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The alternative food market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increasing consumer awareness of value consump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Food-Tech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rive consumers to purchase alternative food products and identify the mechanisms that can induce consumers to continue buying. We surveyed 1,200 consumers and estimated data using a logit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vegetarians in the household, environmental concerns, a vegetable-oriented diet, and a mixed diet of meat and vegetabl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rchasing plant-based alternatives. Of particular interest was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respondents’ age and their purchasing experience with plant-based options, with the likelihood of purchasing alternatives increasing with age from the mid-50s onwar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addition to the growing number of consumers who share the environmental value, which leads to increased interest in and purchase of plant-based alternatives, alternative foods are also health-oriented and meet the needs of older consumers, who are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segment of the super-aged society,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continued growth in the alternative food market.
Parotid gland ancient schwannoma is an extremely rare entity, with only 6 cases reported to date. Ancient schwannoma present degenerative alteration, including cystic changes, hyalinizing stroma, hemorrhages, infiltration of macrophages, and cellular atypia with hyperchromatic nuclei. These factors have the potential to mimic malignant tumors, resulting in an overestimation of diagnosis and subsequent inappropriate management. In the present case, we report a case of parotid gland ancient schwannoma, which developed relatively fast degenerative alteration without a large-sized mass. We reviewed all the cases of parotid ancient schwannoma, and suggest that the character of parotid gland tissue can deceive the change of tumor growth size. We also suspect that pre-surgical manipulation, such as FNAB or CNB, can cause degenerative changes in a relative short perio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reactive degenerative alteration of schwannoma, and not to misinterpret as a malignant entities, notably when needle biopsy history is present.
거저리는 식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충기가 오래 지속되면 더 좋다. 반면에 거저리의 개체수 유지를 위 해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유충이 빨리 성충이 되면 더 좋다. 이 연구에서는 개체군 밀도가 거저리의 발달 시 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이를 위해 상단 7 cm, 하단 5 cm, 높이 3 cm 크기의 용기를 사용했다. 거저리는 용기 당 1, 2, 5, 10, 20마리의 밀도로 용기에서 서식하였다. 용기에 밀기울 1 g을 넣고 거저리의 먹이 여부에 따라 라벨을 붙였다. 실험은 세 번 반복되었다. 모든 실험에서 개체군 밀도가 높을수록 유충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이 짧았 지만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먹이가 있는 그룹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 이 단축되었지만,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는 유충기를 연장하기 위해 더 낮은 밀 도가 필요하고 더 빠른 속도로 성충이 필요하다면 밀도가 더 높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거저리의 발달 시간은 개체수 밀도에 의해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차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유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내 진화속을걷 는정원과 부추속전문전시원에 식재된 울릉산마늘의 화분매개곤충을 조사하였다. 2023년 5월 22일부터 6월 2일 까지 꽃이 70% 이상 개화하였을 때 포충망을 활용하여 8일간 곤충을 채집하였고, 각 전시원 별 식생(피도), 기후 (온도·습도·조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진화속을걷는정원에서 피도 60% 온도 26.4℃, 습도 31.5%, 조도 40953.6lx, 화분매개곤충 20과 450개체, 부추속전문전시원은 피도 90%, 온도 25.6℃, 습도 31.6%, 조도 6387lx, 화분매개곤충 15과 196개체로 나타났다. 온도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화속을걷는정원이 채집된 곤충의 다양성과 방문 빈도가 높았다. 시간대별 곤충의 방문 빈도를 비교해본 결과 온도와 조도는 개체수가 증가할 때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해충에 이용되는 화학적 기피제는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으며 내성을 가진 생물체로의 진화를 촉진한다. 같은 종의 생물끼리의 의사소통 수단인 페로몬을 이용하면 다른 종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특정 곤충에 특이적 으로 작용하는 방충제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초파리(Drosophila)의 페로몬 2종류를 추출 하여 초파리의 기피도 및 유인도와 번식률을 확인하고자 한다. ℃, 광주기 12h/12h의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 며 10마리당 헥세인 10를 사용하여 암컷의 표피에서 CHC 페로몬과 수컷의 페로몬샘에서 cVA 페로몬을 추출 한다. 연령, 성별, 교배 여부에 따라 관찰통에 각각의 페로몬을 처리하여 지정구간에 분포하는 초파리의 수를 계수하여 기피도 및 유인도를 확인한다. 관병에 암수 1쌍을 투입하고 하루에 1번 선정한 페로몬을 투여하며 산란 수을 측정한다. 이 연구를 통해 CHC가 수컷 초파리에 대한 기피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출되는 수컷의 연령이 높을수록 cVA에 의한 번식률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페로몬을 통한 초파리의 방제 가능성 을 확인하였으므로 다른 곤충의 방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페로몬은 생물 농축과 같은 환경적 영향이 없으며 소량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상용화를 통해 해충에 의해 피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Natural radionuclides-containing substances (NORM) contain natural radionuclides and cause radiation exposure. In Korea, safety management measures were needed to deal with and dispose of radon mattresses containing monazite in relation to such NORM. However, there is no clear safety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NORM waste in Korea. In order to manage this reasonably and systematicall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analyze standards and management measures related to the treatment and disposal of NORM wast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xemption and clearance level of NORM waste regulations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foreign countries. IAEA GSR Part 3, 2013/59/Euratom, ANSI/HPS N13.53, CRCPD SSRCR Part N, and ARPANSA Publications 15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NORM waste. The exemption and clearance level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foreign coun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radioactive concentration and dose. In