, 양산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다소 높은 유전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VA 분석 결과 전체 유전변이의 약 16%가 집단 간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며, 나머지 84%는 집단 내 개체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제한된 분포범위를 가지는 꼬리말발도리 집단에서 나타나는 높은 유전다양성과 집단간 낮은 유전적 분화율은 완전 타가수정하는 교배양식과 집단내 비교적 풍부한 개체수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의 유전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현지 내 보전대책 수립이 요구된다.
        33.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도에 자생하는 벼과(Poaceae) 식물인 돌피(Echinochloa crus-galli (L.) Beauv.)와 물피(Echinochloa crus-galli var. echinata (Willd.) Honda)의 분류학적 실체를 조사하였다. Echinochloa crus-galli complex에 속하는 2분류군 26개체에 대한 ITS, trnH-psbA 및 trnL-F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도의 돌피와 물피를 포함한 조사된 두 분류군은 유전자구간에서 동일한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호영 및 까락 등의 연속적인 형질로 두 분류군을 구분하는 기존의 형태형질에 근거한 분류학적 처리는 재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ITS 경우, 독도에서 채집된 물피와 돌피 개체들은 울릉도 및 육지에서 채집된 개체들과는 별개의 분계조를 형성함으로써 독립된 진화 경로를 거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34.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8집단 224개체에 대한 ISSR(Inter Simple Sequence Repeat) 분석이 수행되었다. 총 8개의 ISS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50개의 증폭산물을 관찰하였으며 집단 수준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의 평균은 P (Percentage of polymorphic loci) = 47.3%, SI(Shannon's information index) = 0.218, h (Nei's genetic diversity) = 0.142로 다년생 초본류의 평균보다는 월등히 낮게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분포의 중심에 해당하는 산청(SI=0.233, h=0153), 광양(SI=0.263, h=0.171), 순천(SI=0.241, h=0.159) 집단이 남해(SI=0.183, h=0.116)나 광주(SI=0.181, h=0.121)의 변두리 집단보다는 비교적 높은 유전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VA 분석 결과 전체 유전변이의 약 18%가 지역 간에 나머지 82%가 집단 내 개체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집단 간에 유전자 교류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유전적 거리를 이용한 UMGMA 유집분석과 Bayesian cluster 분석 결과, 매미꽃 집단은 동서 두 지역으로 구조화 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는데 이는 집단의 지리적 분포 패턴의 영향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조사된 다른 집단보다 풍부한 개체수와 높은 유전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리산 및 백운산의 산청, 광양 집단들에 대한 적극적인 현지 내(in situ) 보전대책 수립이 요구된다.
        35.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tudy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Golgi apparatus in the spermiogenesis of long-fingered bat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 the testis obtained from adult bat was treated with the prolonged osmification or fixed with ferrocyanide reduced osmium. golgi apparatus was oval shape in early Golgi phase, and was composed of cortex and medullar enclosing acrosome in mid Golgi phase. The vesicles of crescent shape Golgi apparatus were closed or fused with small or large vesicles at the periphery of acrosome. Golgi apparatus moved behing the acrosome face in cap phase, but the Golgi apparatus was still active. According to this, Golgi apparatus appears to b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acrosome and sperm tail. Transfer of materials from Golgi to acrosme seems to be carried out not only by fusion of large vesicles with acrosomal vesicles but also by detachment of coated vesicle from various cisternae of Golgi fusing with acrosomal vesicle.
        36.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spermiogenesis of the Korean eastern Daubenton's bat,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the testis obtained from mature male bats was studi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were based on the variety and diagnostic characters of cell organell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cell organells, the spermiogenesis of the Korean eastern Daubenton's bat, M. d. ussuriensis, was divided into Golg, cap, acrosome, maturation and spermiation phases. Besides, these Golgi, cap, acrosome, and maturation phase were subdivided into the steps of early and late phases repectively and matruation phase was subdivided into step of early, mid and late phases. Therfore, the spermiogenesisof M. d. ussuriensis has been divided into a total of 11 phases. The chromatin granules began to condense at the early cap phase, regularized at the acrosome phase, and a perfect nucleus of sperm was formed at the maturation phase. The chromatoid body was occurred in the upper cytoplasm of nucleus at the early Golgi phase, and it was accurred the posterior cytoplasm of the nucleus at the early maturatio phase. The formation of sperm tail began to be develop in the early golgi phase, and completed at the spermiation phase. The fiber structure of middle piece was consisted of nine outer doublets and two central singlet microtubules and Nos. 1, 5, 6 and 9 in the outer dense were larger than the others(2, 3, 4, 7, 8).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