addition, the management measures proposed for each literature were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AEA GSR Part 3 applied 1 mSv as a regulatory exemption level, 1 Bq/g for uranium and thorium series as a clearance level, and 10 Bq/g for K-40 nuclides. The IAEA recommends a differential approach to the potential and scale of exposure. The EU applied 1 Bq/g to uranium and thorium families and 10 Bq/g to K-40 nuclides for both regulatory exemption and clearance levels. The EU recommended that it be managed in proportion to the scale and likelihood of exposure as a result of the action. It is analyzed that this is similar to the IAEA’s management plan. In the United States, there was no single federal government radioactive concentration and dose for NORM management. The management plan differed in management status and level from state to state, and K-40 was excluded from regulation unless it was intentionally enriched. In the case of Australia, the radioactive concentration of uranium and thorium was 1 Bq/g as a standard for regulatory exemption and 1 mSv as a dose. As a management plan, it was suggested to dispose of waste by means of accumulation, dilution/dispersion, and reclamation.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scale of exposure, lik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ake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iev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senting domestic NORM waste treatment and disposal method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학생지도 시 교사의 상업용 온라인 게임 활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각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전국 초, 중, 고등학교 교사와 상담교사, 전문 상담사, 총 23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교사의 상업용 온라인 게임 활용 의사의 관련성을 분석해본 결과, 남성보다 여성교사가, 교사의 연령이 높고 근무 기간이 길수록 상업용 온라인 게임 활용 의사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의 상업용 온라인 게임 활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다회귀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교사의 개방성과 디지털 게임에 대한 태도 중 디지털 게임의 유익성에 대한 인식, 디지털 미디어 활용능력이 학생지도 시 교사의 상업용 온라인 게임 활용 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교과학습 및 학생 생활 지도에 있어 교육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상업용 온라인 게임에 대한 교사의 활용 의사를 촉진하는 주요 요인들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벼메뚜기의 인공사료 개발을 위하여 일본의 Konno식 먹이를 대조구로 하고, 28개의 배합비율별 인공사료를 제작하여 급이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 Konno식 보다 6주 후 1마리당 체중은 22개 처리에서 높았고 우화성공율은 23개 처리에서 높았다. 폐사율은 부화입식 후 45일까지 Konno식 대비 24개 처리에서 높았다. 1마리당 체중, 우화성공율, 폐사율을 종합해 볼 때 탄수화물원으로는 옥수수 건조잎 분말 또는 통밀가루와 단백질원으로는 2~5%의 탈지대두분 또는 어분의 배합비율이 벼메뚜기의 인공사료로서 가능성이 높았다.
To determine the medicinal properties of Pleurotus cornucopiae and Safflower Oil (PS), the osteoblast effect was investigated. PS can prevent estrogen deficiency-induced bone loss. It was taken the measurements of biochemical factors such as serum osteocalcin, alkaline phosphatase, IGF-1, and bone status. Forty adult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equal groups for 12 weeks of treatment: (1) sham operation (SHAM) + vehicle; (2) ovariectomy (OVX) + vehicle; (3) OVX + 17β-estradiol (25 μg/kg); (4) OVX + PS (300 mg/kg/d, PO).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bone turnover, and trabecular microarchitecture were assessed by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and histopathology, respectively. Ovariectomized rats experienced remarkable increases in global volumetric bone density, and trabecular microarchitecture deterioration. These OVX-induced pathological changes are reversible in that most of them could be mostly corrected upon 17β-estradiol treatment. PNS treatment significantly prevented bone mass loss and microarchitecture deterioration. Moreover, PS enhanced osteoblast activity but suppressed osteoclast turnover, as evidenced by decreased levels of serum C-terminal telopeptides of type I collagen and elevated levels of alkaline phosphatase. PS mitigates estrogen deficiency-induced deterioration of trabecular microarchitecture.
감귤류 과피는 플라보노이드의 중요 급원 중의 하나로 아시아에서 민간 의약품으로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진귤(Citrus sunki Hort. ex Tanaka) 과피에서 HPLC-MS/MS를 이용하여 9종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hydroxypentamethoxyflavone과 dihydroxytetramethoxyflavone은 진귤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 활성은 25~500 mg/L 의 농도범위에서 DPPH·, ABTS·+, NO· 소거능 및 환원력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시료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항산화 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The 15,338-bp long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of the Japanese oak silkmoth, Antheraeayamamai (Lepidoptera: Saturniidae) was determined. This genome has a gene arrangement identical to those of all other sequenced lepidopteran insects, but differs from the most common type, as the result of the movement of tRNAMet to a position 5’-upstream of tRNAIle. No typical start codon of the A. yamamai COI gene is available. Instead, a tetranucleotide, TTAG, which is found at the beginning context of all sequenced lepidopteran insects was tentatively designated as the start codon for A. yamamai COI gene. Three of the 13 protein-coding genes (PCGs) harbor the incomplete termination codon, T or TA. All tRNAs formed stable stem-and-loop structures, with the exception of tRNASer(AGN), the DHU arm of which formed a simple loop as has been observed in many other metazoan mt tRNASer(AGN). The 334-bp long A+T-rich region is noteworthy in that it harbors tRNA-likestructures, as has also been seen in the A+T-rich regions of other insect mitogenomes.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available species of Bombycoidea, Pyraloidea, and Tortricidea bolstered the current morphology-based hypothesis that Bombycoidea and Pyraloidea are monophyletic (Obtectomera). As has been previously suggested, Bombycidae (Bombyxmori and B.mandarina) and Saturniidae (A.yamamai and Caligula boisduvalii) formed a reciprocal monophyletic group.